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우리말 바루기] ‘한창때’? ‘한참때’?

기운이나 의욕 등이 가장 왕성한 때를 가리키는 말은 ‘한참때’라고 해야 할까? ‘한창때’라고 해야 할까? 막상 적으려고 하면 헷갈린다.   ‘한참’과 ‘한창’은 발음과 표기가 비슷하다 보니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한참’은 “한참 동안 기다렸다” “한참을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에서와 같이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을 가리키는 명사로 쓰인다. “한참 난투극이 벌어졌다”에서처럼 어떤 일이 상당히 오래 일어나는 모양을 나타내는 부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붉은 노을빛이 아직 한참 남아 있었다”에서와 같이 ‘수효나 분량, 정도 등이 일정한 기준보다 훨씬 넘게’라는 의미를 지닌 부사로도 쓰인다.   ‘한창’은 “공사가 한창인 아파트” “겨울 축제가 한창이다”에서처럼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하게 일어나는 때나 어떤 상태가 가장 무르익은 때를 나타내는 명사로 사용된다. “지금은 지하철이 한창 붐빌 시간이다” “눈이 한창 쏟아지고 있다”에서와 같이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하게 일어나는 모양이나 어떤 상태가 가장 무르익은 모양을 나타내는 부사로도 쓰인다.   따라서 전성기, 즉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한 때를 의미하는 말은 ’한창‘과 ’때‘가 결합한 ’한창때‘가 바른 표현이다. ’때‘는 일반적으로 앞 단어와 띄어 쓰나 ’한창때‘는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우리말 바루기 한창때 한참때 부사로 사용되기 겨울 축제 분량 정도

2024.10.02. 18:48

조지아 주립 식물원, 이달 말까지 '겨울 빛축제'

성탄절을 앞두고 에선스 조지아대학(UGA)에 위치한 조지아 주립 식물원이 이달 30일까지 겨울 빛 축제 '윈터 원더 라이츠'(Winter WonderLights)를 선보인다.   크리스마스 조명을 장식한 여러 식물이 정원 산책로에 배치되며, 겨울 동굴, 캔디 케인 레인(Candy Cane Lane), 콘 트리 숲 등 다채로운 테마 정원이 꾸며진다. 정원 내 기념품 가게에서는 에선스 지역의 유명한 초콜릿 전문점인 콘도르 초콜릿의 제품도 맛볼 수 있다. 오후 5시반부터 9시까지 입장 가능하며, 입장료는 1인당 15불(3세 이하 아동 무료)이다. 관람은 1시간 가량이 소요된다.     조지아 주립 식물원은 1968년 조지아 대학교가 식물 연구 및 교육을 목적으로 설립한 공간이다. 313 에이커의 넓은 부지에 산책로와 테마 정원, 아이들을 위한 놀이 시설 등이 잘 갖춰져 있어 에선스 지역의 주요한 관광지로도 꼽힌다. 미국 최대의 조류보호단체인 전미오듀본협회 지정 조류관찰구역이기도 하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조지아 식물원 조지아 주립 겨울 축제 조지아 대학교

2023.12.05. 15:08

썸네일

[우리말 바루기] ‘한창때’가 ‘한참’ 지났다

기운이나 의욕 등이 가장 왕성한 때를 가리키는 말은 ‘한참때’라고 해야 할까? ‘한창때’라고 해야 할까? 막상 적으려고 하면 헷갈린다.   ‘한참’과 ‘한창’은 발음과 표기가 비슷하다 보니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한참’은 “한참 동안 기다렸다” “한참을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에서와 같이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을 가리키는 명사로 쓰인다. “한참 난투극이 벌어졌다”에서처럼 어떤 일이 상당히 오래 일어나는 모양을 나타내는 부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붉은 노을빛이 아직 한참 남아 있었다”에서와 같이 ‘수효나 분량, 정도 등이 일정한 기준보다 훨씬 넘게’라는 의미를 지닌 부사로도 쓰인다.   ‘한창’은 “공사가 한창인 아파트” “겨울 축제가 한창이다”에서처럼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하게 일어나는 때나 어떤 상태가 가장 무르익은 때를 나타내는 명사로 사용된다. “지금은 지하철이 한창 붐빌 시간이다” “눈이 한창 쏟아지고 있다”에서와 같이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하게 일어나는 모양이나 어떤 상태가 가장 무르익은 모양을 나타내는 부사로도 쓰인다.   따라서 전성기, 즉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한 때를 의미하는 말은 ’한창‘과 ’때‘가 결합한 ’한창때‘가 바른 표현이다. ’때‘는 일반적으로 앞 단어와 띄어 쓰나 ’한창때‘는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우리말 바루기 한창때 부사로 사용되기 겨울 축제 분량 정도

2023.11.03. 20:4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