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에서 대대적인 급습 작전을 벌인 이민세관단속국(ICE)이 뉴욕을 비롯한 민주당 성향 5개주에서도 급습을 준비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11일 MSNBC는 소식통을 인용해 ICE 전술부대가 뉴욕시와 필라델피아, 북부 버지니아, 시카고, 시애틀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정확히 언제 ICE가 급습할 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도시에 요원을 파견해 단속 작전을 벌일 것이라고 MSNBC는 보도했다. 현재 뉴욕을 비롯한 전국 대도시에서는 ICE의 LA 급습 작전 이후 연쇄적인 시위가 일어나고 있다. 전날 LA 급습에 분노한 뉴욕 시민들은 뉴욕시청 인근 폴리스퀘어로 나와 시위를 벌였고, 뉴욕시경(NYPD)은 시위에 참가한 80여명 이상을 구금했다. 시카고에서는 수천명의 사람들이 시내로 행진을 벌이다 결국 경찰과 충돌해 여러 명이 체포됐다. 샌프란시스코에서도 지난 주말 경찰과 충돌해 경찰관 2명이 부상을 입었고 100명 이상이 체포됐다. 시위가 이어지는 현장에 ICE 요원을 파견해 LA 사태와 마찬가지로 충돌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이런 가운데 뉴욕시의회는 NYPD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단속 정책에 협력하는 정황이 의심된다며 심각한 우려를 제기하고, 즉각 조사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시의회는 전날 뉴욕시 조사국에 보낸 서한에서 “경찰이 이민법 집행과 관련된 정보를 연방 당국과 공유, 뉴욕시 피난처법을 고의로 위반했는지 여부를 조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민자 보호를 내세우는 피난처 도시로서 뉴욕시는 이민 정보를 연방정부와 공유하는 것을 제한한다. 그럼에도 최근 경찰이 친팔레스타인 시위 등에서 체포한 이들의 정보를 연방 수사관에게 제공했고, 이에 따라 비자기한을 넘겨 체류했다는 내용을 파악한 ICE가 당사자를 구금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시의회는 밝혔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민주당 뉴욕 민주당 성향 가운데 뉴욕시의회 뉴욕시청 인근
2025.06.11. 20:21
합법적 체류 자격을 갖춘 비시민권자들에게 로컬선거 투표권을 주는 뉴욕시 조례가 지난달 뉴욕주법원에서 위헌 판결을 받은 가운데, 뉴욕시의회가 이 판결을 번복해달라며 항소했다. 취업비자 소지자, 혹은 영주권자로서 뉴욕시 투표를 할 수 있도록 시의회가 다시 한 번 주법원에 요청하고 나선 것이다. 렌디 데사무르 시의회 대변인은 25일 성명을 통해 "시의회는 뉴욕시에서 합법적으로 일하면서 세금을 납부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80만명의 뉴요커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겠다는 내용을 2021년 말 통과시켰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뉴욕주법원이 이 조례가 위헌이라고 판결한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해당 조례는 합당하다는 의견을 주항소법원에 구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데사무르 대변인은 "뉴욕주민들이 지역사회 민주주의 절차에 참여하도록 지원하는 것은 시민들의 정치 참여도를 높여 뉴욕시를 강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며 "주항소법원이 제대로 다시 한 번 검토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2021년 민주당 주도의 뉴욕시의회는 뉴욕시 차원의 로컬선거에서 영주권자와 노동허가 소지자에게도 투표권을 부여하도록 하는 조례안을 가결했다. 2022년 1월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난해 1월부터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곧바로 공화당원들의 소송에 직면했다. 당시 민주당원들은 "해당 조례가 뉴욕시를 이민자 친화적인 도시로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고, 영주권 소지자나 합법적으로 취업 비자를 갖고 있으면서 세금을 내는 사람들이 시 운영에 목소리를 내는 것은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비토 포셀라 스태튼아일랜드보로장 등 공화당원은 "유권자 사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민주당이 지지자를 늘리려는 꼼수"라며 소송을 제기했다. 이후 2022년 6월 스태튼아일랜드 뉴욕주법원은 공화당 측의 이의 제기를 받아들여 해당 조례에 위헌 판결을 내렸으나, 시의회는 이에 다시 항소했다. 지난달 주법원 항소부(appellate division)는 항소가 무효라고 판단했으나, 이번에 다시 시의회가 이의를 제기하면서 주항소법원이 최종 판결을 내리게 될 것으로 보인다. 뉴욕시장실은 이번에 별도 의견을 내진 않았으며, 법원 일정은 아직 정해지진 않았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비시민권자 무효화 최근 뉴욕주법원 지난달 뉴욕주법원 가운데 뉴욕시의회
2024.03.26.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