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손님 끊기고 재료비는 폭등… 맛집도 못 버티는 요식업계

 BC주 외식업계가 고물가, 인력난, 정부 규제로 휘청이고 있다. 최근 집계에서 BC주 전체 식당의 절반 가까이가 경영난을 호소했으며, 상당수 업장은 폐업 압박에 내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BC주 레스토랑 식품서비스 협회(BCRFA)가 발표한 최신 산업 현황 보고서를 분석하면 응답 업체의 45.6%가 겨우 현상 유지만 하거나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당장 문을 닫아야 할 위기에 처한 곳도 7.6%에 달한다.   팬데믹 이전인 2020년 전까지만 해도 경영난을 겪는 업체의 비율은 약 10% 수준에 불과했다. 당시에는 경제가 견고하고 소비 심리가 살아있어 식당 운영에 큰 무리가 없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완전히 뒤바뀌어 사업이 안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은 35.7%에 그쳤으며 호황을 누리고 있다는 응답은 7.6%에 불과했다.   업주들이 꼽은 가장 큰 위협 요인은 치솟는 운영 비용(65.5%)과 고객 감소에 따른 매출 하락(45%)이다. 고인플레이션과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업계 전반이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출 이자 부담은 늘어난 반면 지난 1년 반 사이 식자재 비용은 최소 20% 이상 폭등해 수익 구조가 급격히 악화됐다.   만성적인 인력 부족 문제도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조사 대상의 39%가 숙련된 인력을 구하는 것을 가장 큰 과제로 꼽았으며 절반에 가까운 48.5%는 현재 채용을 진행 중이거나 직원을 구하지 못해 애를 먹고 있는 실정이다. 팬데믹 기간 영업 제한과 폐쇄로 많은 종사자가 업계를 떠난 데다 최근 연방 정부의 이민 정책 변화가 악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임시 외국인 노동자와 유학생 관련 비자 정책이 강화되면서 주방 인력을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가 됐다. 현장에서는 영업시간을 단축하거나 아예 문을 닫고 싶어도 주방에서 일할 사람을 찾지 못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정부는 캐나다인을 고용하라고 주문하지만 현장에서는 필요한 숙련도를 갖춘 내국인 인재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호소한다. 외국인 노동자 고용 시 까다로운 임금 및 고용 기준을 준수해야 하므로 이를 단순한 저임금 일자리 문제로 치부하기도 어렵다.   감염병이 일상의 일부가 되는 엔데믹 이후 강화된 각종 행정 규제도 소상공인들의 숨통을 조이고 있다. 팬데믹 당시에는 정부가 유연한 정책을 폈으나 지금은 산업안전보건공단 규정 준수부터 주류 라이선스 갱신까지 각종 인허가 절차가 복잡해지고 규제가 강화돼 비용과 시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식당 업주들은 2026년을 앞두고 비용 상승(83%), 주정부의 정책 변화(46.2%), 노동력 확보(40.4%), 고객 수요 변화(27.5%) 등을 주요 불안 요인으로 꼽았다. 현재 BC주 내 약 1만5,000개의 식당이 운영 중이며 연간 폐업 및 창업으로 인한 회전율은 10~15%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 곪아가고 있는 경영난은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상황이다.     밴쿠버 중앙일보요식업계 재료비 고물가 인력난 이민 정책 응답 업체

2025.11.27. 17:48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