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법률스님의 즉문즉설] 사소한 짜증

분별심 없이 돕는게 보살행이라면 그냥둔채 다만 바라보는 것도 공부

Q.가족들의 행동이 제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사소한 일에도 자꾸 짜증을 내게 됩니다. 남편과 아이들이 정리정돈을 잘 하지 않고 어질러 놓기만 하는 그런 것들이 많이 짜증스럽습니다.

A.짜증을 내니 남편과 아이들이 정리정돈을 잘하게 되었습니까? 본인 마음만 괴롭고 답답할 따름이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지요.

자신에게나 가족들에게나 누구에게도 좋지 않은 행동을 왜 계속해서 반복하고 있습니까? 왜 자신이 그런 행동을 계속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세요. 지금 질문자가 하는 행동은 자신의 마음을 괴롭힐 뿐만 아니라 가족 관계도 나쁘게 하고 있습니다.

지금 자신이 얼마나 바보 같은 짓을 하고 있는지 그 깨달음이 가슴 깊이 탁 꽂힌다면 그 동안의 어리석음은 오늘 지금 길로 즉시 고쳐질 수 있습니다. 또 다시 같은 어리석음을 저지르게 되거든 그 길로 방에 들어가 문 닫고 108배를 하세요.

'부처님 정말 제가 바보 같습니다. 이 백해무익한 짓을 또다시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가슴 깊이 참회합니다' 하고 참회기도를 하십시오.

자신의 행동이 얼마나 바보 같은 짓인지를 깊이 자각하게 되면 단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즉시 습관이 끊어질 것입니다.

짜증을 내면 본인의 마음이 괴로운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아이들까지 엄마처럼 되어 갑니다. 아이들은 엄마처럼 되지 않으려고 노력하지만 결국은 자라서 그 어머니와 똑같아집니다.

따라 배우는 것이지요. 그 아이들이 결혼해서 자식을 낳게 되면 그 아이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들 모두 이런 식으로 수없이 많은 것들을 부모에게서 물려받았습니다. 그러니 본인의 인생뿐 아니라 아이들의 인생까지 생각한다면 정신을 딱 차려야 합니다.

어리석음을 여기서 멈추는 것이 지금 질문자가 해야 할 수행입니다.

오늘부터는 '치우는 것은 다만 나의 일'이라 여기십시오. 집에 일하러 온 가사 도우미가 저번에 치워놓고 간 집안이 다시 어질러졌다고 신경질 내며 가버리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자꾸 더럽혀져야만 치울 일이 있고 그 지저분한 것을 치우라고 월급을 받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주부의 일도 그와 마찬가지입니다. 치우는 것이 내 일이니 가족들이 정리정돈을 잘 하든 안 하든 그런 것에 상관할 바가 없는 것입니다.

그것은 그 사람들의 생활습관일 뿐이고 치우는 것이 나의 몫입니다. 이처럼 치우는 것을 내 일로 받아들인다면 짜증이 좀 줄어들겠지요. 그러나 그렇게 노력을 하면서도 뭔가 좀 억울하다는 마음이 여전히 들 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냥 내버려 두세요. 치워주면서 짜증내는 것보다는 치우지 않고 마음 편한 것이 자신에게도 좋고 남편과 아이들에게도 좋습니다.

치우지 않는다고 어지러놓는 것이 한없이 더해질까요? 어느 정도까지는 어질러지겠지만 일정 수준에 이르면 계속 어질러지지는 않습니다. 그런 모습을 그대로 보아 넘기는 것도 공부입니다.

아무 분별심 없이 치워주는 것이 보살행이라면 어질러진 모습을 다만 바라보기만 하는 것은 경계에 끄달리지 않는 태도입니다.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아이들이 좀 치워달라고 엄마에게 부탁할 때가 옵니다.

그런 요청을 받고 그 때에 비로소 치워주게 되면 가족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들을 것입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