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재가 노래하는 곳’(Delia Owens)을 읽었다. 제목이 암시하듯 아주 특별한 책이었다. 과연 가재가 노래하는 곳은 어디일까, 그리고 가재의 노랫소리는 어떻게 들을 수 있을까 궁금해졌다. 이 책은 이미 뉴욕타임스 180주 연속 베스트셀러로 이름을 날렸고 이미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이 소설은 한 어린 소녀의 성장소설이면서 자연과 동화되어 자연인으로 살아가는 소녀의 러브스토리이고 살인사건에 휘말리게 되는 추리소설이기도 하다. 작가는 동물행동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아프리카 오지에서 7년 동안 야생동물의 행동과 생태를 연구 조사한 후 ‘칼라하리의 절규’ 등 실화 세 편을 발표하여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로 이미 명성을 얻은 바 있다. 이 책은 이미 그녀가 나이 70이 되어서 쓴 첫 장편소설로 2018년 올해의 책으로 선정될 만큼 전 세계를 휩쓸었다. 23년의 세월을 야생동물을 관찰하면서 인간의 행동도 얼마나 그들과 비슷한지 배우게 되었고 혼자서 성장해야 할 상황에 내몰린 어린 소녀의 행동에 고립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는 자세로 소설을 써보고 싶다는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생물 중에 유독 인간만이 자립하는 데 가장 오랜 시간을 요구한다. 어른의 도움 없이 인간이 자연에서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지 체험하며 이 소설을 써 내려 갔다. 주인공인 카야는 6살 때 술주정뱅이 아버지의 구타에 못 이겨 집을 떠난 엄마를 목격한다. 그 후 두 명의 언니와 두 명의 오빠까지 집을 떠나고 카야만 홀로 폭력적인 아버지와 남게 된다. 얼마 후 아버지마저 집을 나간 후 카야는 혼자 습지에 남겨졌다. 당장 배가 고팠다. 서툴고도 낯설지만, 집에 남아 있는 재료로 무엇이든 만들어 먹었다. 재료가 바닥나자 늪에서 홍합을 캐 먹었다. 어린 카야에게 슬픔이나 외로움, 고독이란 단어는 너무 어렵고 사치스러웠다. 그녀는 홍합을 캐 마을 가게에 가서 생필품과 교환해가며 하루하루를 살아낸다. 마을 사람들은 카야를 마시걸(marsh girl, 습지 소녀)이라고 부르며 그녀의 삶을 왜곡된 시선으로 바라보며 고립시킨다. 그녀는 점점 사람들과의 관계가 소원해지고 차츰 두려워져 사람만 보면 숨게 되는 보호본능의 자신을 발견한다. 이제 카야는 갈매기, 조개, 반딧불, 습지, 바닷가, 모래와 친구가 된다. 종일 습지와 바닷가에서 그들을 관찰하고 깃털을 수집하고 그림을 그린다. 작가의 아름다운 서정적인 문체는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독자에게 갈매기 울음소리를 들려주며 습지 나무 틈새로 새어 나오는 황홀한 빛으로 독자를 감전시키고 가재가 노래하는 곳으로 인도한다. 카야는 습지에서 본능이 가르치는 대로 적응해간다. 카야는 이제 아름다운 소녀가 되었고 습지의 모든 생물과 더불어 사는 법을 배웠다. 카야는 마을 사람들과 어울려 살기를 갈망하지만, 그들은 그녀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카야에게 처음 다가온 소년, 테이트(조디 오빠 친구)가 나타나고 그녀에게 책 읽는 법을 가르쳐준다. 둘은 서로 사랑하게 되지만 테이트는 그의 꿈을 이루기 위해 도시로 떠나게 되고 동네 훈남 체이스를 만난다. 체이스는 결혼을 전제로 카야를 유혹하며 몸과 마음을 다 얻게 되지만 결국 배신한다. 테이트는 박사학위까지 마치고 돌아와서 자신의 선택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고 용서를 구한다. 테이트는 그동안 카야가 모아둔 자료들을 보고 완전 감동하여 책 출판을 권유한다. 카야의 자연 예찬과 열정이 책 출판을 성공으로 이끈다. 한편 체이스는 카야를 다시 겁탈하려 하자 카야는 죽을 힘을 다해 그를 제압한다. 며칠 후 체이스는 시체로 발견되고 카야는 범인으로 지목되고 체포당한다. 선량한 변호사의 변론이 배심원의 마음을 움직여 카야는 무죄로 풀려나온다. 카야는테이트와 결혼하고 조디 오빠와 교류하며 습지에서 계속 집필해가며 행복한 삶을 살아간다. 책을 덮고 눈을 감는다. 나는 과연 카야가 될 수 있을까. 정명숙 / 시인삶의 뜨락에서 고립 연결 습지 바닷가 습지 나무 술주정뱅이 아버지
2023.07.28. 17:51
공개적으로 인기 없는 사람이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역시 가장 어린 세대에게 큰 불안을 유발한다. 어느 아버지는 딸이 새 글을 게시한 뒤에 다른 사람도 자기에게 ‘좋아요’를 눌러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의 모든 글에 미친 듯이 ‘좋아요’를 누르는 모습을 불편한 모습으로 지켜보아야 했다. (…) 젊은 층에 인기가 중요하지 않았던 적은 없다. 실제로 인기를 고등학교를 무대로 펼쳐지는 거의 모든 드라마의 주요 테마다. 여기서 다른 점은 소셜 미디어가 기존의 역학 관계에 몰고 온 무시할 수 없는 강력한 영향력이다. 노리나 허츠 『고립의 시대』 오랜만에 방치해온 SNS 계정에 들어가 본다. 나만 빼고 다 잘살고 있는 느낌, 어쩐지 초라한 기분이라 후다닥 창을 닫는다. 세상 모두가 연결되는 SNS 시대에 깊어지는 외로움에 주목한 책이다. 저자는 소외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일컫는 포모(FOMO·Fear of Missing Out)를 넘어 자기 빼고 모두가 친구인 세상에서 혼자만 친구가 없는 것 같은 두려움 ‘봄프(BOMP·A Belief that Others are More Popular)’에 주목한다. 한마디로 남들이 더 인기 있다는 믿음으로, 역시 SNS에 의해 강화된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비교가 유례없는 심리적 쓰나미를 불러오는 시대다. 가장 멋진 나를 과시하듯 게시하며 ‘좋아요’ 수에 일희일비한다. “이것은 자기 자신을 팔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연속이고, 아무도 자신을 사고 싶어 하지 않으리라는 공포의 연속이다. 이것이 바로 문제다.” 양성희 / 중앙일보 칼럼니스트문장으로 읽는 책 고립 소셜 미디어 심리적 쓰나미 역학 관계
2022.08.17. 18:35
북가주 라센카운티에 위치한 리틀밸리에서 폭설로 고립된 여성이 요거트로 6일을 버텨 생존했다. 라센카운티 셰리프국에 따르면 지난 14일 저스틴 로니치(48)와 시나 걸렛(52)은 44번 고속도로를 타고 고향인 리틀밸리에 가는 도중에 눈보라가 몰아치는 바람에 고립됐다. 자동차에서 하루를 보낸 두 사람은 다음날 아침 차의 배터리가 방전된 것을 확인하고 구조 요청에 나섰다. 두 사람은 44번 고속도로를 따라 함께 걸었으나 부츠 밑창이 떨어진 걸렛이 뒤처지면서 떨어지게 됐다. 17일 겨우 지나가는 차를 발견한 로니치는 수잔빌에 도착하자마자 라센카운티 셰리프국에 신고해 걸렛 구조에 나섰다. 이로부터 3일 뒤인 20일 셰리프 요원은 차 안에서 발견된 걸렛을 무사히 구조했다. 걸렛은 구조 헬리콥터가 우거진 나무 때문에 자신을 발견하지 못하는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하루 요거트 하나와 물 대신 눈을 먹으며 버틴 것으로 전해졌다. 김예진 기자요거트 고립 고립 여성 구조 헬리콥터 하루 요거트
2022.04.25. 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