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드스케이팅은 400 트랙에서 경기하는 '롱트랙(Long Track) 스피드스케이팅'과 111.12의 트랙을 도는 '쇼트트랙(Short track) 스피드스케이팅'으로 나뉜다.
흔히 '스피드스케이팅'이라고 알려진 롱트랙 스피드스케이팅은 두 개의 트랙에서 두 명의 선수가 동시에 출발해 기록만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롱트랙 스피드스케이팅의 세부 종목은 남자부와 여자부에 차이가 있다. 단거리(500 1000 1500) 종목은 남녀부 공통으로 치르지만 3000를 넘어서는 장거리 종목에서 거리 차이가 생긴다. 남자부는 5000와 1만를 뛰고 여자부는 3000와 5000를 치른다.
동계올림픽에서 스피드스케이팅에 걸린 금메달의 수는 남녀 개인 종목(남녀부 각 5개씩)과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부터 추가된 단체 종목인 팀 추월경기(남녀부 각 1개씩)를 합쳐 총 12개다.
스피드스케이팅의 최고 볼거리는 스피드다. 500 세계기록 보유자인 제레미 워더스푼(캐나다)의 기록은 34초03이다. 1초에 평균 14.7를 달리는 것으로 시속으로 따지면 52.92㎞에 달하는 엄청난 스피드다.
선수들은 경기에 나설 때 서로 다른 색깔의 완장을 착용한다. 보통 안쪽(인 코스) 선수는 흰색 바깥쪽(아웃 코스) 선수는 붉은색 완장을 사용한다. 이는 멀리서도 선수를 쉽게 구별하거나 충돌 등 돌발사고가 벌어질 때 규칙을 위반한 선수를 알아보기 쉽게 하는 기능도 있다.
선수들은 매 바퀴 서로 코스를 바꿔야 하는데 이 구간을 교차구간이라고 부른다. 구간을 바꾸는 우선권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들어서는 선수에게 있는데 만일 이 상황에서 충돌이 발생하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빠져나가는 선수에게 페널티를 준다.
현재 대부분 선수들은 스케이트 날(블레이드)의 뒤쪽이 부츠의 뒷굽과 분리되는 '클랩 스케이트'를 신는다. 클랩 스케이트는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 때 네덜란드 선수들이 신고 나와 5개의 금메달을 휩쓰는 돌풍을 일으키고 나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클랩 스케이트는 경기중 부츠 뒷굽의 날이 떨어지면서 스텝을 옮겨도 빙판에 스케이트 날이 붙어 있는 장점이 있어 스피드를 높이고 피로도 줄이는 효과가 있다.
한국은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단거리 종목인 500와 1000에서 금메달을 기대하고 있다. 대표팀의 '맏형' 이규혁(사진)은 1000가 주종목이지만 이번 시즌 500 성적도 뛰어나 자신의 다섯 번째 올림픽 도전을 통해 첫 금메달에 도전한다.
# 밴쿠버올림픽 100배 즐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