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트럼프 되면 어쩌나”…경제정책 변화에 촉각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커지자 시장 참가자들의 움직임도 분주해지고 있다.   트럼프 캠프의 주요 경제정책을 분석하고 이 정책이 시행될 경우 채권 등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따져보는 모양새다.   마이클 페롤리 JP모건 이코노미스트는 1일 보고서에서 트럼프 캠프의 주목할 경제 정책으로 관세와 이민 정책 등을 꼽았다.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바이든이 재선할 경우보다 트럼프가 승리할 시 무역 장벽이 높아질 것으로 평가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앞서 중국 수입품을 대상으로 60% 관세에다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JP모건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전 집권 시기에 교역가중치 기준 관세를 1.5%에서 3.0% 수준으로 끌어올렸고 소비자물가를 0.3% 정도 상승시켰다.   이번에도 비슷한 산식을 적용하면 트럼프 집권시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은 60%로 대략 48%포인트 높아진다. 이에 따라 2000억 달러 관세 수입이 발생하고 가격 수준을 1.1% 끌어올릴 것으로 추정했다.   모든 수입품에 부과되는 10% 관세는 2800억 달러 규모로, 물가를 대략 1.5% 상승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이민 정책도 주목할 변수다.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이민자 유입세가 빠르게 둔화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JP모건은 앞서 대규모 이민자 유입에 일자리 증가 속도가 종전 10만개에서 20만개로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월별 비농업 부문 취업자 수 증가 폭을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민자 유입은 주택 공실률을 낮추는 요인으로도 봤다.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에 이러한 이민자 유입세가 둔화한다면 디스인플레 압력이 될 수 있는 셈이다. 다만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이민자 유입세 둔화가 디스인플레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평가했다.   직접적 경제 영향보단 선언 효과(Announcement effect)에 주목해야 한단 의견도 나왔다.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이전 트럼프 정부에서 관세 발표 후 주식시장에 큰 충격을 줬다며 상당한 불확실성이 성장 전망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JP 경제정책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캠프 트럼프 집권시

2024.07.01. 19:58

인플레 심화, 바이든 복지예산에 암초…공화 "끔찍한 경제정책"

인플레 심화, 바이든 복지예산에 암초…공화 "끔찍한 경제정책" 30년래 최대폭 물가상승…공화당 맹공, 민주당내 일각도 우려 무디스 애널리틱스 "바이든표 예산이 2024년까지 물가 0.3%P↑"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사회복지 예산 드라이브가 인플레이션이라는 커다란 암초를 만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30년 사이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이 바이든 대통령에게 새로운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고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인프라 예산 법안 통과에 이어 2조 달러 규모의 사회복지 및 기후변화 예산안도 밀어붙이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심화 우려에 공화당의 반대 입장이 더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미 노동부가 전날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6.2% 급등한 것이 이런 염려를 키웠다.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는 바이든 경제팀의 당초 예상과 달리 높은 수준의 물가상승률이 반년 넘게 이어지자, 공화당은 인플레이션 공포를 고리로 '더 나은 재건'이라는 이름의 사회복지 예산안을 공격하고 나섰다. 바이든 행정부의 막대한 예산 지출이 안 그래도 높은 물가상승률을 더 끌어올릴 것이라는 주장이다. 케빈 크레이머(공화·노스다코타) 상원의원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이번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진짜다. 바이든 행정부의 끔찍한 경제정책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커진 것"이라고 비난했다. 공화당은 내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인플레이션 문제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 버그 전국공화당의회위원회(NRCC) 대변인은 WSJ에 "유권자들은 과도한 지출과 국가 공급망에 대한 관리 부실로 이번 인플레이션 위기를 초래한 데 대해 민주당에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내 중도 진영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예산 법안 표결에서 열쇠를 쥔 조 맨친(민주·웨스트버지니아) 상원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누구의 이야기를 들어봐도 기록적인 인플레이션이 미국인들에게 미치는 위협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다"라며 "워싱턴은 미국인들이 매일 느끼는 경제적 고통을 더는 무시할 수 없다"고 밝혔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1조 달러의 인프라 예산과 2조 달러의 사회복지·기후 예산을 합쳐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물가상승률을 평균 0.3%포인트 더 끌어올릴 것으로 추산된다. 민주당과 공화당의 의석수는 하원 221 대 213, 상원 50 대 50으로 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다. 따라서 공화당이 결집하고, 민주당에서 중도파가 이탈할 경우 사회복지 예산의 의회 통과를 장담하기 어렵다. 이에 백악관은 사회복지 예산에 대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17명의 지지 선언을 인용하는 등 이 예산이 인플레이션을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를 진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복지예산 경제정책 사회복지 예산안 인플레이션 문제 인플레이션 공포

2021.11.11. 20:3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