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전쟁 고아 한인, 24년간 모국 아동 후원

전쟁 고아로 미국에 입양된 한인 여성이 오랜 시간 모국의 아동들을 후원해온 사실이 알려져 화제다. 이러한 업적을 높이 평가한 경상남도는 해당 여성을 명예도민으로 선정했다.     경상남도는 린디 순 커리(이정순.1953년생)씨를 경상남도 명예도민으로 선정하고 명예도민증을 전달했다고 18일 밝혔다.     경상남도 측 설명에 따르면, 커리는 한국전쟁 당시 미군에 의해 고아로 발견돼 ‘진해 희망의 집’으로 보내졌다. 그곳에서 지난 1953년부터 1956년까지 지냈다. 이후 지난 1957년 3월 홀트 입양기관을 통해 미국으로 입양됐다.     미국에서의 삶은 처음부터 쉽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시련과 고난을 극복하고 하프연주자와 한국의 전래동화를 전파하는 스토리텔러로 성장했다. 그는 고국을 잊지 않고 한국인이라는 사실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한국 전통 민담을 통해 한국을 알려왔다.     커리씨는 미국인 남편을 만나 결혼하고 지난 1995년 서울 동부사회복지관에서 아기를 입양해 가정을 이뤘다.     그는 지난 2000년 10월 우연한 기회로 한국에 방문하면서 자신이 지냈던 진해 희망의 집을 찾았다. 이후 그는 미국으로 돌아와 모국의 아이들을 후원하기로 마음먹었다. 커리씨는 미국의 가족들과 분기별로 진해 희망의 집 아이들에게 편지를 쓰고 선물과 후원금을 보내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후 그는 지난 2002년 미국에서 비영리단체 ‘브리지 오브 호프(Bridge of Hope)’를 설립했다. 커리씨는 단체를 통해 진해 희망의 집 아이들을 위한 후원 활동을 계속했으며 지난 2018년까지 활동을 이어갔다. 커리씨는 현금 후원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정서적 성장을 돕기 위한 피아노, 첼로 등 악기 등도 지원했다.     또 그는 매년 2~3명의 한국 입양 아동을 미국으로 초청해 미국 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해왔다. 지금까지 커리씨가 미국에 초청한 아동 수는 38명에 이른다.     이러한 공로를 높이 산 사회복지법인 경신재단과 경상남도사회복지협의회의 추천으로 커리씨는 경상남도 명예도민이 되었다.     커리씨는 “가슴속에 묻어 둔 고국의 경상남도 명예도민이 되어 감격스럽다”며 “잊지 않고 기억해 준 경상남도에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경상남도 측은 경상남도 LA사무소장을 통해 미국에 거주 중인 커리씨에게 명예도민증을 전달했다.     김경준 기자 [email protected]전쟁 고아 시간 모국 경상남도 명예도민 한국전쟁 당시

2024.11.18. 20:08

썸네일

'코로나 고아'에 가주 1억불 지원

캘리포니아 주 정부가 전국 최초로 코로나19로 졸지에 부모를 잃은 ‘코로나 고아’ 지원에 나섰다.   22일 가주 의회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기간에 부모 또는 1차 양육자가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하면서 고아가 된 미성년자 아동은 3만2000여명에 달한다.   이에 주 정부는 이들이 18세가 될 때까지 학비와 거주비 및 생활비를 지원할 수 있도록 1억 달러의 기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18세가 될 때까지 각종 지원을 받게 되며, 18세 이후에도 필요할 경우 추가 지원을 요구할 수 있다. 소위 코로나 고아로 불리는 미성년자 아동들을 위해 미국에서 별도로 기금을 마련한 주 정부는 가주가 처음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코로나 고아로 불리는 아동들은 경제적인 어려움뿐만 아니라 갑작스럽게 부모 또는 보호자를 잃은 충격에 평생 정서적인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비영리재단 ‘캘매터스’는 전국에서 발생한 코로나 고아는 약 25만 명이며 이들의 66%는 필수업종에 종사하던 히스패닉 근로자들의 자녀라고 전했다. 장연화 기자코로나 고아 코로나 고아 추가 지원 미성년자 아동들

2022.07.22. 20:0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