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식단에 빠지지 않는 과일과 채소 중 일부가 건강에 해로운 수준의 농약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컨수머리포트는 지난 18일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신선한 제품을 비롯해 통조림, 건조, 냉동 제품 등 59개 과일과 채소를 조사한 결과 20%에서 농약이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고 밝혔다. 〈표 참조〉 식품 내 농약 잔류와 관련해 역대 최고 수준의 포괄 조사를 한 컨수머리포트는 매년 국내 재배 및 수입 농산물을 대상으로 잔류 농약 검사를 하는 농무부의 7년 분량 데이터를 분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컨수머리포트는 2만9643개의 개별 식품 샘플 검사 데이터를 토대로 검출된 농약의 수, 검출 빈도, 검출량, 각 화학물질의 독성 등을 고려해 과일과 채소의 위험도를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그린빈에서는 10년 넘게 미국서 채소에 사용이 금지된 농약이 잔류해 있었으며 수입 농산물, 특히 멕시코산에서는 위험한 수준의 잔류 농약이 검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유기농 제품은 일반 제품에 비해 농약 위험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항목별 농약 위험도를 살펴보면 국내산 가운데서는 피망, 블루베리(냉동 포함), 감자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린빈, 고추, 케일, 머스타드 그린, 시금치 캔, 냉동 시금치, 냉동 딸기, 수박이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수입 과일·채소 중에는 냉동 블루베리, 셀러리, 콜라드 그린, 그린빈, 감자, 딸기(냉동 포함)가 매우 높았으며 피망, 블루베리, 고추, 케일이 높게 나왔다. 유기농 제품 가운데 국내산은 감자와 시금치만 보통을 기록했을 뿐 나머지는 모두 매우 낮음 또는 낮음으로 평가됐으며 수입품은 그린빈이 매우 높음, 케일이 보통이고 나머지는 낮거나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컨수머리포트는 조사한 과일 25개 중 16개와 채소 34개 중 21개는 농약 위험 수준이 낮아 어린이, 임산부도 하루 3회 이상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보통 평가를 받은 항목은 하루 최대 3인분까지 괜찮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어린이, 임산부의 경우 농약 위험도가 높음으로 판정된 과일, 채소는 하루 1회 미만, 매우 높음은 하루 0.5회 미만으로 섭취해야 하며 일반인들도 이 같은 음식 섭취는 제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컨수머리포트에서 식품안전을 감독하는 미생물학자 제임스 로저스는 “농약에 장기간 노출되면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가끔 섭취하는 것은 괜찮기 때문에 고위험 식품을 식단에서 완전히 배제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로저스는 “농약 피해를 줄이는 최선의 방법은 고위험군 품목의 경우 유기농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다. 수입 유기농에 비해 규제가 더 엄격하기 때문에 USDA 유기농 라벨이 붙은 제품을 권장한다. 비용이 더 들지만, 어린이나 임신 기간에는 유기농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글·사진=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과일 채소 농약 위험도 잔류 농약 농약 검출 컨수머리포트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CA US NAKI KoreaDaily
2024.04.19. 0:34
조지아주를 관통하는 가장 긴 강이자 애틀랜타 주요 상수원으로 사용되는 채터후치강에 1년도 안돼 또다시 수질 오염이 발생했다. 비영리 환경보호단체인 채터후치 리버키퍼는 마리에타 하류 지역에서 지난 4일부터 13일까지 강물 샘플을 채취해 검사한 결과, 대장균 수치가 120000CFU/ml에 달했다고 14일 밝혔다. 연방 환경보호국(EPA)은 수영 등 야외활동이 가능한 강물 수질 기준을 대장균 농도 126CFU/ml 미만으로 규정하고 있다. 제이슨 울세스 채터후치 리버키퍼 이사는 "시민들이 채터후치강 하류 부근에 접근하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질 오염은 클레이튼 카운티에 위치한 생활 폐수 처리시설의 2차 정수 기능이 폭우로 잠시 마비되며 발생했다. 이곳은 하루 최대 1억 갤런의 폐수를 정화해 배출하는 곳이다. 애틀랜타 유역관리부에 따르면, 1차 처리가 정상 작동했기 때문에 오·폐수가 직접 강으로 방류되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환경당국은 수리 중인 시설을 대체하기 위해 8개의 이동식 폐수처리기구를 가동하고 있다. 채터후치강은 지난해 7월 풀턴 카운티의 빅크릭 하수처리장 내 문제가 발생하며 약 2천만 갤런의 폐수가 배출되는 사고를 겪기도 했다. 당시 11마일에 걸친 강 유역을 3주 가량 폐쇄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대장균 검출 대장균 검출 하류 접근 채터후치 리버키퍼
2024.03.15. 15:49
아마존에서 판매된 아동용 컵인 ‘컵킨’(사진) 제품 34만6000개를 전량회수한다고 최근 밝혔다.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수지머스(Soojimus)의 8온스와 12온스의 ‘컵킨 더블웰드 스테인리스스틸 아동용컵’에서 정부 기준치 이상의 납이 검출됐다고 전했다. 납에 노출되면 유아 성장과 인지발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금속이다. 리콜 대상은 2018년부터 2023년 3월까지 20달러에 아마존과 컵킨 웹사이트에서 판매됐다. 업체는 컵킨의 사용을 즉각 중단하고 전액 환불을 받으라고 촉구했다. 문의는 전화(888-721-0096)로 하면 된다. 초과 검출 초과 검출 리콜 대상 스테인리스스틸 아동용컵
2023.07.24. 2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