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UC 가주 한인 입학생 3851명 역대 최다

올해 UC 계열 합격 통지를 받은 가주 출신의 한인 신입생 및 편입생 수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또, UC 계열 가주 출신 신입생도 10만 명을 넘어섰다.   UC 총장실에 따르면 UC 계열 올해 가을 학기 가주 출신의 한인 신입생 및 편입생은 3851명이다. 이는 2023년(3535명), 2024년(3639명)에 이어 계속 늘면서 역대 최다로 집계됐다.     올해 가을 학기에 합격 통지를 받은 가주 출신의 아시아계 학생만 따로 추려보면 한인은 중국(1만 3094명), 인도(8504명), 베트남(6727명), 필리핀(6432명)에 이어 다섯 번째로 많다. UC 계열 아시아계 총 학생 중 약 9%가 한인인 셈이다.   합격 통지를 받은 가주 출신의 한인 학생을 유형별로 나눠보면 한인 신입생은 3183명이다. 전체 한인 입학생 5명 중 4명(약 83%)이 1학년으로 입학했다. 3학년으로 입학하는 한인 편입생은 591명이다. UC 총장실은 가주 출신으로 타주 대학에서 편입 등으로 집계에 다소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이번 가을 학기의 UC 계열 학부 신입생 및 편입생 합격자는 총 18만 382명이다. 이 중 가주 출신은 12만 8760명(편입생 2만 7813명 포함)이다. 신입생만 놓고 보면 전체 신입생의 약 68%가 가주 출신인 셈이다.   UC 측은 “가주 출신 신입생은 10만 명을 넘어서면서 역대 최다”라고 밝혔다.   UC 내 주요 학교별로 보면 가주 출신 신입생은 UCLA가 8575명(타주 및 유학생 포함 총 1만 3600명)으로 작년과 비교해 약 200명 줄었다. UC 계열 중 가주 출신이 가장 적었지만, 이는 치열한 합격률(9%)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UC 버클리는 전체 신입생 1만 4451명 중 9874명(68%)이 가주 출신으로 집계됐다.   가주 출신 신입생 합격자가 가장 많은 학교는 UC 리버사이드(5만 3579명)와 UC 머시드(4만 1785명)로 나타났다. 두 학교는 맞춤형 조기 지원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신입생 평균 등록률은 7~12%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주 출신 신입생의 인종별로는 라틴계가 약 3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아시아계(33%), 백인(18%), 흑인(6%), 원주민(1%)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주 출신 신입생 중 저소득층은 42%, 가족 중 처음으로 대학에 진학하는 비율도 42%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과 비교해 1%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성별로는 가을 학기 합격자 54%는 여성, 42%는 남성, 중성 1%, 트랜스젠더 1%, 기타 3%로 집계됐다.   현재 UC 계열은 LA, 버클리, 어바인 등 9개 학부 및 대학원, 전문대학원(SF) 1개를 운영한다. 그동안 UC 계열은 가주 정부와 주민 요구로 가주 출신 학생을 늘려왔다.   UC 계열 학부 담당 한미 윤우 입학처장은 LA 타임스 인터뷰에서 “더 많은 가주 출신 학생에게 UC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가주 전체를 위한 일”이라며 “뛰어난 이들에게 UC 교육 기회를 제공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가을 UC 계열은 비거주자 학비를 기존 3만 4200달러에서 3만 7602달러로 약 10% 인상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신입생 계열 출신 신입생 한인 신입생 uc계열 가을학기

2025.07.28. 20:32

썸네일

UC계열 의료 종사자들 파업

  UC계열 대학에 근무하는 의료 종사자 노조원들이 20, 21일 이틀간 파업에 돌입했다. UC 근로자들의 노동조합인 AFSCME3299는 UC의 불성실한 임금 협상 태도와 부당한 노동 관행에 항의하기 위해 20일과 21일 파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UCLA 의료종사자들이 웨스트우드에 있는 로널드 레이건 UCLA 메디컬 센터 밖에서 파업 및 시위를 하고 있다.   [UCLA 뉴스 캡처]종사자 계열 의료 종사자 uc계열 의료 uc계열 대학

2024.11.20. 20:07

썸네일

US뉴스 LAC-리저널대학 순위..캘스테이트 계열 대학 약진

  올 입시철을 앞두고 US뉴스가 지난달 23일 전국 대학 순위를 발표했다. 지난달 30일에는 2024-25년 '미국 전국대학' 순위였고 이번 주에는 2024-2025 '미국 리버럴 아츠칼리지'와 '리저널 대학 서부지구' 순위를 알아봤다.   리버럴 아츠 칼리지(National Liberal Arts Colelleges)는 마치 아이비리그대학과 비슷한 리그가 있다. 해사와 육사, 공사로 이뤄진 사관학교 그룹이 있고 세븐시스터즈라고 하는 7곳의 여자 대학 모임이 있다. 하지만 여기에 속했다고 최고 명문은 아니다. 또 리버럴 아츠 칼리지(LAC)는 규모가 그리 크지 않지만 전국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들이다.   US뉴스는 매년 1500개에 달하는 대학의 정보를 취합해서 순위를 산정하는데 각각의 성격과 특성을 아주 무시할 수 없어서 대략 4가지의 카테고리로 순위를 나눈다. 전국적인 명성을 갖고 전국에서 지원하는 '전국 대학(National University)', 학부 중심의 전국에서 지원하는 '리버럴 아츠 칼리지(National Liberal Arts College)', 지역 학생이 지원하는 종합 대학인 '리저널 대학(Regional University)', 지역 학생이 지원하는 단과 대학인 '리저널 칼리지'로 구분해 각각의 순위를 매긴다. 미국이 넓다보니 리저널 대학과 칼리지는 총 4곳으로 나눠서 산정한다. 캘리포니아는 항상 '서부지구'에 들어간다.   대학 혹은 칼리지는 대부분 학부(undergraduate) 중심이다. LAC는 대부분 1개 학년이 수 백명에 불과하고 석박사 과정이 없는 것은 물론, 대개 서머스쿨이 없고 교수 1인당 학생숫자가 10명 미만이고 50명 이상의 대형 강좌도 거의 없다. 리버럴 아츠 칼리지는 상당수가 대학원이나 법대나 의대 같은 전문대학원으로 진학하기에 대학 명성에 따른 '간판' 보다는 제대로 된 대학 교육을 통한 명문 대학원 입학이 목표인 학생이 많이 진학한다.   올해 LAC 순위   부동의 1위는 수십년째 윌리엄스 칼리지다. 애머스트도 만년 2위다. 올해는 스워스모어가 해사와 자리를 맞바꿨다. 지난해 3위 해사가 4위가 되면서 보든과 포모나가 공동 5위가 됐다. 지난해 공동 4위였던 웰즐리는 7위로 내려 앉았다. 이들을 이어 공사, 육사, 칼턴, 클레어몬트매케나가 공동 8위를 차지했다. 서부 명문 중 하나인 클레어몬트매케나는 3단계를, 칼턴이 1단계를 뛰어 오른 결과다.   10위권 밖으로 공동 12위로 하비머드, 바사가 선정됐고 바나드, 데이비슨, 해밀턴, 스미스 웨슬리언이 공동 14위를 차지해 탄탄한 지위를 굳혔다.     '전국대학' 순위와 마찬가지로 리버럴 아츠 칼리지 순위도 톱10 순위는 수 년째 몇몇 학교가 아래위로 오르내리며 바뀌지 않고 있다. 톱10 아래 순위도 고정돼 있다. 실제로 공동 19위를 차지한 그린넬, 미들버리, 워싱턴앤드리대는 별 차이가 없다고 보는 것이 맞다.   20위 권으로 넘어가면서 조금 억울한 학교들이 포진해 있다. 공동 22위인 콜게이트대, 리치먼드대, 헤이버포드가 10위권에 들어가도 손색이 없는 곳들이다. 이엇 콜비(25), 공동 26위로 매칼래스터, 베이츠, 홀리크로스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외 30위권에는 공동 29위인 브린머, 콜로라도칼리지가 있다.   US뉴스 LAC순위를 따로 만들지만 리버럴 아츠 칼리지들의 특성상 30위권 혹은 35위권 대학까지 모든 면에서 대부분 차이가 없어 보인다.  1개 학년 학생 숫자도 적은 탓이 있지만 SAT/ACT  등의 표준시험 성적 차이가 크지 않아 보인다. 중위 50%의 점수대를 봐도, 1위 윌리엄스 칼리지는 1470-1560인데 공동 5위인 보든은 1480-1550, 포모나는 1480-1560이다. 공동 12위인 하비머드는 1480-1560이다. 대학들의 표준 시험 성적이나 재학생 수준은 거의 백지장 차이로 볼 수 있다. 물론 다른 요소가 차이를 나게 하지만 그 또한 표준시험 성적만큼 비교하기 쉬운 것이 아니다.   가주의 LAC는 지난해에 비해 부진했다. 전년 대비 한 단계 더 물러나 포모나(공동5위)를 비롯해 3단계 오른 클레어몬트 매케나(공동8)가 10위권에 근접한 하비머드(공동12)가 있다.이외 옥시덴탈 34위, 스크립스 44위, 피처 36위로 50위권에 들었다. 지난해 50위권 밖으로 물러났던 소카아메리카는 45위로 복귀했다.     리저널 대학 서부지역   가주가 속해 있는 서부지역의 눈에 띄는 대학은 가주의 경우 캘스테이트가 주류를 이룬다. 예전과 크게 달라진 것은 캘스테이트 계열 대학의 약진이다. 불과 3년전만 해도 리저널대학 순위에 있던 대학들이 올해는 총7곳이나 '전국 대학' 순위로 옮겨졌다. UC샌타크루즈의 84위에 이어서 캘스테이트 롱비치와 샌디에이고 스테이트가 공동 109위를 비롯하여 풀러턴(136), 샌버나디노(171), 프레스노(179), 샌프란시스코 스테이트(204), 이스트베이(273)로 이어지고 있다.   리저널 종합대학 서부지구 톱50에는 캘리포니아 소재 대학이 28개 된다. 우선 캘폴리 3개 대학인 샌루이스오비스포(1위), 포모나(3), 훔볼트(32)를 비롯하여 캘스테이트는 4위 샌호세스테이트를 비롯해, 몬터레이와 스태니슬로스가 공동10위를 차지했고 이어서 LA(15), CSUN(18), 치코(20), 채널아일랜즈(22),샌마르코스(22), 소노마스테이트(25), 새크라멘토(27), 베이커스필드(30), 도밍게스힐즈(35) 등이 포함됐다. 이외 가주지역 리저널 사립대학으로는 캘리포니아 세인트메리칼리지(6), 레즈랜즈대(8), 캘리포니아 루터란대(12), 포인트로마 나자렌대(15), 마운트 세인트 메리 대(20), 캘리포니아 도미니칸대(22),아트센터(29), 캘리포니아 밥티스트대(30), 캘아츠(34),  라시에라대(43),  서던 캘리포니아 밴가드대(44)우드베리대(47), 프레스노 퍼시픽대(47), 등이 50위 내에 들었다.   리저널 대학에는 대개 지역 학생들이 지원해 재학하며 대학원에서는 석박사 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장병희 기자계열 대학 명문 대학원 전국 대학 대학 서부지구

2024.10.27. 16:55

썸네일

UC계열 교직원 파업 돌입

  UCLA를 비롯해 UC계열 10개 대학의 노조 소속 교직원 4만8000명이 급여인상과 복리후생 향상을 요구하며 14일 파업에 돌입했다. 이날 오전 UCLA 소속 교직원들이 대학 입구에서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 〈관계기사 2면〉     김상진 기자계열 uc계열 파업 uc계열 교직원 돌입 ucla

2022.11.14. 20:55

썸네일

UC 교직원 파업, 노사합의로 취소

가주 주립대학인 UC당국과 UC비종신교원 노조(UC-AFT)간의 극적인 노사 합의가 이뤄져 당초 예정됐던 17일과 18일 양일간의 파업이 취소됐다.     비종신 교원은 UCLA, UC어바인 등 9개 캠퍼스에 소속된 비종신 교수직을 비롯해 도서관 사서, 연간 및 학기별 고용되는 강사, 기타 교원들이 포함된다.     노조측은 “UC에서 강사 경력의 첫 6년을 혁신하는 계기가 됐다”며 “강사를 포함한 교원들의 직업 안정성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다.   노사 양측이 밝힌 내용에 따르면, ▶2022년 7월1일부터 발효되는 고용 안정 조항 계획 ▶첫 6년간의 안정성과 재임용전 평가및 재임용 권리 ▶시니어 강사로 승진위한 경로 제공 ▶성과 평가에 대한 구체적이고 투명한 기준 채택 ▶계약금 1500달러 제공하고 연3%의 연봉 인상 ▶유료 병가 대상자 확대 ▶육아 휴가 4주 등의 지원 확대 ▶여름방학중 강사들의 퇴직 연금 및 건강보험 혜택 확대 ▶직업 개발을 위한 예산 확보 등이다. 장병희 기자노사합의 계열 퇴직 연금 uc계열 교원 uc비종신교원 노조

2021.11.17. 21: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