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에듀 포스팅] 대학 입학사정관 과외활동 평가, 숫자보다 의미·진정성에 더 점수

명문대 입학을 목표로 준비하는 학생에게 내신 성적 관리와 더불어 가장 큰 관심사는 특별활동이다. 개학과 동시에 지원서에서 어떤 특별활동이 지원서에서 ‘가장 눈에 띄며, 입학 사정관의 주목을 받을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은 여전히 가장 큰 고민거리이다.     대부분 대학 지원서 작성 시 순서대로 활동 사항들을 나열할 때 빈칸을 다 채우지 못한 학생들은 불안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대학에서는 특별활동의 종류가 몇 가지인가 보다 그 활동에 얼마나 의미를 두고 진정성 있게 임했는가를 더 중요하게 평가한다. 비록 단 한 가지 활동만 했더라도 단순히 여러 활동을 나열한 학생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결국은 양보다 질이 핵심이다.     대학은 학생의 고등학교 특별활동을 통해 그 학생이 캠퍼스에서 어떤 삶을 살아갈지 앞으로의 4년 동안 어떤 변화를 끌어낼 수 있을지를 가름한다. 그렇다면 대학 진학 준비 과정에서 주목할 만한 최고의 특별활동은 무엇일까?   1. 교내 활동   학생들은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교내 클럽활동 경험이 있어야 한다. 만약 학생이 과학에 흥미가 있다면 사이언스 볼과 같은 학교 대회 팀에서 활동하는 것이 과학에 대한 본인의 열정을 잘 드러낼 수 있는 방법이다.     2. 리서치 프로젝트   학교 안팎에서 리서치에 관련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특정 분야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학생이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참여하는 연구는 그만큼 학생의 관심사와 연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깊은 인상을 줄 수 있다. 그뿐 아니라 한 단계 높여서 논문이 출판까지 이어진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다. 만약 출판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그 자체로 큰 의미가 있다.     3. 커뮤니티 기반 봉사활동   이 봉사활동은 단순히 시간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관심사와 열정이 반영된 활동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수학과를 전공으로 생각하고 있고 가장 좋아하는 과목이라면 저소득층 학생에게 수학을 가르쳐서 학생들의 수학 실력이 향상되었다든지의 활동은 자신의 전공과 열정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이다.     4. 전국적인 차원의 봉사활동   전국적인 봉사는 학생이 거주하는 지역사회나 주(State) 차원의 봉사보다는 중요하지 않다. 하지만 학생이 실천한 봉사나 활동이 지역을 넘어 전국적으로 확산했다면 당연히 입학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5. 실무 경험   취업을 통해 실제 경험을 쌓는 것도 높이 평가된다. 단 그것이 전공 관심 분야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비즈니스 전공에 관심 있는 학생이 관련 아르바이트를 통해 배운 점을 지원 동기와 연결한다면 큰 장점이 된다. 또한 전공과 직접 관련이 없더라도 가정에 도움을 되기 위해 한 일이라면 책임감을 보여줄 수 있다.     6. 인턴십   무급 인턴십이라도 관심 분야에서 실무 경험을 쌓는 것은 좋은 특별활동이 될 수 있다. 다만 부모님이 학생의 인턴십에 관련한 것처럼 보인다면 설득력이 떨어질 수 있다. 지원서에는 부모님들의 직업도 기재되므로 스스로 구한 인턴십이 훨씬 신뢰를 준다.     7. 교과과정 외 수업   학교에서 제공하지 않은 수업들을 온라인이나 칼리지에서 수강한다면 지적 호기심과 자기 주도성을 보여줄 수 있다. 특히 전공 관심사와 연관된 과목이라면 큰 플러스 요인이 된다.     8. 온라인 존재감 구축   개인 블로그, 온라인 콘텐트, 웹사이트, 유튜브 등을 통해 자신의 관심사를 표현하고 소통, 공감한다면 주도성과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다. 이는 단순한 활동을 넘어서 자신의 열정과 영향력을 입증하는 방법이다.     9. 경쟁력 있는 여름 활동   경쟁력 있는 여름방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 자체로 학생의 가치를 높게 평가받을 수 있으며, 전국적으로 인정받는 권위 있는 프로그램일 경우 입학 사정관에게 강한 인상을 줄 수 있다.     10. 수상 경력   인지도가 높은 대회에서 입상하거나 주 혹은 전국 단위로 열린 대회에서의 수상 경력은 학생의 역량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기표가 되며 학문적 재능과 열정을 입증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문의:(323)933-0909   www.Thebostoneducation.com 수 변 원장 / 보스턴 에듀케이션에듀 포스팅 입학사정관 과외활동 전공 관심사 고등학교 특별활동 교내 클럽활동

2025.08.24. 17:14

교내 클럽활동, 대학 합격과 상관관계…전공 분야 연관되면 신뢰도·관심 커져

대학을 준비하는 과정 중에는 많은 요소들이 있겠지만 학생이 교내에서 클럽활동을 하는 것도 대학 입학의 영향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 학생이 고등학교 교내 클럽활동을 시작하거나 참여 또는 클럽을 직접 창단하는 것은 대학 입시에 매우 중요한 부분인데 이는 학생의 관심사를 알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클럽 활동의 내역으로 입학 사정관은 학생의 주도성과 리더십 등 학생의 성향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대학 합격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특히 학생이 새로운 클럽활동을 만들어 운영한다면 리더로서 시작의 어려움과 운영과 보람을 느끼며 많은 것을 배우게 되는 과정을 중요시 여기며 전공분야의 클럽활동이면 더더욱 신뢰성과 학생의 관심사를 함께 엿볼 수 있기 때문에 입학 사정관의 눈길을 끄는 데 충분하다.   ▶어떤 클럽활동에 참여해야 하나     자신의 전공분야와 맞는 클럽활동이 가장 자신의 관심사를 잘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예를 들어 학생의 관심사가 STEM에 관련된 전공이라면 Science Bowl 팀이나 Science Olympiad (개인전) 클럽에 조인하면 좋겠고 학생이 코딩과 컴퓨터 전공에 관심이 있다면 Robotics 클럽이나 CyberPatriot 같은 팀 대회에 참여하는 것이 자신의 전공과 관심사를 잘 나타낼 수 있다. 또 학생이 법에 관련된 전공에 관심이 있다면 Mock Trial 같은 클럽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좋겠고 변호사 역할을 맡아 승소한 경험이 있으면 더 의미 있는 클럽활동이 될 수 있다.   이 외에도 한인 학생들이 많이 참여하는 Model United Nation(MUN), Math Club 등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서 참여하는 것이 좋겠고 2, 3개의 적극적인 활동을 하는 정도의 클럽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적당하며 그 외의 개수의 클럽활동은 그만큼 진지하게 활동을 못 한다고 입학 사정관은 생각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많은 클럽활동의 아무런 의미가 없다.     ▶클럽 새로 만드는 단계별 방법     클럽활동이 실제로 대학 지원 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이제 알았으므로 자신이 관심이 있는 부분이 학교 클럽 리스트에 없다면 직접 만들어 학생들을 모집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알아보자.   1. 클럽 아이디어   클럽을 만들기 위한 가장 우선순위는 이 클럽의 의미와 어떤 클럽인지, 클럽을 통하여 어떤 활동을 앞으로 할 것인지, 학생의 관심사에 부합하는지 등을 미리 브레인스토밍한다.     2. 클럽의 목적과 목표 설정   클럽에 대한 아이디어가 설정이 되었다면 이제는 좀 더 구체적으로 클럽의 목적을 설명해야 하며 또한 이 클럽을 통하여 어떤 것을 실현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목표가 확고해야 하며 회원들은 어떤 활동에 참여하는지에 대한 것을 표명해야 한다. Environmental Science 전공을 공부할 학생이라면 학교에서 할 수 있는 리사이클링에 참여한다든지 다른 단체들과 협력하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좋은 액티비티가 될 수 있다.   3. 학교 클럽에 등록   학교마다 등록 방식은 조금 다를 수 있다. 카운슬러에게 의논하여 조언을 해줄 담당 어드바이저를 소개받거나 혹은 클럽 데이를 통하여 클럽에 조인한 학생들의 인원수에 따라서 선생님 혹은 어드바이저가 담당하는 방식으로 등록을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클럽 데이 때 자신이 만들고 싶은 클럽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나와 학생들의 많은 참여를 이끌어 낸다면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4. 자신의 클럽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컴페인 하라   이제 이 클럽의 회장으로서 클럽을 잘 홍보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친구, 선배, 후배들에게 잘 알리며 전단을만들어 홍보를 하는 방법도 학생들의 눈길을 끌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프레젠테이션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설립된 클럽에서 첫 미팅을 하면서 직책 회장, 부회장, 서기 등 주어진 직책들이 해야 하는 각자의 맡은 임무를 맡기는 일도 이때 한다.     클럽활동은 작은 회사를 운영하는 CEO 역할이나 다름없는 일이기 때문에 대학에서는 이런 클럽활동이나 봉사활동의 리더의 노력을 높이 산다.   ▶문의:(323)933-0909   www.Thebostoneducation.com 수 변 원장 / 보스턴 에듀케이션클럽활동 상관관계 교내 클럽활동 클럽 활동 학교 클럽

2023.10.01. 18: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