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 살 좀 넘어 낙동강 근처에서 살 즈음 내 유일한 놀이터는 논두렁이었다. 종일토록 메뚜기를 잡으면서 놀던 시절. 어느 날 오후 사방이 캄캄해지면서 소나기가 내린다. 그리고 하늘에서 미꾸라지들이 수도 없이 쏟아진다. 미꾸라지들이 줄줄이 땅에 떨어져서 꿈틀대거나 펄떡펄떡 공처럼 한동안 튀면서 굴러다녔다. 오래전에 건성으로 보았던 1999년 영화 ‘Magnolia’에 다시 집중한다. 열 명이 넘는 중요 등장인들이 서로 엮이고 얽히면서 복합적 테마를 펼친다. ‘magnolia, 목련’은 인간의 본능을 상징한다고 한 영화 해설자는 의미심장하게 풀이한다. 청소년 관람 불가. 톰 크루즈가 여성공략법을 강연하는 세미나 주최자로 열연한다. 등장인물들의 아픔과 혼동, 부모 자식 사이의 갈등이 과거와 현재를 인정사정없이 넘나든다. 짧은 대사가 귓전을 때린다. “우리는 과거를 끝냈는지 모르지만, 과거는 우리를 끝내지 않았다. - We may be through with the past, but the past ain’t through with us.” - 누군가 과거를 청산했다고 말하는 순간 그는 새빨간 거짓말, 혹은 일방적이고 얼빠진 발언을 하는 것임을 몸서리치게 암시하는 발언이다. 윌리엄 포크너의 ‘수녀를 위한 진혼곡(1951)’에 나오는 명언, “과거는 결코 죽지 않는다. 심지어 지나가지도 않는다”와 똑같은 내막을 좀 더 현대적 감각으로 피력하고 있다. 당신과 나는 과거의 노예다. 동물뇌라는 별명을 가진 우리의 중뇌(中腦) 속에 숨어있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본능이 생존 경력이 많이 달리는 전뇌(前腦)의 파리한 지성보다 훨씬 더 우세하다. 암 선고를 받은 아버지가 딸을 성추행한 죄의식에 빠져 권총 자살을 한다. 장학퀴즈에 출연한 천재 소년이 돈만 아는 아버지의 압력에 염증을 느끼고 방영 도중에 밖으로 뛰쳐나간다. 톰 크루즈는 임종이 가까워진 아버지에게 그의 옛날 행동을 개탄하며 울면서 욕설을 퍼붓는다. 그 외 다른 사람들도 어처구니없는 혼돈에 빠지면서 그들 모두의 인생이 미치광스러운 ←상황으로 점철되는 순간, 순간, 순간들! 밑도 끝도 없이 개구리들이 떼거리로 하늘에서 쏟아져 내린다. 내 어릴 적 낙동강 근처 논두렁 바닥으로 미꾸라지들이 떨어져 내릴 때와 똑같이 무섭고 경이로운 광경! 때를 같이하여 등장인물들의 아픔과 광증에 휴지부와 쉼표가 찍힌다. 그렇다. 정말 그렇다. 우리가 지지고 볶고 목을 매는 순간들이 이런 돌발적인 일로 해소되고 종식되는 것이다. 당신과 나의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중압감이 현저히 감소하거나 아쉬움을 남기면서 사라지고야 만다. 구약성경 ‘출애굽기’에 신이 이집트 왕을 벌주기 위하여 나일 강 개구리들로 이집트 땅을 뒤덮는 장면이 나온다. 이런 현상을 현대 기상학은 물기둥이 회오리바람의 역학으로 하늘로 치솟아 올랐다가 다시 땅으로 떨어지는 현상으로 설명한다. 우리말로 ‘용(龍)오름’이라 하지. 대통령 선거로 한국이 술렁이는 2022년 3월 9일 나흘 전 3월 5일이 경칩(驚蟄)이다. 놀랄 驚, 숨을 蟄! 긴 겨울잠에서 깨어나 밖으로 고개를 내미는 개구리가 봄기운에 화들짝 놀라 일순 몸을 숨기는 이율배반적 동물현상이다. 캘리포니아 어느 소도시 매그놀리아 스트리트를 운전하는 중 하늘에서 떨어지는 개구리 떼, 그리고 낙동강 근처 논두렁에서 미꾸라지 떼가 마구 쏟아지는 삶의 경악이다. 서량 / 시인·정신과 의사잠망경 개구리 낙동강 근처 떼거리로 하늘 magnolia 목련
2022.02.22. 17:28
자기 중심적인 우리 인간은 이 세상의 주인을 자처하며 살아간다. 손님이 아니라 주인 행세를 하는 것이다. 자신이 우주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고 착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나’ 라는 우물 안에 갇혀 사는 사람들이 많다는 이야기이다. 마치 우물 안의 개구리처럼. 개중에는 바깥 세상에 관심이 있는 개구리도 있다. 그들은 진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용기를 가진 ‘이단아’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 앞에는 바깥 세상과 통하는 문이 열려 있다. 우주 안에는 물경 1000억이 넘는 은하(Galaxy)가 있으며, 우주도 우리가 속해 있는 우주 하나가 아니고 복수의 우주가 존재한다고 천체 물리학자들은 말한다. 오래 전에 새들백 칼리지의 김용학 교수의 글을 읽고 거짓말 같은 과학적 사실에 크게 놀란 적이 있다. 그에 의하면 하나의 은하수 안에는 셀 수 없이 많은(최소 1000억개 이상) 태양과 같은 별(Star)이 존재한다고 한다. 각각의 별 주위에는 여러 개의 유성(Planet)이 선회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많은 은하가 차지하는 공간은 전체 우주의 1억 분의 1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텅 빈 진공 상태라는 것이다. 북두칠성(Big Dipper)이 차지하는 공간만 해도 100만 개가 넘는 은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우주의 크기를 필설로 표현하기는 불가능한 일인 듯하다. 우주의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은 실로 티끌만도 못한 미미한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 40억 년의 역사를 지닌 지구의 생태계에서 고작 몇 십 년 있다가 사라지는 존재에 큰 의미를 부여할 여지는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는다. 한 예로 지구의 자전설이나 공전설을 놓고 볼 때, 역사상의 어느 특정인이 아니었더라도 다른 누군가가 언젠가는 비슷한 업적을 이룰 수 있었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개체의 생존을 위해서는 생태계 전체의 환경이 먼저임을 말한다. 비록 우주 안에서의 존재는 이처럼 미미하지만 인간은 자신의 존재가 중요하다는 믿음을 가지고 신의 도움으로 구원을 얻어 천당에서 영생을 누린다는 희망을 간직하며 살아왔다. 하지만 세상을 객관적으로 관찰할수록 현실에서의 허무감이 더욱 증폭되어 가는 엄연한 사실 또한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시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선택적 고민을 하는 것을 본다. 어느 길을 가든 간에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안정감을 주는 쪽을 택하는 것이겠다. 현대 과학이 주는 증거가 너무나 확실하기 때문에 기존의 종교에 기대지 못하는 ‘불우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그나마 위안이 될 수 있는 길은 자연의 품에 안겨 심리적 안정을 찾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관념적인 믿음에 대한 회의를 불식할 수 없는 한 그렇게 함으로써 객관적 검증이 가능한 보다 합리적인 믿음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인생 여정의 종착역에 다가선 황혼 길임에도 마음이 더 없이 편안한 이유는 잔잔한 안정감을 주는 현실 감각 때문인가 보다. 자연 법칙을 믿는 마음으로 ‘세뇌’가 이루어진 덕분이라고 할까. 우물 안의 개구리에게도 우물 밖의 미지의 세계를 보는 눈은 열려 있다. 라만섭 / 전 회계사기고 개구리 우물 전체 우주 우주 하나 현대 과학
2021.11.09. 1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