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건물을 신축하려고 하는데 건축사와 엔지니어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건축주로서 이들 사이의 역할은 어떻게 나뉘는지 궁금합니다. ▶답= 건물을 짓는 데 있어 “설계자”라는 단어는 여러 사람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건축사도 있고, 구조, 전기, 기계, 토목 등의 전문 엔지니어도 있습니다. 건축주로서 이들의 역할에 대해 기본적인 이해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축사는 단지 외관이나 인테리어를 디자인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건물의 기능, 안전, 미관, 법규, 예산을 총괄적으로 고려하여,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전문가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엔지니어들과 협업하여 하나의 통일된 건축물을 실현하는 리더 역할을 수행합니다. 건축사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건축 기획 및 콘셉트 디자인, 인허가를 위한 도면 설계 및 법규 검토, 구조,기계,전기,토목 등 다양한 엔지니어의 설계를 조율, 시공 도중 현장 이슈 대응 및 설계 감리. 건축사는 흔히 말하는 ‘디자이너’가 아니라, 프로젝트의 종합 설계자입니다. 엔지니어는 건축사의 설계를 바탕으로 기술적 요소를 구체화하고 계산하는 전문가입니다. 예를 들어 구조 엔지니어는 건물이 안전하게 서 있을 수 있도록 하중과 그에 맞는 구조재를 분석하고, 기계 엔지니어는 냉난방 시스템을, 전기 엔지니어는 배선과 조명을 설계합니다. 엔지니어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조, 전기, 기계, 토목 등 각 기술 분야의 상세 설계, 계산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안전성 확보, 건축사와의 협업을 통한 기술 해석 및 도면 제작, 현장 기술 자문. 즉, 엔지니어는 각 분야의 전문 기술을 통해 건축사의 아이디어를 실현해주는 실무 파트너입니다. 건축사가 각 엔지니어의 설계를 종합적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지 않으면, 각 부문이 충돌하고, 현장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축주는 처음부터 건축사와 함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건축사를 중심으로 엔지니어들이 협업하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의: (714) 829-4933 / [email protected]미국 건축사 전기 엔지니어 기계 엔지니어 구조 엔지니어
2025.04.25. 15:34
▶문= 점포 리모델링하려고 하는데 건축사와 인테리어 디자이너 중 누구와 계약을 해야하나요? ▶답= 많은 분들이 "건축사"와 “인테리어 디자이너”의 역할을 혼동하곤 합니다. 둘 다 ‘공간을 디자인하는 사람’이라는 점에서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접근과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건축주로서 현명한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역할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축사는 건물의 구조, 배치, 인허가, 기술 설비 등 공간 전체의 근본을 설계하는 전문가입니다. 단순히 보기 좋은 공간이 아니라, 법적 요건을 충족하며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공간을 만드는 것이 핵심 역할입니다. 즉, 건축사는 단순한 디자인을 넘어 ‘공간의 뼈대를 책임지는 전문가’입니다. - 건축 인허가를 위한 도면 설계 및 관청 협의 - 구조, 배관, 전기 등 건물의 시스템 설계 조율 - 외장재와 공간의 구성 등 전체적인 건축 콘셉트 수립 - 시공 단계에서 설계 의도 유지 및 감리 역할 인테리어 디자이너는 완공된 구조물 안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공간을 구성합니다. 마감재 선택, 가구 배치, 조명 설계, 색채 조화 등을 통해 공간의 분위기와 감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구조 변경이나 인허가가 필요한 경우에는 건축사의 검토 및 설계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 내부 마감재, 가구, 조명 등 세부 디자인 - 사용자 경험과 스타일을 고려한 공간 연출 - 디스플레이 및 데코레이션 제안 - 소규모 리모델링의 경우 레이아웃 조정 ▶문= 건축주라면 누구와 먼저 협업해야 할까요? ▶답= 건물의 구조, 증축, 변경, 신축이 포함된 경우 반드시 건축사와 먼저 협의해야 합니다. 법적 인허가부터 구조 안전까지 건축사가 담당합니다. 이미 완공된 공간의 내부를 꾸미는 작업 단계에선 인테리어 디자이너와 협업할 수 있습니다. 다만, 건축적 변경이 수반된다면 다시 건축사의 검토가 필요합니다. 건축사와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협업하는 방식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이때 전체를 통합해 조율할 수 있는 건축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일관성과 품질 유지에 효과적입니다. ▶문의: (714) 829-4933 / [email protected]미국 건축사 인테리어 디자이너 분들이 건축사 공간 연출
2025.04.25. 15:33
▶문= 작은 상가를 리모델링하려고 하는데 건축사와 시공사 누구에게 먼저 연락을 하여야 하나요? ▶답= 많은 분들이 "건축사"와 “시공사”의 역할을 혼동하곤 합니다. 모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그 역할과 책임은 명확히 다릅니다. 이들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성공적인 프로젝트의 시작입니다. 건축사는 단순히 도면을 그리는 사람이 아닙니다.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공간의 기능성과 아름다움, 법규와 예산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전문가입니다. 초기 기획부터 인허가, 시공 중의 자문까지 건축 전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건축사는 단순한 ‘디자이너’가 아니라, 건축주의 이익을 대변하는 총괄 조정자입니다. - 건축 기획 및 디자인: 건축주의 요구와 예산을 바탕으로 공간 구성 제안 - 법규 검토 및 인허가 진행: 시청과의 협의, 허가도서 작성 및 제출 - 공사 전 기술 조정: 구조, 기계, 전기, 배관 등 각 분야 엔지니어들과 협업 - 공사 중 감리 및 품질 확인: 설계 의도에 맞는 시공 여부 확인 및 시공자와 조율 시공사는 도면을 바탕으로 공사를 수행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재료를 조달하고, 인력을 투입해 물리적인 구조물을 짓는 전문가들입니다. 시공사는 설계 변경이나 법규 해석이 필요한 경우 건축사와 협의가 필요하며, 건축주의 입장에서 볼때 중립적인 판단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건축주의 이해관계를 보호하려면 반드시 건축사의 관여가 필요합니다. - 공사비 견적 및 계약 체결 - 현장 공사 진행 및 하청업체 관리 - 공사중 인스펙션 ▶문= 건축주로서 어떻게 이 둘을 대해야 할까요? ▶답= 계약의 순서를 잘 정하세요. 먼저 건축사와 협의해 설계를 진행하고, 그 이후에 시공사 견적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며 바람직합니다. 건축사를 중간 조율자로 두세요. 현장 이슈나 설계 변경에 대해 건축사가 대신 대응해 주므로, 갈등을 줄이고 품질을 지킬 수 있습니다. 설계를 가볍게 여기지 마세요. ‘공사만 잘하면 된다’는 생각은 오히려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게 만듭니다. ▶문의: (714) 829-4933 / [email protected]미국 건축사 분들이 건축사 시공사 견적 시공사 누구
2025.04.25. 15:32
▶문= 장애인법 관련하여 컨설팅과 검사를 해주는 CASp이라는 전문가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CASp은 무엇이고 건축사 (architect)와는 어떻게 다른가요? ▶답= 캘리포니아에서는 많은 수의 장애인 접근성 소송이 제기되어 왔었고 일부는 법을 악용한 돈벌이용 소송이라는 비판도 있어왔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애인 접근성 규정 준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CASp (Certified Access Specialist, 공인접근성전문가)이라는 전문가 인증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CASp 검사를 통해 장애인소송의 대상이 되기 전에 위반 사항을 미리 알 수 있고 검사후 위반 사항이 발견되면 이를 수정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어 비용이 많이 드는 소송 및 법정 손해배상을 피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신축건물들도 CASp의 도움을 받아 건물설계단계에서 도면을 검토하거나 공사준공직전에 CASp 검사를 받는 비율이 많아 졌습니다. 일반적으로 신축건물은 장애인규정에 맞을 것이라고 생각을 하나 실제적으로는 장애인규정이 방대하고 복잡하여 건축가가 규정에 어긎나게 설계를 하거나 그런 설계안이 시청에서 승인이 되기도 합니다. 장애인 소송이 발생하면 손해를 보는 것은 건물주이기 때문에 추가비용이 들더라도 안전장치로 별도의 CASp의 검토나 검사를 받는 것입니다. 하지만 CASp은 장애인법 전문가이지 건축가는 아니기 때문에 법규위반 사항에 대한 디자인적인 해결책은 원칙적으로 제시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수정이 필요할 경우 추가적으로 건축사(architect) 또는 이에 준하는 자격을 가진 사람을 고용하여야 합니다. 그래서 CASp인증과 건축사 자격증을 함께 가지고 있는 전문가를 고용하는 것이 비용과 시간면에서 많은 이익을 줄 수 있습니다.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CASp인증을 가지고 있는 건축사는 약 100여명이 될 것으로 추산이 됩니다. 건축사 자격증 리스트는 캘리포니아 건축사 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있고 CASp 리스트는 캘리포니아 건축국 홈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건축사 위원회 https://www.cab.ca.gov/cons/archs/lic_search.shtml 캘리포니아 건축국 https://www.apps2.dgs.ca.gov/DSA/CASP/casp_certified_list.aspx ▶문의: (714) 829-4933 / [email protected]미국 건축사 캘리포니아 건축사 캘리포니아 장애인법규 이웅범 건축사
2025.02.27. 1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