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LA다운타운 사우스 그랜드 애비뉴 인근에서 수십 그루의 가로수가 잘린 채 도로에 쓰러진 모습이 발견됐다. 주말 밤사이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전기톱을 이용해 나무를 무단 절단한 것으로 추정되며 일부 나무는 밑동이 완전히 잘려나갔고, 몇몇은 껍질만으로 간신히 연결된 채로 발견됐다. 경찰은 현재 용의자를 추적 중이다. 지구의 날(22일)을 앞두고 발생한 이번 사건에 대해 시민들은 '환경을 겨냥한 고의적 훼손'이라며 강한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r/Los Angeles/Reddit/캡처] 가로수 주말 주말 밤사이 주말 사이 la다운타운 사우스
2025.04.21. 19:46
부활절 연휴 동안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 곳곳에서 수십 그루의 가로수가 고의로 잘려나가는 사건이 발생해 당국이 수사에 착수했다. 이번 사건은 주말 동안 발생했지만 정확한 시간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LA경찰국(LAPD)은 9일 기준 “현재까지 해당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없다”고 밝혔다. 도시 산림을 관할하는 시청 도시삼림국(Urban Forestry Division)은 부활절 연휴 동안 연락이 닿지 않았다.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Reddit)과 인스타그램 등에는 나무가 잘려나간 현장을 직접 목격했다는 게시물이 속속 올라왔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나무가 사라진 곳은 1가와 윌셔 사이 구간, 올림픽 블러버드와 호프 스트리트, 피게로아 스트리트, 브로드웨이와 세사르 차베즈, 웰스파고 센터 앞 그랜드 애비뉴, 그리고 5가 등 LA 중심가 여러 지점에 이른다. 공개된 사진과 영상에 따르면 상당수 나무들은 전기톱(체인톱)으로 절단된 것으로 보이며, 일부는 뿌리 근처에서 잘렸고, 다른 일부는 지면에서 몇 피트 위에서 잘린 모습이다. 일부 나무는 깨끗하게 절단되지 않고 껍질 일부로 간신히 연결된 채 방치돼 있었다. 훼손된 나무 중 일부는 ‘인디언 라우렐 무화과(Indian laurel fig)’로 알려진 가뭄에 강한 수종으로, LA타임즈는 이 수종이 최근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도시 전역에 식재된 사례가 많다고 전했다. LA시는 현재까지 이번 행위의 동기나 관련자를 파악하지 못한 상태이며, 가해자의 모습이 담긴 감시카메라도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AI 생성 기사다운타운 가로수 그루 가로수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 la 다운타운
2025.04.21. 13:55
25일 경비행기가 비상 착륙을 시도하다 인도의 가로수와 충돌했다. 플러튼 소방국에 따르면 충돌사고는 오후 1시 45분쯤 알테시아 애비뉴의 주택가에서 발생했다. 조종사와 탑승객 2명은 경미한 부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현장에 출동한 소방관들이 부상자를 구조하고 있다. [KTLA캡처]경비행기 가로수 경비행기 비상 비상 착륙 입고 병원
2024.11.25. 19:55
기록적인 추위가 남가주를 강타하고 있는 가운데, 밤새 내린 폭우로 이번엔 남가주 곳곳에 가로수가 쓰러지고 싱크홀이 생겨나 도로가 폐쇄되는 등 겨울 폭풍 피해가 이어졌다. 국립기상청(NWS)은 이번 주말까지 한파가 계속될 수 있다며 시니어 및 아동, 환자들의 주의를 요구했다. 1일 LA시 공공서비스국에 따르면 지난 28일 오후 9시쯤부터 이날 오전 5시까지 강풍을 동반한 폭우가 쏟아지면서 LA 전역에서 2000그루 이상의 가로수가 쓰러지거나 뿌리째 뽑혀 복구 작업을 진행 중이다. 웨스트 LA 지역인 브렌트우드와 한인타운 인근 미드 윌셔에서는 전력선이 설치된 대형 유칼립투스 나무들이 뿌리째 뽑히면서 도로에 세워져 있던 일부 차량이 파손됐다. LA시는 “30개 팀이 장비를 동원해 신고받은 지역을 다니며 쓰러진 가로수를 옮기고 있다”며 “임시로 긴급구조대와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도로를 정리하고 있지만 신고가 너무 많아서 모든 잔해를 치우려면 며칠이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LA시는 이어 “겨울 폭풍으로 토양이 약해진 데다 빗물을 머금은 대형 나무들의 윗부분이 무거워지면서 뿌리가 무게를 견디지 못해 뽑히고 쓰러지는 것”이라며 “일부 도로에 쓰러진 가로수 중에는 전신주도 있다. 또 주변 땅이 움푹 꺼질 수도 있는 만큼 주민들은 쓰러진 가로수를 가능한 피해 다니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한인타운 올림픽경찰서 인근 엘든 애비뉴와 12가 도로에는 너비 3피트, 깊이 10피트 규모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해 1일 도로가 전면 차단됐다. 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이 싱크홀은 지난 28일 오후 비가 내리기 시작한 뒤 생긴 작은 팟홀이 시간이 지나면서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LA경찰국(LAPD) 브라이언 보이드 공보관은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지만, 사람들이 가까이 오거나 운전할 수 있는 상황이 절대 아니다. 굉장히 위험한 상태”라며 접근금지를 명령했다. 같은 날 오전 LA다운타운을 지나는 할리우드 101번 프리웨이 북쪽 방면 스프링 스트리트 근처 오른쪽 차선에도 싱크홀이 보고돼 위험 경보(SigAlert)가 발령되기도 했다. 캘리포니아고속도로순찰대(CHP)는 신고받은 직후 해당 차선을 폐쇄하고 복구 작업을 벌여 출근길 차량이 한동안 정체됐다. 경보는 이날 오후 싱크홀 수리가 완료된 후 해제됐다. 한편 기상청에 따르면 남가주는 이번 주말까지 내륙 지대의 경우 화씨 40~50도, 산간 지역은 화씨 20~30도를 기록하는 추운 날씨가 이어진다. 산간 지역에는 최소 0.75인치에서 2인치가량의 눈과 비가 내릴 전망이며 시속 65마일가량의 강풍도 예보됐다. 기상청은 노약자들은 가능한 외출을 자제하고 일반인들은 산간 지역의 여행을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가로수 싱크홀 한인타운 인근 대형 싱크홀 한인타운 올림픽경찰
2023.03.01. 20:58
LA시에서 가로수 및 사유지 내 보호종 나무를 제거하려면 반드시 당국의 허가가 필요하다. 만약 LA시의 허가 없이 불법으로 제거했다가 적발될 시 1000~1만 달러의 벌금 또는 벌금과 함께 6개월 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 LA시 거리 서비스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스트리츠LA(StreetsLA)’에 따르면 현재 LA시 내 가로수는 70여만 그루에 달하며, 종류는 1000종이 넘는다. 매년 평균 2000그루의 나무가 죽거나 손상돼 제거된다. LA시에서 개인이나 사업체 등이 가로수 혹은 보호종 나무를 제거하려면 퍼밋을 신청해야 한다. 먼저 스트리츠LA 산하 LA도시삼림부(800-996-2489)로 연락하거나 311로 연락해 나무 제거를 요청하고 ‘서비스 요청 번호(Service Request Number)’ 8자리를 받아야 한다. 그 다음 웹사이트(StreetsLA.lacity.org/urban-forestry-division)에서 나무 제거 퍼밋 신청서를 다운받아 작성한 뒤 우편 혹은 이메일로 보내면 된다. 보통 신청서가 처리되는 데는 30일에서 길게는 120일까지 소요된다. 그뿐만 아니라 신청비와 제거 비용이 뒤따른다. 스트리츠LA에 따르면 나무 제거 신청 수수료는 805.99달러다. 수수료 없이는 신청서 접수가 안 된다. 또 퍼밋 비용은 별도다. 나무 그루 당 ▶1~2그루는 2892.48달러 ▶3~5그루는 5139.16달러 ▶6~10그루는 5982.58달러 ▶10그루 이상은 5982.58달러에 추가된 비용이 든다. 즉, 보호종 나무 한 그루만 베려고 해도 약 3700달러가 드는 셈이다. 김영희 부동산 전문가는 “금액도 비싸고 깐깐한 검토 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개인이 가로수 제거와 새 나무 교체 비용까지 모두 지불하면 허가받기는 쉽다”고 설명했다. 특히 가로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보도 및 연석, 차도 손상 혹은 차도 설치, 공공장소 개선 등의 합당한 이유를 입증해야 한다. 만약 나무가 죽었거나 혹은 태풍 등으로 인해 훼손됐거나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상황 등 제거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민원을 제기하면 시 당국에서 제거한다. 현재 LA시가 규정한 보호종 나무는 ‘캘리포니아 라이브 오크’, ‘밸리 오크’ 등 오크 나무와 ‘서던 캘리포니아 블랙 월넛’, ‘웨스턴 시카모어(플라타너스)’, ‘캘리포니아 베이’ 등이다. 보호종은 개인의 사유지에 있어도 함부로 다듬거나 제거할 수 없다. LA시 트리 키퍼 웹사이트(losangelesca.treekeepersoftware.com/index.cfm?deviceWidth=1536)를 통해 본인 집 주변 나무의 종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LA한인타운에서 가로수나 보호종 나무의 불법 벌도를 목격했다면 LA도시삼림부나 LA 민원사이트 ‘MyLA311’(MyLA311.lacity.org) 혹은 윌셔센터-코리아타운 주민의회([email protected])로 신고할 수 있다. 가로수 불법 보호종 나무 가로수 제거 오크 나무
2022.10.28. 22:02
LA한인타운의 가로수들이 잘려 나가고 있다. 개발 붐이 일고 있는 타운에 신축 건물들이 들어서면서, 혹은 개인 및 비즈니스의 편의를 위해 오래된 거목들을 베고 있다. 윌셔센터-코리아타운 주민의회(WCKNC·의장 제이미 펜) 산하 토지계획사용위원회(PLUM)는 27일 미팅에서 최근 한인타운 지역에서 제거되고 훼손되는 가로수의 심각성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제시된 안건에 따르면 윌셔 불러바드와 마리포사 애비뉴 인근(3440 Wilshire Blvd) 윌셔 불러바드와 카탈리나 스트리트 인근(689 S. Catalina St) 하버드 불러바드와클린턴 스트리트 인근(603 N. Harvard Blvd)세 곳에서 여러 그루의 가로수가 제거됐거나 제거될 예정이다. 또한 나머지 세곳(427-433 S. Normandie Ave. 760 S. Serrano Ave. 4055 Oakwood Ave.)에서는 가로수가 방치 및 훼손되거나 적절한 관리를 받지 못했다고 위원회는 지적했다. 특히 거론된 주소의 과반수는 현재 건설공사가 한창인 곳이었다. 또한 일부 주소에서는 시의 승인 없이 나무가 불법 제거된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의회는 올해 초부터 지역 주민들로부터 가로수 제거 및 훼손에 대한 불만 사항을 수차례 접수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PLUM 위원회는 부동산 개발업체 제이미슨 서비스를 비롯해 윌셔센터 비즈니스 개발 디스트릭(WC-BID), LA도시삼림부, LA건물안전국 등 관련 시 부서를 초청해 미팅을 열고 이에 대한 논의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한인타운에 신축 건물이 많이 들어서면서 건설에 방해가 되는 가로수를 제거하는 일도 많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반면, 녹지 공간이 부족하지만 새로운 나무를 심는 일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주한인건설협회 차정호 회장은 “나무를 제거하려면 LA시의 검토와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이 과정이 까다롭다”며 “보통은 LA시에서 나무를 제거할 시 더 많은 나무를 다른 곳에 심을 것을 지시한다. 하지만 새로 심는 묘목은 대체로 작다 보니 타운의 나무가 잘려 나간다고만 생각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LA시에서 가로수 등 나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시 당국의 허가가 있어야 한다. 김영희 부동산 전문가는 “만약 허가 없이 불법으로 베어낼 경우 나무 가격에 벌금까지 더해 수만 달러를 지불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나무 제거를 위해선 별도의 유료 퍼밋을 신청해야 하고 제거 이유가 위험 초래, 부적합한 장소 위치, 교통방해, 주민 피해 등 합당해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이 쉽지 않아 불법적으로 베어버리는 경우도 많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실제 2년 전에는 한인타운 8가와 하버드 인근 가로수 4그루가 불법적으로 훼손돼 제거되기도 했다. 인근의 한 비즈니스 업주는 “누군가 고의로 나무에 약을 넣었고 나무가 말라 죽어버리자 시 당국이 이를 제거했다”고 전했다. 당시 도시 가로수들을 관리하는 스트리츠LA(StreetsLA)가 용의자의 신원 및 범행동기를 조사했지만 파악하지 못했고, 지금까지도 제거된 나무 밑동만 드러난 채 방치되고 있다. 한편, 고사목 제거 및 교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한인타운청소년회관(KYCC)에 따르면 지난해 LA시에 새로 심은 나무는 총 1000그루에 달하지만, 한인타운의 경우 25그루에 불과했다. 스티브 강 대외협력 디렉터는 “타운에 공간이 없어 새로운 나무를 심기가 힘들다”며 “개인 집이나 사업장은 안되고 인근에 나무를 심을 만한 공공장소가 있는 분들은 KYCC(213-365-7400)로 연락하면 가서 무료로 나무를 심어준다”고 전했다. 장수아 기자한인타운 가로수 최근 한인타운 가로수 제거 코리아타운 주민의회
2022.10.27. 2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