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타운 맛따라기] 부모 닮은 한인 손맛, 미슐랭의 별로
미국 서민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K-BBQ가 한식의 대중화를 이끌었다면, 이제는 최고급 미식의 상징인 '파인 다이닝' 영역에서 한식의 위상이 급부상했다. 세계적인 미식 가이드 미슐랭의 별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한식 파인 다이닝의 성장은 미식의 수도 뉴욕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뉴욕에서만 3스타 '정식(Jungsik)'을 필두로, 2스타에 '아토믹스(Atomix)'와 '고테(COTE)', 1스타에 '꼬치(Kochi)', '녹수(Noksu)', '마리(Mari)','메주(Meju)', '봄(Bom)', '오이지 미(Oiji Mi)', '주아(Jua)', '주옥(Joo Ok)'등 총 11곳이 미슐랭 스타를 획득했다. 특히 '고테'는 마이애미에서도 1스타를 받아, 두 개 도시에서 미슐랭 스타를 보유한 유일한 한식 레스토랑 그룹으로 기록됐다. 이러한 흐름은 서부로도 이어졌다. 샌프란시스코의 '쌀(Ssal)'과 '산호원(San Ho Won)'이 각각 1스타를 받았고, 한국 3스타 '모수'의 안성재 셰프를 배출한 코리 리 셰프의 '베누(Benu)' 역시 3스타의 영예를 안았다. LA에서는 피코 길에 위치한 '키(Ki)'가 유일한 미슐랭 스타 한식당으로 이름을 올렸다. 김기용 셰프는 이전 수년간 6가 길에서 한식 오마카세 전문점 '킨(Kinn)'의 파트너 셰프로 활약한 바 있다. 미슐랭 스타 외에도 주목할 곳은 많다. LA 다운타운의 '바루(Baroo)'는 '2024 LA 타임스 올해의 레스토랑'으로 선정되며 독창적인 테이스팅 메뉴와 막걸리, 사케 페어링으로 현지 미식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미국 주류 방송에도 자주 출연하는 뉴욕 '모모푸쿠(Momofuku)' 식당 그룹의 오너 셰프 데이비드 장이 다운타운에 문 연 퓨전한식 '메이저도모(Majordomo)'도 꼭 한번 시식해볼만한 식당이다. 또한, 세계적인 셰프 아키라 백은 라스베이거스 일식당 옐로테일에 이어 베벌리센터에 한식 바비큐 파인 다이닝 'AB 스테이크하우스'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부모의 대를 이어 미국 파인 다이닝 업계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한인 2세들의 약진도 돋보였다. 한국에서 미슐랭 식당으로 유명한 간장게장 전문점 '게방식당'이 지난 3월 한인타운 올림픽길에 문을 열어 화제가 된 바 있다. 유명 일식 레스토랑 체인 가부키를 운영하는 카이젠 다이닝 그룹의 데이비드 이 회장 아들이자 모던 일식 퓨전 레스토랑 히비 창업자인 솔로몬 이 대표가 경영하고 있다. 또 '박대감' 사장의 딸인 엘리자베스 홍 셰프는 미슐랭 스타 이탈리안 레스토랑 '오스테리아 모짜(Osteria Mozza)'에서 실력을 인정받아 컬리너리 디렉터로 활약 중이다. '고바우' 사장의 아들인 브라이언 백 셰프도 뉴욕 미슐랭 스타 레스토랑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최근 멜로즈 힐스에 새로운 레스토랑 'Bar 109'를 열었다. 이는 본격적인 파인 다이닝 'Corridor 109'의 전초전으로, 한식과 일식에 기반한 해산물 요리와 칵테일 페어링을 선보여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아직 미슐랭의 별을 받진 못했지만 미슐랭 가이드가 그 맛을 인정하고 추천한 한식당들도 많다. 용수산, 박대감, 단비, 쿼터스, 정육점, 조선갈비, 다래옥, Liu's Cafe 등이 '스타'의 자리를 넘보고 있다. 한식의 파인 다이닝 진출은 단순히 메뉴의 고급화를 넘어, 한식 고유의 철학과 섬세한 맛이 세계 최고 수준의 미식 문화로 당당히 인정받았다는 증거다. 1세대가 땀으로 닦아놓은 길 위에서,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새로운 해석을 더하는 2세 셰프들의 창의적인 도전은 한식의 미래를 더욱 기대하게 만든다. 이들의 활약이 계속될 때, 한식의 세계화는 더 깊고 풍성한 차원으로 나아갈 것이다. 라이언 오 / CBC 윌셔프로퍼티 대표K타운 맛따라기 미슐랭 부모 미슐랭 스타 가이드 미슐랭 한식 레스토랑
2025.09.21.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