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지금 주택시장은 바이어스 마켓...애틀랜타 계약 취소율 더 높아졌다

지난 6월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에서 주택 매매계약이 취소된 비율이 거의 2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서비스회사 레드핀이 최근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6월 전국의 주택 매매 계약 중 14.9%가 취소됐는데, 이는 전년 동기의 13.9%보다 높아진 수치다. 애틀랜타의 6월 매매 취소율은 지난해 18%에서 올해 19.6%로 높아졌다. 레드핀이 집계한 전국 44개 대도시 중 7곳을 제외하고 모두 취소율이 증가했다.     전국적으로 6월 한 달간 5만7000건이 넘는 매매 계약이 취소됐다. 이는 6월 거래 취소량 기준으로 2017년 이후 최고치다. 일반적으로 연말에 취소율이 높아지고 봄에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애틀랜타 등 남부의 선벨트 지역의 계약 취소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샌안토니오, 탬파, 올랜도, 피닉스, 텍사스 포트워스, 마이애미 등이 취소율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플로리다와 텍사스에서 취소율이 높은 이유는 신축 주택 매물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바이어는 해당 지역의 높은 자연재해 발생 빈도 때문에 보험료가 너무 비싸져 구입을 포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레드핀은 전했다.     레드핀은 바이어스 마켓이기 때문에 거래 취소율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바이어는 매물을 더 까다롭게 고를 수 있고, 더 나은 집이 나오거나 고치고 싶지 않은 문제가 발견되면 인스펙션 기간 중 계약을 철회할 수 있다.     또 재정 문제도 흔한 취소 이유다. 주택 매매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월 모기지 페이먼트도 여전히 높다. 일부 바이어들은 월 페이먼트 부담을 실감하면 구매를 취소하곤 한다.     레드핀은 부동산 에이전트들을 인용해 관세,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 가능성 등 경제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바이어가 계약을 취소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집값이나 모기지 금리가 곧 급락할 것으로 전망해 거래를 취소하는 바이어도 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지적했다. 레드핀은 올해 전국의 주택 가격이 전년 대비 1% 하락하고, 모기지 금리는 6.8%대에서 거의 변동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윤지아 기자주택 취소 거래 취소율 거래 취소량 주택 거래

2025.07.31. 15:28

썸네일

주택매매 취소 9월에만 ‘6만 건’

모기지 이자율 상승으로 주택 매매를 취소하는 바이어도 증가하고 있다.     부동산 업체 레드핀에 따르면 지난달 계약이 진행 중이던 6만 채의 매매가 어그러졌다. 거래 취소율은 17%에 달하며 이는 지난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 시작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는 급등한 모기지 이자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30년 고정 모기지 이자는 지난해와 비교해 거의 2배 이상 돼 주택 바이어의 집 구매 비용 부담도 2배나 커진 데 반해서 집값 하락 폭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기 때문이다. 30년 고정 모기지 이자는 6.94%(20일 기준)로, 1년 전의 3.09%에 비해서 3.85%포인트를 웃돌고 있다.     레드핀 경영조사팀 한 관계자는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바이어의 주택 비용 부담이 대폭 늘면서 시장에 진입을 못하고 있으며 모기지 이자가 너무 높자 셀러 역시 관망세로 돌아섰다”며 “이 때문에 주택 시장이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9월 주택 판매량은 전년 동월보다 25% 정도 감소했으며, 신규 매물 역시 22% 급락해 202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시장에 나온 매물에 대한 구매 경쟁률 역시 팬데믹 시작 이후 가장 저조하다.     전문가들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계속해서 금리를 올린다면, 2023년 중반까지 모기지 이자율도 함께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양재영 기자주택매매 취소 주택매매 취소 거래 취소율 모기지 이자

2022.10.23. 19: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