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는 이런 그림이 올라 있다. “당신이 낳으라고 하신 우리 아들 감기예요” “아니 제가 언제…”라고 남녀가 대화하는 장면이다. 남자가 “감기 빨리 낳으세요”라고 인사한 것을 비꼬는 그림으로 생각된다. 주변에 감기 환자가 많은 요즘 혹여나 이처럼 “감기 빨리 낳으세요”라고 카톡이나 문자를 보낸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감기 빨리 낳으세요”는 구직 포털인 알바몬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충격적인 맞춤법 실수 1위에 오른 적도 있다. ‘낳으세요’는 ‘낳다’의 어간 ‘낳’에 공손한 요청을 나타내는 ‘-으세요’가 붙은 형태다. ‘낳다’는 배 속의 아이를 몸 밖으로 내놓는 행위, 즉 출산을 의미한다. 따라서 “감기 빨리 낳으세요”는 감기를 빨리 출산하라는 얘기가 된다. 병이 원래대로 회복되는 것은 ‘낳다’가 아니라 ‘낫다’다. ‘낫다’는 ‘나아, 나으니, 낫는’ 등으로 활용된다. ‘-으세요’라는 어미가 붙을 때는 ‘ㅅ’이 탈락해 ‘나으세요’가 된다. 따라서 감기에서 빨리 회복되기를 바란다면 “빨리 나으세요”라고 해야 한다. 간혹 ‘낫으세요’라고 쓰는 사람도 있는데 이 역시 잘못된 말이다. 물론 ‘나으세요’를 ‘낳으세요’로 쓰는 건 단순한 실수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실수가 나오면 아무래도 체면이 깎이게 마련이다.우리말 바루기 감기 감기 환자 맞춤법 실수 우리 아들
2024.12.24. 18:31
English teachers Kelly and Laura are talking. (영어 교사 켈리와 로라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Kelly: So can you do it? 켈리: 그래 그거 해 줄 수 있어? Laura: You want me to sub for you tonight? 로라: 오늘 밤 대신 수업을 해 달라고? Kelly: Would you? 켈리: 그렇게 할 수 있지? Laura: Sure I can do it. Are you sick? 로라: 그럼 할 수 있지. 어디 아파? Kelly: I'm coming down with a cold. 켈리: 감기에 걸렸나 봐. Laura: That's too bad. Yes I can work for you tonight. 로라: 저런. 알았어 오늘 저녁엔 내가 대신 할게. Kelly: Thanks. Everything you need is in the top right drawer of my desk. 켈리: 고마워. 필요할 건 내 책상 오른쪽 맨 위 서랍에 다 있어. Laura: What subjects am I teaching? 로라: 무슨 과목을 가르쳐야지? Kelly: Grammar and conversation. You can play it by ear. 켈리: 문법하고 회화. 임기응변으로 하면 돼. Laura: I'll leave you a note so you'll know where I left off. 로라: 어디까지 했는지 노트에 써서 남겨놓을게. ━ 기억할만한 표현 *sub for (someone): (누구) 대신 일하다. "I'm going to sub for Marilyn tonight." (오늘 밤에 마를린 대신 일해야 돼.) *play it by ear: 임기응변으로 하다. "I don't know what I'm making for dinner. I'll play it by ear." (저녁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네. 임기응변으로 넘겨야 되겠어.) *where (one) leaves off: 마지막으로 일한 곳. "Let me know where you leave off and I'll continue the class from there tomorrow." (진도를 어디까지 나갔는지 알려주면 내가 내일 거기부터 수업을 계속할게.)오늘의 생활영어 come 감기 marilyn tonight laura are ill leave
2023.03.28. 18:37
인터넷에는 이런 그림이 올라 있다. “당신이 낳으라고 하신 우리 아들 감기예요” “아니 제가 언제…”라고 남녀가 대화하는 장면이다. 남자가 “감기 빨리 낳으세요”라고 인사한 것을 비꼬는 그림으로 생각된다. 주변에 감기 환자가 많은 요즘 혹여나 이처럼 “감기 빨리 낳으세요”라고 카톡이나 문자를 보낸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감기 빨리 낳으세요”는 구직 포털인 알바몬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충격적인 맞춤법 실수 1위에 오른 적도 있다. ‘낳으세요’는 ‘낳다’의 어간 ‘낳’에 공손한 요청을 나타내는 ‘-으세요’가 붙은 형태다. ‘낳다’는 배 속의 아이를 몸 밖으로 내놓는 행위, 즉 출산(出産)을 의미한다. 따라서 “감기 빨리 낳으세요”는 감기를 빨리 출산하라는 얘기가 된다. 병이 원래대로 회복되는 것은 ‘낳다’가 아니라 ‘낫다’다. ‘낫다’는 ‘나아, 나으니, 낫는’ 등으로 활용된다. ‘-으세요’라는 어미가 붙을 때는 ‘ㅅ’이 탈락해 ‘나으세요’가 된다. 따라서 감기에서 빨리 회복되기를 바란다면 “빨리 나으세요”라고 해야 한다. 간혹 ‘낫으세요’라고 쓰는 사람도 있는데 이 역시 잘못된 말이다. 물론 ‘나으세요’를 ‘낳으세요’로 쓰는 건 단순한 실수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실수가 나오면 아무래도 체면이 깎이게 마련이다.우리말 바루기 감기 감기 환자 맞춤법 실수 우리 아들
2022.12.20. 19:25
한의학에서는 감기에 걸리는 이유를 찬 기운이 들어와서 생긴다고 본다. 특히, 뒷목에 있는 대추혈과 등 쪽에 있는 풍문혈 자리로 찬 기운이 들어오면 감기에 걸린다고 한다. 하지만 감기는 추워서 걸리는 것이 아니라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된다. 그런데 우리는 감기를 예방하기 위해서 따뜻하게 옷을 입고 목도리를 두르거나 마스크를 쓰곤 하는데, 꽤 효과적이었다는 경험이 있을 것이다. 감기와 기온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날씨가 추워지면 코와 기관의 혈관이 축소되고 혈액 공급량이 떨어져 면역기능을 하는 백혈구 공급이 감소하여 면역력이 약해져서 감기에 쉽게 걸린다는 것이다. 즉 평상시에 코나 기관에 잠복 상태로 머물러있던 바이러스가 온도가 더 낮아져서 면역력이 떨어질 때 활동을 개시하여 감기에 걸리게 된다는 것이다. 코, 인두, 후두, 기관 등을 상기도라고 부르는데, 상기도는 폐보다 온도가 낮아 바이러스가 쉽게 번식하여 감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감기를 의학적으로는 상기도 감염이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서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차가운 온도에서 자기복제를 더 잘할 수 있기 때문에 37도의 체온을 나타내는 폐나 기관지보다 33~35도 정도인 코나 기관 등에서 더 쉽게 복제 번식한다는 것이다. 바이러스는 살아있지 않기 때문에 죽일 수 없다. 따라서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방법은 자기복제를 막는 것이다. 낮은 온도에 의해 감기가 발생하였다면 감기 바이러스 감염과 싸우는 핵심은 체온을 높이는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같은 관점으로 외부에서 들어온 찬 기운을 제거하기 위해 몸에서 열이 발생하게 하는 성질의 약을 사용하여 체온을 상승시키고 땀을 내게 하여 감기를 치료한다. 체온상승에 의한 감기 예방 효과가 입증되었는데, 사우나 입욕을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감기에 걸릴 확률이 반으로 감소하였다. 사우나를 하면 체온이 올라가면서 백혈구 등 면역기능이 향상해 바이러스 복제를 막는 효과가 있다. 요약하면 코나 기관의 온도를 상승시켜 감기 바이러스의 복제를 막는 것이 감기를 예방하거나 악화하는 것을 막는 최선의 방법이다. 따뜻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과 더불어 감기 기운이 들어온다고 느끼거나 추운 곳에 다녀온 후에는 목 뒷덜미를 헤어드라이어로 가열하는 것이 매우 손쉽게 상기도의 체온을 높여주는 방법이다. 아울러 물수건을 지퍼 백에 넣어 2분가량 전자레인지에 덥혀서 가슴팍에 올려놓고 쉬고 나면 한결 한기가 사라지며 감기 기운이 감소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승덕 총장 / 동국대학교 LA건강 칼럼 드라이어 감기 감기 예방 감기 바이러스 감기 기운
2022.02.08. 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