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독·임질·클라미디아 등 치료 않으면 합병증 유발...예방 교육 절실 전국적으로 성병(STD) 발병률이 하락한 것과 달리 조지아주에서는 감염률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12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성병 발병률이 낮아졌지만, 조지아에서는 임질과 클라미디아 등의 감염률이 하락하지 않고 있다. 클라미디아란 박테리아성 성병으로, 남성에게는 비임균성 요도염, 여성에게는 자궁경부염의 형태로 나타난다. 성행위를 통해 감염된 임균은 남성과 여성 비뇨생식기에 염증을 일으키는데,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증상이 뚜렷이 나타난다. 성병은 치료하지 않으면 평생 합병증을 달고 살아야 할 수 있으며, 임신 중 합병증, 불임 등으로 이어지거나 암으로도 진행될 수 있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보고된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는 총 240만건 이상이었다. 이중 클라미디아 160만건, 임질 60만건, 매독은 20만9000건이 파악됐는데, 최신 통계는 이러한 추세가 둔화하는 징후를 보인다. 미국에서 가장 전염성이 강한 성병으로 알려진 매독은 전년 대비 10% 줄었는데, 이는 20년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전국의 임질 건수도 7% 줄어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으며, 이는 팬데믹 이전인 2019년보다 낮은 수치다. 반면 조지아는 전국적인 추세와 다른 양상을 보인다. 2022~2023년 사이 전국의 1차 및 2차 매독 발병률은 11% 줄었지만, 조지아에서는 10만명당 20명으로 동일하게 유지됐다. 1차 매독은 매독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에 감염된 초기 단계를, 2차 매독은 감염 후의 단계를 말한다. 어머니로부터 자녀에게 전염되는 선천성 매독 발병률은 조지아에서 신생아 10만명당 80건에서 100건으로 26%나 증가했다. 다만, 선천성 매독은 여전히 조지아가 전국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조지아의 클라미디아 감염률은 10만명당 646건으로, 전국에서 5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인 10만명당 492건을 30%나 크게 웃돌았다. 조지아의 임질 사례는 2020년 10만명당 219건에서 2021년 10만명당 300건으로 급증했다. 2년간 완만하게 감소하는가 싶더니 작년 감염률 10만명당 274.9건으로 다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그레이디병원이 운영하는 HIV/AIDS 및 기타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는 센터 ‘폰스 드 리온 클리닉’의 조나단 콜라산티 디렉터는 AJC에 “남부, 특히 ‘딥사우스’(Deep South)는 여전히 이 모든 성병의 온상”이라며 특히 조지아가 선두를 달리고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성병 감염에 대한 검사, 치료 접근성,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한 예방 교육 등이 부족한 것을 주원인으로 꼽았다. 콜라산티 디렉터는 “작년 성병 사례 절반이 15~24세였는데, 우리는 학교에서 이를 예방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있느냐”며 “금욕과 콘돔에 대한 것 이상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성병 중에서도 치료하지 않으면 심장과 뇌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매독이 특히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임신부의 경우 매독을 치료하지 않으면 최대 40%의 경우 태아가 사망할 수 있지만, 출산 최소 30일 전에 페니실린 주사를 한 번이라도 맞으면 매독에 걸린 임신부와 아기는 감염에서 치료될 수 있다. 실제로 아직 매독 사례는 미국에서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조지아 127명을 포함 전국에서 4000명의 아기가 매독을 가지고 태어났다고 CDC는 밝혔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콜라산티를 포함한 여러 전문가를 인용해 “발병률 개선에 기여한 요인 중 하나는 새로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 성관계 후에 복용하는 것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에 의하면 보호되지 않은 성관계 후 72시간 이내에 독시사이클린을 복용하면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에 걸릴 위험이 줄어든다. 윤지아 기자조지아 감염률 클라미디아 감염률 전국 성병 박테리아성 성병
2024.11.14. 14:03
최근 들어 뉴욕주 전역에서 뉴욕시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률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한때 뉴욕주 전역은 물론 전국적으로도 코로나19의 진앙지로 불렸던 뉴욕시가 가장 안정적인 코로나19 지표를 나타내게 된 것으로,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다. 10일 뉴욕주 보건국(DOH)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주 전역에서 하루동안 15만3396건의 코로나19 진단검사 시행돼 5138명이 양성 확진을 받았다. 이에 따른 하루 감염률은 3.35%다. 주 전역 7일 평균 감염률은 2.78%를 기록했다. 뉴욕시의 경우 7일 평균 감염률이 1.20%로 주 전체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뉴욕주내 다른 지역의 경우 미드허드슨 2.04%·롱아일랜드 2.62%·센트럴 뉴욕 4.87%·캐피탈 리전 4.89%·핑거 레이크 6.93% 등을 기록해 2% 미만을 기록한 지역은 뉴욕시가 유일했다. 뉴욕시 내에서도 브롱스의 감염률이 가장 낮아 1% 미만(0.97%)을 기록했고, 맨해튼 1.02%, 퀸즈 1.26% 등의 순이었다. 이같은 뉴욕시의 낮은 감염률은 백신 접종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뉴욕시에서도 백신 접종률이 높은 퀸즈와 맨해튼의 1회 이상 접종 성인 비율은 각각 93%와 92%다. 이는 접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외곽지역의 같은 기준 비율 70%대와 비교할때 20%P 이상 높은 수치다. 백신 접종률이 가장 낮은 지역 중 하나인 루이스 카운티의 60.5%와 비교하면 30% 이상 높다. 10일 브리핑에서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겨울철에 감염이 다시 확산될 우려가 있다”면서 “기온이 떨어지고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백신 접종이 더 중요하다”고 접종을 독려했다. 한편, 뉴욕시 공립교가 코로나19 집단감염으로 폐쇄됐다. 퀸즈 파라커웨이에 위치한 빌리지 아카데미 중학교가 학생과 교직원의 코로나19 집단감염이 확인돼 11일부터 폐쇄 조치에 들어갔다. 지난 10월 말부터 일주일간 이 학교에서 학생 5명과 교직원 1명의 감염이 확인된데 이어, 11월에 들어서는 학생 12명, 교직원 1명이 추가로 감염되는 등 누적 확진자가 20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학교는 원격 수업에 들어가며 오는 22일부터 다시 등교가 허용된다. 이번 사례는 올 가을학기 들어 이스트할렘 호란스쿨, 아스토리아 PS166에 이은 시 전역 공립교 중 세 번째 학교 폐쇄다. 장은주 기자 [email protected]감염률 코로나 뉴욕주 전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뉴욕주 보건국
2021.11.11. 1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