'BBB' 'TRUSTe' 등 인증서 웹쇼핑 도움돼도 '인증로고=100% 안전' 전적으로 믿어선 곤란
결제를 하기 위해 자신의 신용정보를 입력할 때는 더 그렇다. 이같은 걱정을 덜어 주기 위해 생긴 것이 바로 인증 사이트들이다. 이들 인증사이트는 소비자가 물건을 구입하고 온라인으로 크레딧카드 결제를 할 때 이 쇼핑사이트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고 또 보안에 신경을 쓰고있는지를 알수 있는 유용한 인증서가 된다. 대표적인 것들이 바로 VeriSign, the Better Business Bureau 등이 있다. 하지만 일부 인증 로고는 수수료를 받고 인증을 해주는 업체들이어서 주의가 요망된다.
이들 중 일부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접수될 경우 해당 사이트에 대한 인증을 취소한다고 말하고 있지만 실제로 얼마나 그렇게 하고있는지를 확인하기란 쉽지가 않다. 일부 사이트의 경우 BBB로부터 'F' 등급을 받았지만 이들 사이트에 버젓이 일반 인증 로고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
합법적인 인증로고가 있다고 해도 소비자가 그 의미를 정확하게 모른다면 오해의 소지가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인증로고는 소비자 정보를 다루기 위해 보안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이것이 곧 얼마나 소비자 정보를 잘 다루고 있느냐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또 일부 사이트의 경우 소비자불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지만 얼마나 안전한지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또 몇몇 사이트는 소비자보호 정책이나 정기적인 바이러스 체크를 하는것이 고작이다. 또 인증 로고가 있다고 해서 해킹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지는 못한다. 따라서 인증로고가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인증 로고가 있다고 해서 전적으로 믿어서는 안된다. www.bbb.org에서 적어도 'B-' 등급 이상은 받아야 하며 불만에 대한 보고 내용이 없다고 해서 사이트가 안전하다고 볼 수 없다. 자신이 이용하려는 사이트 회사 이름과 함께 'complaints' 혹은 'fraud'로 인터넷에 검색을 해본 뒤 yahoo나 PriceGrabber.com 등에서 리뷰평을 점검해보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된다.
◇인증 로고의 뜻
다음은 대표적인 인증 로고가 의미하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BBB: 인증된 사업체로 업체의 기업활동이 BBB의 기준에 부합하며 회원사임을 보여준다. 비회원사의 경우 BBB가 'A' 등급을 부여했을지라도 이 로고를 사용할 수는 없다.
▷TRUSTe: 소비자 권리를 보호하는 조치들을 취하고 있는 사이트라는 인증 로고를 제공한다. 또 관련 소비자 불만을 해소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VeriSign Secured: 소위 네트워크 안전장치인 'secured sockets layer'를 이용하고 있어 소비자 정보가 안전하게 전송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GeoTrust도 유사한 인증 로고다.
▷McAfee Secure: 소프트 보안업체로 유명한 McAfee가 매일 사이트를 점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Comodo: Comodo는 몇개의 인증 로고를 제공한다. 사이트가 인증됐다는 것을 의미하고 거래에서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는가 또 일부 크레딧카드사로부터 인정받은 업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인증 로고같은 것들
일부 로고는 마치 인증 로고처럼 인식되기도 한다.
- Online Business Bureau: BBB를 대용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회원사가 될 경우 '추천(Recommended)' 등급을 준다. 회원사들을 위해서만 추천한다.
- HONESTe Online: TRUSTe와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HONESTe 측은 사전에 사이트를 인증하지 않는다. 단지 폭죽이나 알콜 등을 판매할 수 없는지 또 관련 프로모션 서비스 등을 무작위로 감사하는 기관이다.
- Better Internet Bureau: 일부 기준에 부합할 경우 45달러를 받고 회원사로 받아준다. 그러나 BIB는 기업체를 모니터하거나 사업내용을 감독은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