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우리말 바루기] 3인방에 대한 고찰

기부천사들의 조용한 선행은 큰 울림을 준다. 나눔을 실천하는 이들을 두고 “온정을 선사한 3인방”과 같이 표현해도 될까?   3인방에 쓰인 ‘방’이 어디서 온 말인지 알아야 한다. 사전엔 4인방이 올라 있다. ‘4인방’은 중국의 문화대혁명 기간 권력을 휘둘렀던 마오쩌둥의 부인 장칭과 그 무리 4명을 이르는 말이다.   ‘상하이방’도 언론에 자주 오르내린다. 장쩌민의 후원에 힘입어 1980년대 권력의 실세로 군림했던 상하이 출신들을 가리킨다. 2000년 이후 등장한 국무원 석유부·석유학원 출신의 인맥을 일컫는 ‘석유방’도 빼놓을 수 없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청방’과 ‘홍방’이 있다. 이들 조직은 상호 부조를 위해 만들었던 비밀결사대였으나 훗날 범죄단체로 변질돼 중국 암흑가의 대명사가 됐다. 중국에서 ‘방(幇)’은 이익을 위해 이룬 무리, 파벌, 패거리 등 부정적 색채가 강한 의미로 사용돼 왔다.   이런 쓰임에 비추어 보면 ‘기부천사 3인방’ ‘의인 4인방’ ‘신인상 후보 5인방’처럼 사용하는 것은 어색한 감이 있다. ‘문고리 3인방’ ‘비리 핵심 인물 5인방’ 등의 쓰임새가 더 자연스럽다.   중국에서 넘어온 이 말을 우리나라에선 긍정적 의미든 부정적 의미든 가리지 않고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아직 표준국어대사전에 독립된 형태로 올라 있지 않지만 몇 인방과 같은 형태로 많이 쓰인다. ‘무리’의 뜻을 더하는 접사로 세를 넓혀 가는 모양새다. 그게 언중의 선택이라면 사전에도 가치 평가를 담지 않은 말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우리말 바루기 고찰 석유학원 출신 상하이 출신들 부정적 색채

2025.09.02. 20:11

[카운터어택] 1승1무1패에 대한 고찰

2022 카타르월드컵에 출전했던 한국 축구대표팀이 지난 7일 금의환향했다. 8강전과 준결승전, 결승전이 아직 남았다. 하지만 한국이 대회를 마친 만큼 아드레날린을 뿜으며 경기를 볼 일은 없을 것 같다. 목표였던 16강 진출을 축하한다. 혼신의 노력을 다한 한국 선수들에게 큰 박수를 보낸다. 자, 잔치가 끝났으니 차분하게 계산서를 한 번 뽑아보자.   현 월드컵처럼 조별리그 네 팀 중 상위 두 팀이 16강에 오르는 경우, 2무1패(승점 2점)여도 올라갈 수 있다. 한 팀이 3승을 거두고 나머지 세 팀이 서로 비길 때다. 3승 팀에 가장 적은 점수 차로 진 팀이 올라간다. 이론적으로 그렇다는 거지, 월드컵 실제 사례는 없다. 반대로 2승1패(승점 6점)도 떨어진다. 한 팀이 3패를 하고, 나머지 세 팀이 물고 물리는 경우다. 1982 스페인월드컵에서 알제리가 2승1패로 떨어졌다. 그렇다면 조별리그를 통과한 2무1패와 탈락한 2승1패 중 누가 더 잘한 걸까.   한국은 이번 조별리그에서 1승1무1패(승점 4점)였다. 1차전에서 우루과이와 0-0 무승부, 2차전에서 가나에 2-3 패배, 3차전에서 포르투갈에 2-1 승리를 기록했다. 한국은 2006 독일월드컵에서도, 2010 남아공월드컵에서도, 조별리그에서 1승1무1패였다. 2006년에는 울었고, 2010년과 이번에는 웃었다. 물론 숫자가 모든 걸 말하지는 못한다. 과거 월드컵에서 한국은 대개 상대에 밀리다가 한두 번 기회를 살려 이기거나 비겼다. 반면 이번에는 주도권을 잡고 경기를 풀어갔다. 분명히 후한 점수를 줄 부분이다.   월드컵 개막 전까지 파울루 벤투 감독은 꽤 비판을 받았다. 세계적 강팀을 상대로 그의 전술이 통할까 의문이었다. 결과적으로 우루과이와 포르투갈에는 통했고, 16강전 상대인 브라질에는 통하지 않았다. 상상하기 싫지만, 만약 조별리그 3차전에서 0-2로 뒤지던 가나가 우루과이의 공세를 막아내지 못했다면 한국의 16강은 꿈으로 끝났다.     30년도 더 지난 고교 시절 일이다. 하루는 사회 선생님이 교탁 바로 앞 친구 머리에 손을 올리고 말했다. “만약에 말입니다. 이 학생이 훗날 대통령이 됐다고 칩시다. 누군가 제게 ‘대통령은 학생 시절 어떤 분이었나’ 묻는다면 이렇게 대답할 겁니다. ‘눈빛과 후광이 눈부셔 제대로 볼 수 없었다. 이런 날이 올 거라 생각했다’고 말입니다. 그런데 이 학생이 훗날 연쇄 살인마가 됐다고 칩시다. 같은 질문에 이렇게 대답할 겁니다. ‘눈을 마주치기 싫었다. 눈빛에 어둠의 기운이 흘렀다. 이런 날이 올 거라 생각했다’고 말입니다. 음하하.” 장혜수 / 한국 콘텐트제작에디터카운터어택 고찰 한국 축구대표팀 한국 선수들 조별리그 3차전

2022.12.11. 15:5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