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불체자가 경찰 사칭, 10대 소녀 납치강도

       남미 출신 불법체류자가 경찰관을 사칭해 10대 소녀를 납치하고 강도 행각을 저지른 사실이 드러났다.   연방국토안보부 산하 이민세관 단속국(ICE)의 발표에 의하면, 페루 국적의 호세 엔리크 라미레즈-카브레라(23세)를 밀입국 등 각종 범죄 혐의로 체포했다고 밝혔다.   용의자는 지난 2023년 12월19일 애리조나주의 미국-멕시코 국경을 통해 불법입국 하다가 적발됐으나, 이민법원 출두 명령서만 받고 석방됐다.   버지니아 매나사스 시티 경찰국에 따르면, 용의자는 매나사스의 클로버 힐 로드 선상의 스쿨버스 정류장에서 경찰관을 사창하고 한 10대 소녀를 강제로 자신의 지프 차량에 태워 납치했다.   피해자는 피고의 차량을 타고 6-7마일 쯤 가다가 쿼리 로드 선상에서 뛰어내려 도망쳤다. 경찰은 지난 6일 밤 용의자를 체포했다. 피해자는 용의자의 차량에서 탈출하지 못한다면 성폭행을 당하거나 살해당할 수 있기에, 뛰어내리다가 뼈가 부서지더라도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여겼다고 전했다.   보수파 주민들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국경정책에 실패해 불법체류자를 모두 풀어주고 있으며 이들이 극악무도한 범죄를 저질러도 손을 쓰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납치강도 불체자 소녀 납치강도 경찰 사칭 시티 경찰국

2024.09.11. 12:16

귀넷 경찰 사칭 '사기' 전화 주의

최근 귀넷 카운티 경찰을 사칭하는 사기 전화가 다시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경찰에 따르면 사기범들은 실제 경찰관의 이름을 사용하거나 가짜 배지 번호, 가짜 이름 등을 사용한다. 사기꾼들은 돈을 주지 않으면 체포하거나 다른 조치를 취할수 있다고 위협한다.   사기범들이 흔히 사용하는 시나리오로는 ▶'돈을 안 내면 유틸리티 등의 서비스가 즉시 종료된다, ▶체포된 친척이 보석금을 내거나 혐의를 면제받기 위해 돈이 필요하다, ▶미결제 영장과 벌금을 즉시 내지 않으면 체포된다, ▶배심원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형사 고발당할 수 있다, ▶소액의 초기 비용을 보내면 사전 승인된 대출이 가능하다, ▶복권에 당첨됐다, ▶이민국에 돈을 내지 않으면 추방될 수 있다' 등이 있다.   또 이들은 피해자들로부터 선불카드나 직불카드, 기프트카드, 암호화폐(비트코인) 등의 방식으로 송금하길 요구하는데, 이런 형태는 추적이 어렵기 때문이다.   경찰은 이어 “사기꾼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발신자 ID를 만들 수 있다. 합법적인 기관의 전화번호나 원하는 번호를 표시하면 피해자들이 속아 넘어가기 쉽다”며 “귀넷 경찰은 절대 전화로 어떤 형태의 금전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만약 전화로 선불이나 직불카드, 기프트카드, 암호화폐, 택배를 통한 현금 등을 요구하면 일단 의심부터 해야 한다. 발신자의 신원을 물어본 후 따로 해당 기관에 연락해야 한다. 이때 발신 번호로 전화를 걸면 안 된다. 윤지아 기자경찰 사칭 경찰 사칭 사기 전화 전화 조심

2024.07.09. 14:48

귀넷 경찰 사칭 전화 주의

귀넷 카운티 경찰이 최근 경찰을 사칭한 전화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주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귀넷 경찰은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용의자들이 최근 경찰서 번호인 것처럼 보이게 하는 시스템을 사용해 여러 사람에게 전화를 건 사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사기 용의자는 수신인에게 "(당신은) 법원 출석을 놓쳤으며, 소환장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 경찰 사칭 전화에서 돈을 지불하라는 등의 말은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경찰을 파악했다.     경찰에 따르면 '소환장'과 관련된 사기 전화는 피해자가 즉시 지불해야 하는 영장이나 벌금이 있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다. 당국은 "귀넷 경찰은 절대로 전화로 요금을 요구하지 않으며, 경찰서는 개인에게 법정 출두를 위한 소환장을 보내는데 관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경찰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화 사기 용의자들은 경찰 외에도 요금이 납입되지 않으면 서비스를 종료하겠다는 유틸리티(전기, 가스 등) 회사 체포되어 보석금이 필요하다는 친척 세금이 체납돼 당장 납부하지 않으면 체포 영장을 발부한다는 국세청(IRS) 사전 승인된 대출이 가능하다는 금융기관 요금을 미납하면 추방하겠다고 협박하는 이민 당국 등을 사칭할 수 있다.   다음은 경찰이 제시한 사기 전화 예방 요령이다:     1. 즉시 지불해야 한다는 사람을 의심해야 한다. 특히 현금으로 내야 한다는 사람을 주의해야 하며, 가상화폐, 기프트카드, 계좌 이체 등을 사용하라고 한다면 의심해볼 만하다. 2. 발신인의 신원을 묻고 따로 그 기관에 확인해봐야 한다.   3. 모르는 발신인 또는 이메일로 개인 정보 및 금융 정보를 공개하면 안 된다.   4. 모르는 사람에게 돈을 송금하거나 은행 계좌 번호 또는 신용카드 번호를 제공하면 안 된다.   본인이 전화 사기 피해자라고 생각되면 귀넷 카운티 경찰국에 전화하여 범죄 사실을 신고할 수 있다. 응급 시가 아닐 경우에는 770-513-5700로 전화하면 된다. 윤지아 기자경찰 사칭 카운티 경찰국 최근 경찰서 경찰 사칭

2023.11.28. 16:05

썸네일

경찰 사칭 폭행 사건 알고보니 5인조 강도

최근 LA 한인 타운 인근 주택지역서 발생한 경찰 사칭 폭행 사건〈본지 12월4일 A-1면〉은 5인조 강도들의 소행인 것으로 밝혀졌다.   용의자 가운데 일부는 폭행사건 전 피해자 집에 들어가 현금, 금품 등을 훔치고 있었고 그 사이 집주인이 귀가하자 경찰 점퍼를 입고 밖에서 동정을 살피던 공범들이 접근해 폭행을 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 영상은 최근 소셜미디어에서 논란이 되면서 급기야 지난 2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LA경찰국(LAPD)에 따르면 해당 사건은 지난달 26일 오후 LA 윌셔 지역 풀러 애비뉴 한 주택 현관 앞에서 발생했다.   LAPD 강도수사과 관계자는 “피해자는 3명이다. 이들은 인근 식당에서 저녁 식사를 마치고 집으로 들어가던 중에 폭행을 당했다”며 “용의자들은 ‘경찰’이라고 적힌 잠바와 일종의 (경찰) 배지를 걸고 집 밖에 서있다가 피해자가 집으로 들어가려 하자 총과 망치 등을 든 채 위협했다. 용의자는 총 5명”이라고 전했다.   이 과정에서 용의자 2명이 피해자들을 주먹으로 폭행하기도 했다.   이 관계자는 “수사 결과 용의자 중 일부는 이미 피해자의 집 안에서 금품 등을 훔치고 있었고 피해액은 상당한 액수”라고 덧붙였다.   경찰은 현재 이번 사건과 관련해 제보(213-486-6840·877-527-3247)를 기다리고 있다.   최근 잇따라 발생하는 연말 범죄는 심각하다.   토런스 지역에서는 아시아계가 사는 집만 노린 절도 사건이 연달아 발생〈본지 12월6일자 A-1면〉하고 있다. 베벌리힐스 지역에서는 유명 명품 판매 업소, 백화점 등의 유리문 등이 파손되는 사건이 발생하자 베벌리힐스경찰국은 경관을 추가로 채용하는가 하면 사복 차림의 무장 경관도 배치하기로 했다.   베벌리힐스경찰국 마크 스테인브룩 국장은 최근 발생하는 범죄들에 대해 “이 지역에서는 어떠한 종류의 범죄도 용납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력 경고했다.   이와 함께 멜로즈 지역에서는 범죄 피해 방지를 위해 ‘멜로즈 액션’이라는 주민 단체도 출범했다. 이 단체는 지역 사회 주민들로부터 기부금을 받아 차량, 얼굴 등을 인식할 수 있는 보안 카메라 등을 설치하기로 했다.   이 단체 피터 니콜라스 부회장은 “보안카메라는 민간이 설치하지만 범죄 발생시 관련 데이터는 법집행 기관 관계자만 접근할 수 있게 했다”며 “범죄 피해 방지에 뜻을 함께한 주민들로부터 현재 2만7000달러 이상이 모금됐고 카메라는 상업용 건물 등에 설치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열 기자경찰 사칭 경찰 사칭 5인조 강도들 강도수사과 관계자

2021.12.06. 21:3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