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메디칼그룹과 함께하는 건강 이야기] 혈압약 일정 복용이 중요
현대 의학은 지금 큰 변화의 시기를 지나고 있다. 끊임없는 임상연구를 통해 얻은 자료의 평가와 분석을 거쳐 과학적 근거를 정립하고, 타당성·신뢰성을 갖춘 결론은 최적화된 진료를 위한 근거중심의학의 토대가 된다. 올해에는 고혈압과 관련해 새로운 전환이 제시된바, 이번 칼럼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환자들이 자주 문의하는 사항인데, 하루 중 혈압약을 복용하기 좋은 시간대는 언제냐는 것이다. 이 중요한 질문에 대해 복용하는 시간대는 건강에 영향이 없다는 연구결과가 5월에 발표됐다. 캐나다에서 진행한 ‘BedMed’ 임상연구에서는 고혈압 환자 3,400명을 아침에 혈압약을 복용하는 아침군과 저녁에 혈압약을 복용하는 저녁군으로 나누었다. 이들을 5년간 추적한 결과, 사망·뇌졸중·심근경색·심부전 등 혈관성 질환을 비롯해 낙상·치매·병원 입원 발생률에 있어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시 말해, 혈압약을 아침에 복용하든 저녁에 복용하든 매일 같은 시간에 일관성 있게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돌이켜 보면 과거 대부분의 혈압에 관한 연구가 아침 복용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불충분한 근거에도 불구하고 암묵적으로 아침 투여가 보편적이었다. 앞서 2022년 진행된 ‘TIME’ 연구에서도 2만 1000명을 아침군과 저녁군으로 나누어 5년간 관찰했는데 심근경색·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및 사망률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번에 발표된 ‘BedMed’ 연구는 혈압약 투여시간이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점을 추가적으로 확인하면서 오래전부터이어져 온 논쟁을 마무리한 셈이다. 결과적으로, 현재 미국심장협회와 대한고혈압학회는 특별한 투여 권장시간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두 번째로 올해 8월 미국심장협회가 새로운 고혈압 임상 진료지침을 발표했는데 여기서 요점은 약물치료 시작점이 앞당겨졌다는 것이다. 기존 2017년 지침은 일반 환자는 140/90 mmHg 이상일 때 약을 추천했으나, 새로운 개정안에서는 130/80 mmHg 이상일 경우, 단기간 내로 개선되지 않으면 약물치료를 시작하도록 권고했다. 반면 고령층 등 고위험군 환자는 130/80 mmHg 이상일 때 투약을 시작하기로 한 원칙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또한, 모든 환자의 목표 혈압은 연령·기저질환 여부와 무관하게 130/80 mmHg 미만으로 통일했다. 이는 고혈압의 분류 및 치료 기준이 점점 엄격해지는 최근 세계적 추세와 맞닿아 있다. 혈압을 낮게 유지하면 심혈관질환·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근거가 연이은 임상연구를 통해 확고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고령사회에서 치매 예방이 절실해진 가운데 고혈압이 치매의 위험 요인으로 지목된 점도 한몫했다. 앞서 대한고혈압학회는 2022년 일반 환자는 목표 혈압을 140/90 mmHg, 고위험 환자는 130/80 mmHg 미만으로 제시했다. 내년에는 새롭게 개정된 임상 진료지침이 발표될 예정이다. 고혈압처럼 흔한 만성질환에 대한 접근방식은 집단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한국인을 위한 지침은 해외 한인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문의: (213) 674-7500 정준 내과 전문의 / 정준 내과서울메디칼그룹과 함께하는 건강 이야기 혈압약 일정 혈압약 투여시간 고혈압 환자 고혈압 임상
2025.10.14. 1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