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글로벌 아이] 블랙핑크와 전체주의

블랙핑크가 워싱턴에 오는 것은 애초부터 어려운 일이었다. 지난 4월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 방미에 맞춰 걸그룹 블랙핑크의 워싱턴 공연이 있을 거란 소문이 돌았지만, 얼마 후 바로 ‘없던 일’이 됐다. 세간에 알려진 대로 안보실장이 대통령에게 보고를 누락해 그렇게 됐는지는 본인들만 알 이야기다.   그러나 저간의 사정을 잘 아는 워싱턴 인사들은 백악관부터 이 일을 너무 쉽게 생각했다고 한다. 이미 짜인 투어 일정을 바꾸는 것도 어려운 일인데, 특히 비용 부담이 문제였다. 한국 대기업을 포함해 민간 후원을 받으면 된다고 생각했지만, 당장 법적 논란이 불가피했다. 사실상 백악관에 대한 뇌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연 장소로 거론된 케네디 센터도 마찬가지였다. 수만 명이 모일 블랙핑크 팬을 수용할 공간도 없었지만, 국가적 대형 행사를 아무 절차없이 선정해 치렀다가 특혜 논란에 휩싸일 수 있었다. 역사적으로 미국은 연방정부의 이해 충돌에 민감했다. 당장 이게 법적 문제까지 되진 않더라도, 다음 선거 때 공화당 측으로부터 공격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았다.   얼마 전 한국에선 세계 잼버리 대회의 거듭된 파행에 대기업과 민간 대학이 구원투수로 등장했다. 수십만 명분 음료를 지원하고 현장 환경미화엔 신입사원들까지 동원됐다. 모두 ‘국가 이미지 실추’라는 풍전등화 위기 앞에 자발적으로 나선 마음이었는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언론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이들 연수원·기숙사에 잼버리 참여자를 수용하라고 통보를 했다. 식사나 시설 이용에 대한 아무 지침이 없었고 당국의 비용지원도 없다고 했다.   모두가 합심해 훈훈한 미담으로 끝나는 모양새지만, 정부가 민간의 역량을 제 주머니서 꺼내 쓰듯 하는 것은 전체주의 국가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공동체·국가를 개인보다 위에 두고 개인을 전체의 존립과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게 전체주의다.   정부가 보낸 공문 앞에 기업·대학들은 ‘안 하면 불이익이 있지 않을까’ 한 번쯤 걱정했을 것이다. 이번에 참여한 곳들은 뭔가 보험에 들어 놓은 기분일 수도 있다. 최소한 백악관이 블랙핑크 초청을 접으며 했던 ‘이해충돌’에 대한 고민이 한국 정부에선 전혀 없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공산 전체주의를 맹종하는 반국가 세력들이 여전히 활개 치고 있다”고 말했다. ‘공산’까지는 아니더라도 전체주의의 그림자가 우리 사회에 여전히 드리워져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김필규 / 한국 중앙일보 워싱턴 특파원글로벌 아이 블랙핑크 전체주의 걸그룹 블랙핑크 워싱턴 공연 한국 대기업

2023.08.25. 21:33

블랭핑크, 코첼라 뜨겁게 달궈…최대 음악 축제 ‘헤드라이너’로

걸그룹 블랙핑크가 4년 만에 다시 찾은 미국 최대 음악 축제 ‘코첼라 밸리 앤드 아츠 페스티벌’에서 헤드라이너(간판출연자)로 무대를 달궜다.     블랙핑크는 15일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행사에서 이날의 마지막 출연자로 등장했다. 네 멤버는 팀 이름처럼 검은색과 분홍색이 섞인 의상을 입고 등장해 2집 선공개곡 ‘핑크 베놈’으로 공연의 포문을 열었다. 이어 ‘킬 디스 러브’, ‘하우 유 라이크 댓’, ‘프리티 새비지’ 등 히트곡을 잇달아 열창했다.     행사장을 가득 메운 현지 관객들은 우리말 노래도 익숙한 듯 따라부르며 공연을 즐겼다. 관객들은 블랙핑크를 상징하는 분홍색 응원봉을 흔들었고, 무대와 가까운 객석 한편에서는 커다란 태극기도 눈에 띄었다. 이날 공연은 코첼라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헤드라이너 음악 최대 음악 걸그룹 블랙핑크 검은색과 분홍색

2023.04.16. 20:19

썸네일

블랙핑크, 타임지 '올해의 엔터테이너'…걸그룹으론 첫번째 뽑혀

걸그룹 블랙핑크(BLACKPINK)가 5일 시사 주간지 타임(TIME)이 선정한 ‘2022 올해의 엔터테이너’(사진)에 올랐다.   이 부문에서 걸그룹이 뽑힌 것은 처음이며, K팝 그룹 중에서는 2020년 방탄소년단(BTS)에 이어 두 번째다.   타임은 “블랙핑크가 트렌드를 이끄는 현시대의 아이콘이자,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세계에서 가장 큰 여성 밴드가 됐다”고 평가했다.   블랙핑크는 “음악을 할 때 가장 행복하고 매 순간 즐기면서 임하고 있기에 좋은 성과도 함께 따라온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앞서 블랙핑크는 2019년 ‘타임 100 넥스트(NEXT)’에 뽑혔고, 2020년에는 ‘올해의 인물’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현재 월드투어를 진행 중인 블랙핑크는 북미 7개 도시에서 14회 공연 전석 매진을 기록했으며, 유럽으로 발걸음을 옮겨 7개 도시 10회차 공연을 성황리에 펼치고 있다.   내년부터는 아시아, 오세아니아에서 팬들을 만난다. 김은빈 기자엔터테이너 블랙핑크 걸그룹 블랙핑크 블랙핑크 타임지 공연 전석

2022.12.06. 19:0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