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고국 송금 건수 줄었지만 액수 커졌다

고물가에 따른 어려운 경제적 여건 속에 올해 한인들의 설 고국 송금 건수는 대체로 줄었으나 지속된 강달러 기조의 수혜를 입어 송금 규모는 되레 증가했다.   본지가 뱅크오브호프, 한미은행, PCB뱅크, 오픈뱅크, CBB뱅크, US메트로뱅크, 우리아메리카, 신한아메리카 등 총 8개 한인은행의 설 송금 건수와 액수를 집계한 결과, 올해 한인들이 한국 설 연휴 기간 한인은행을 통해 한국으로 송금한 건수는 6244건이었으며, 금액은 1899만 달러였다.     총 송금 건수는 지난해의 6771건에서 7.8% 감소했으나 총 송금액은 1698만 달러에서 11.8% 증가했다. 건당 송금액은 3041달러로 지난해의 2508달러보다 21.2%(533달러) 늘었다. 〈표 참조〉   송금 건수를 분석했을 때, 한인은행 8곳 중 6곳의 설 송금 건수가 감소했다.   뱅크오브호프는 지난해 2355건에서 올해 1918건으로 18.6% 줄었으며, 오픈뱅크, 신한아메리카가 각각110건, 473건으로 두 자릿수 하락 폭을 보였다. PCB뱅크는 올해 206건으로 3.7% 감소했으며, US메트로뱅크(62건)와 우리아메리카(1920건)도 올해 설 송금 건수가 소폭 줄었다.     반면 한미은행은 은행 8곳 중 유일하게 송금 건수가 전년 대비 늘었다. 지난해 1374건이었던 한미은행의 설 송금 건수는 올해 1464건으로 6.6% 증가했다. CBB뱅크의 경우 지난해와 동일한 91건을 기록했다.   한인은행 8곳 중 5곳의 송금액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특히 이 중 4곳은 액수가 두 자릿수로 증가했다.   은행별로 송금액을 살펴보면, 뱅크오브호프는 송금이 지난해 72만 달러에서 649만 달러로 9.9% 감소했다. 송금액이 19만 달러로 집계된 US메트로뱅크와 282만 달러의 우리아메리카는 전년 대비 송금액이 각각 5.9%, 0.4% 줄었다.     반면 신한아메리카는 송금이 274만 달러로 2024년 대비 무려 81.7% 증가하는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이어 한미은행과 PCB뱅크 또한 각각 송금액이 480만 달러, 73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30%대의 증가 폭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CBB뱅크는 37만 달러로 12.7%, 오픈뱅크 또한 83만 달러로 4.2% 증가했다.   한인은행 관계자들은 “고금리 등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에 설 송금에 나선 고객 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1400원을 상회하는 달러 강세 덕에 한국 가족 및 친지에 전하는 마음의 크기는 더 커진 것 같다”고 말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송금 건수 송금 건수 건당 송금액 고국 송금

2025.01.30. 22:24

썸네일

올해 설 송금, 건수는 늘고 액수는 줄었다

  올해 설 뉴욕 일원 한인·한국계 은행의 고국 송금 건수가 대체로 증가했다. 다만 고환율 여파로 송금액은 감소한 곳이 많았다.   13일 뱅크오브호프·한미은행·우리아메리카·신한아메리카·PCB뱅크·뉴밀레니엄·뉴뱅크·KEB하나·제일IC·프라미스원 등 은행 10곳의 설 송금 실적을 조사한 결과 올해 설 무료 송금 이벤트 기간 총 6850건의 송금이 이뤄졌다. 작년(6739건)보다 1.6% 증가했다.   송금 건수 증가에도 송금액은 7.2% 감소했다. 올해 송금 규모는 총 1617만762달러로 1743만4705달러를 송금했던 작년보다 소폭 줄었다.     달러 강세로 작년보다 적은 금액을 송금한 이용자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인 은행 중 덩치가 큰 뱅크오브호프와 한미은행에서는 송금 건수와 금액 모두 소폭 감소했다. 뱅크오브호프는 올해 2355건, 720만55달러를 송금했는데, 작년보다 각각 5.3%, 0.8% 줄었다. 한미은행은 1374건(-3.7%), 358만2362달러(-11.5%)를 소화했다.   이외 은행에선 모두 송금 건수가 증가했다. 우리아메리카는 2011건으로 11.2% 늘었고, 송금액 또한 282만4825달러로 22.3% 증가했다.   신한아메리카는 작년보다 13.3% 많은 535건을 송금했다. 송금액은 151만355달러로 35.7% 감소했다. PCB뱅크와 뉴밀레니엄 역시 송금 건수 증가, 송금액 감소 경향을 보였다. 각각 214건·52만8102달러, 62건·15만4400달러를 기록했다.   뉴뱅크의 송금 건수는 71건에서 82건으로 15.5% 증가했고, 송금액 역시 10만4436달러에서 13만7934달러로 32.1% 늘었다. KEB하나도 마찬가지로 송금 건수 1.6% 증가, 송금액 36.8% 증가를 보였다.   이어 제일IC는 102건·5만5150달러, 프라미스원은 51건·4만1350달러를 기록했다.   한 한인은행 관계자는 “달러 강세가 이어져 한화로 일정 금액을 송금하는 경우 달러 송금액이 적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하은 기자건수 송금 증가 송금액 송금액 감소 송금 건수

2024.02.13. 18:13

썸네일

미 입국거부 건수 사상 최대

JFK 국제공항, 버팔로 나이아가라폭포 국경검문소 등 공항과 지상 국경 검문소를 통해 미국에 입국하려다 체포, 추방 재판에 회부됐거나 입국이 거부된 건수가 역대 최다 수준으로 급증했다.     다만 입국거부 대상자 중 38%에 달하는 이들은 임시 입국허가(Parole) 자격을 받아 최종적으로는 미국에 입국했고, 잠재적 노동허가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시라큐스대 산하 업무기록평가센터(TRAC)가 지난 12일 발표한 ‘10년간 입국 거부 통계’에 따르면, 2022~2023회계연도(2022년 10월 1일~2023년 9월 30일) 중 10개월간 입국거부 대상에 해당한 외국인은 총 78만8953명으로 집계됐다. 2021~2022회계연도 당시 입국거부(38만652명) 대상자와 비교했을 때 2배를 훌쩍 넘어서는 수준이다. 특히 2022~2023회계연도의 경우, 2022년 10월부터 2023년 7월까지 데이터만 집계한 결과이기 때문에 실제 입국거부 대상자 수는 80만명을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1~2012회계연도 당시 14만8820명에 불과했던 입국거부 대상자는 갈수록 빠르게 늘고 있다. 팬데믹 영향이 컸던 때엔 13만명 수준으로 떨어지기도 했지만, 최근 급격히 다시 늘었다. 입국거부는 범죄이력이나 테러위험의 경우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적절한 입국서류가 없거나 이민법 위반이 발생했을 경우에 일어난다.     입국거부 대상이 급증하긴 했지만, 그만큼 임시 입국허가가 적용된 건수도 그만큼 늘었다. 2022~2023회계연도 기간동안 입국거부 사유가 발생한 이들 중, 임시 입국허가를 적용받아 최종 입국한 경우는 30만1069건(38.2%)에 달해 역대 최다 수준이었다. 쿠바·아이티·니카라과·베네수엘라·우크라이나 출신 망명신청자들을 위한 인도주의적 임시 체류허가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입국거부 사유가 많이 발생한 국경지역에도 변화가 있었다. 과거 캘리포니아·텍사스주 국경이 압도적이었지만 최근에는 플로리다주 마이애미국제공항(9485건), 포트로더데일(5261건) 등 플로리다 지역이 크게 늘었다. 버팔로나이아가라 국경에선 4202건, JFK공항에선 3253건이 발생했다. 한편 최근 10개월간 입국 과정에서 추방재판 출두서(NTA)를 받았거나 입국이 거부된 한인은 총 5407명으로 역시 사상 최대 규모였다. 절반 이상(2666건)이 비이민비자 소지자로 비자기간 만료 등이 문제가 됐던 것으로 파악됐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입국거부 건수 입국거부 대상자 입국거부 사유 10개월간 입국거부

2024.01.15. 16:42

기업 8월 구인 건수 961만건…전월 대비 69만건 증가 반등

기업의 8월 구인 규모가 반등하며 노동시장 과열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연방 노동부가 3일 공개한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8월 민간기업 구인 건수는 961만 건으로 전월 대비 69만 건(7.7%) 증가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 880만 건을 크게 웃도는 규모다.   민간기업 구인 건수는 올해 들어 감소 추세를 이어오며 지난 7월엔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를 경신한 바 있다.   구인 건수의 반등은 노동시장의 초과 수요가 쉽게 해소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노동시장 과열이 인플레이션 고착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보고 고용 관련 지표를 눈여겨보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8월 잭슨홀 미팅 연설에서 “노동시장 과열 완화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증거가 나온다면 이 역시 통화정책의 반응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은 오는 6일 발표되는 9월 고용보고서 등 핵심 고용 관련 지표에서 노동시장 열기가 지속될지 주목할 것으로 전망된다.건수 전월 증가 반등 노동시장 과열 노동시장 열기

2023.10.03. 19:19

전체 주택거래 건수 정체, 단독만 증가

지난 7월 LA한인타운에서 거래된 전체 주택 수는 전달과 동일했지만 단독주택만은 지난 6월과 2022년 7월보다 모두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한인 부동산 업계는 단독주택의 경우, 매물만 충분했다면 매매 건수가 더 늘어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지난 7월 팔린 주택 수는 76채로 전월의 75채보다 1채 더 느는데 그쳤다. 하지만 전년 동월의 76채와는 동일했다.   이는 본지가 드림부동산(대표 케네스 정)의 도움을 받아 2023년 7월 LA한인타운에서 거래된 주택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부동산 업계는 7월에도 모기지 이자가 높게 유지되면서 셀러들이 매물을 내놓지 않고 있는데다 바이어들도 부담을 느끼면서 LA한인타운 주택 시장이 정체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단독주택(SFR)   지난 7월에 매매된 단독주택 수는 전달의 31채보다 4채(13%) 많았으며 전년 동월의 30채보다 5채(17%) 웃돌았다.〈표 참조〉     중간 거래가격은 163만 달러로 2022년 7월의 167만6500달러보다 3% 부족했다. 그러나 스퀘어피트당 평균 가격은 전년 7월보다 7% 높은 984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6월(924달러)과 비교해도 6% 높은 수준이다.     LA한인타운에 있는 한 부동산 에이전트는 “바이어들의 LA한인타운 단독주택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높은 편”이라며 “오픈하우스를 진행하면 1~2주 안에 집이 팔리고 주택 위치나 주거 환경 등이 우수하면 호가보다 더 높은 가격에 매매된다”고 설명했다.     ▶콘도, 임대수익용   20채 팔린 콘도는 전월의 21채보다 1채 적었다. 이는 전년 동월의 24채보다는 4채(17%)가 감소한 것이다. 콘도의 경우 중간 거래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4만 달러 더 오른 74만2500달러였다. 스퀘어피트당 거래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소폭 내린 603달러를 기록했다.   임대수익용 주택 거래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한 채 적은 21채였다. 지난 6월의 23채보다 2채 밑돌았다. 중간가격(140만 달러)과 스퀘어피트당 평균 가격(392달러)은 지난 6월과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소폭 내렸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임대수익용 주택은 대체로 매물이 희소한 데다 임대 수익률(cap rate)에 따라 오퍼 경쟁 상황도 크게 달라져 거래 변동 폭이 크다고 설명했다.     케네스 정 드림부동산 대표는 “7월 LA한인타운 주택시장은 지난 6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거래가 이루어졌다”면서도 “매물 부족이 해결되지 않는 한 활기를 이어가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임대수익용은 높은 모기지 이자에도 선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LA한인타운 주택 거래 동향조사는 우편번호 90004, 90005, 90006, 90010, 90019, 90020, 90036 지역을 대상으로 했다. 따라서 다른 한인타운 내 주택거래 동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번 자료 집계 기간은 2023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다. 진성철 기자주택거래 건수 la한인타운 주택시장 la한인타운 단독주택 임대수익용 주택

2023.09.04. 18:00

썸네일

12월 주택허가 건수 전달 대비 11.1% 감소

 전국적으로 주택시장이 위축되고 있으면서 작년 12월 건축허가 액수나, 주택 허가 건 수 모두 전달에 비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방통계청이 발표한 12월 건축허가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 전체로 건축허가 액수는 102억 8700만 달러로 월간으로 7.3%가 감소했다. 주택의 허가 건 수는 1만 9346건으로 이도 전달 대비 11.1%가 감소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허가액은 1.8%가 그리고 주택 건수는 1.2%가 줄어들었다.   주별로 월간 주택 허가액의 변화에서 BC주는 1900만 달러가 감소했다. 퀘벡주는 3억 700만 달러나 급감했고, 온타리오주도 1억 9600만 달러가 줄었다. 허가 건수로 월별 변화에서 BC주는 1.3%가 감소했다.     현재 BC주정부나 연방 야당들은 신속하게 주택 허가를 처리해 공급을 늘리는 방식으로 집값 안정을 가져오겠다는 입장을 내놓았었다. 그러나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표영태 기자주택허가 건수 주택허가 건수 허가 건수로 주택 건수

2023.02.03. 13:15

썸네일

한인 학부모 '학폭 자료' 요청에 '7천불' 부과

학교 폭력 사례와 관련해 공공 기록을 요청했던 한인 학부모에게 교육구가 수천 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해 논란이다.    공익 변호사들은 학부모를 옹호하며 주 법무부에 항의 서한까지 발송했다.    공익변호사 단체인 미국자유네트워크(AFN)는 지난 1일 텍사스주 법무부에 조슈아 독립교육구가 한인 테리 첨찰씨에게 부과한 공공 기록 검색 수수료(7111달러 12센트)와 관련, “학부모가 학교와 관련한 간단한 정보를 얻는데 수천 달러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며 항의 서한을 보냈다.    논란은 지난 11월부터 불거졌다. 학부모인 첨찰씨는 지난 2015~2022년 사이 교육구에 접수된 교내 폭행 및 따돌림 사례, 경찰 고소, 고충 신고 등에 대한 기록 공개를 요청했다.    첨찰씨에 따르면 아들은 한인 혼혈아로 학교 내에서 2년간 지속해서 학교 폭력에 시달려왔다. 학교 폭력과 관련해 첨찰씨는 교육구에 피해 사실을 알리고 대응 방안 마련을 촉구했지만 별다른 답변을 받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첨찰씨는 “한인 혼혈아라는 이유로 우리 아들은 학교에서 계속 폭행에 시달렸고 8학년 때는 고막까지 파열됐다”며 “결국 학교 폭력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 교육구에 신고건 등의 기록을 요청했는데 수수료로 수천 달러를 부과하는 건 터무니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번 논란관 관련해 교육구 측은 “학교 폭력과 관련한 자료가 총 6636페이지에 이른다”며 “이를 전자식으로 검색할 도구가 없어서 직원들이 개인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관련 자료를 직접 취합하고 수정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변호사 항의서한을 보면 교육구 측은 첨찰씨에게 기록 공개 전 개인 정보 삭제를 위한 작업 비용(4927달러 23센트), 기록 인쇄 및 스캔 비용 등 7000달러가 넘는 수수료를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AFN 워렌노어레드 변호사는 “교육구는 부모가 자녀가 학교에서 겪는 일에 대해 질문하지 못하도록 겁을 주려고 과도한 수수료를 청구하고 있다”며 “게다가 첨찰씨는 단순히 학교 폭력 건수만 필요했을 뿐 신고 내용을 보려고 한 게 아니었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공공 기록 공개와 관련해 교육구의 과도한 수수료 부과는 곳곳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언론 매체 데일리와이어는 텍사스주 포트워스독립교육구가 지난 8월 K~12의 도서 목록 기록을 요청한 학부모에게 1300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한 사례를 8일 보도했다. 또, 로드아일랜드주에서는 한 학부모가 킨더가튼의 커리큘럼 기록을 요청했다가 교육구로부터 공개 비용으로 7만4000달러가 부과될 수 있다는 답변을 받은 사실도 전했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건수 요청 한인 학부모 학교 폭력 조슈아 독립교육구

2022.12.09. 22:4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