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하중 버티지 못하는 교량들 ‘위험’

볼티모어서 발생한 프랜시스 스콧 키 브리지(이하 교량) 붕괴 사건과 관련해 하중을 버티지 못한 설계의 위험성이 재조명된 가운데, 연방교통안전위원회(The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NTSB)가 하중 지지대의 중요성을 다시 강조하고 나섰다.   1일 뉴욕포스트·월스트리트저널이 NTSB의 지난달 26일 발표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볼티모어 교량 사고와 관련해 경각심을 고취하는 목적에서 미국 내 다른 교량을 톺아보는 등 설계의 안전성 재조명도 이뤄졌다.   NTSB가 주로 강조한 것은 다리 그 자체의 디자인이 아닌 하중을 버틸 수 있는지의 여부다. 이번 볼티모어 교량 사건에서 보다시피, 지난 2016년 이후 파나마 운하가 확장됨에 따라 대형 선박이 크게 늘어난 상황에서 하중 지지대에 충돌이 일어날 경우 같은 사고가 또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하중 지지대 하나만 파손이 일어나도 같은 사고가 또 벌어진다는 의미다.   NTSB에 따르면, 미 전역서 어떤 다리도 이번 달리호와 같은 9만5000톤의 선박 무게를 견디게 디자인되지 않았다. 이 같은 선박이 또 하중 지지대에 충돌할 경우 ▶뉴욕 ▶워싱턴 ▶캘리포니아▶오리건 등 주 전역서 교통의 요지가 되고 있는 교량들도 무너질 위험이 있다.   이 때문에 향후 이 같은 지지대들을 보호할 만한 설계 규정 재점검 등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NTSB는 이 같은 교량의 하중 지지대에는 특별 조사가 실시되고 있다고 밝혔다.     현수교의 건설 방식이 더 안전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됐다. 키 브리지의 경우 트러스트 구조로 설계돼 무게를 전체가 버티는 것과 달리 현수교는 하중을 분담하기 때문이다.   찰스 J 카터 미 철강 건설협회 대표는 “사람들은 교량 전체가 무너질 수 있다는 점에 놀랄 것”이라면서도 “불행히도 피할 수 없다”고 했다.   NTSB는 하중을 버틸 수 있는지의 여부 등과 관련해 교량에 대한 정기 검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금주중 교량 사고와 관련한 새 분석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하중 교량 하중 지지대 볼티모어 교량 이하 교량

2024.04.01. 20:15

MTA 교량·터널 톨 6일 인상

MTA 교량 및 터널 통행료가 6일부터 인상된다.     뉴욕주 주요 고속도로인 ▶베라자노-내로스브리지 ▶브롱스-화잇스톤브리지 ▶스록스넥브리지 ▶RFK브리지와 ▶퀸즈-미드타운터널 ▶브루클린-배터리터널의 이지패스(E-ZPass) 통행료는 현재 6달러55센트에서 약 6% 상승한 6달러94센트로 오른다.     우편으로 통행료를 청구할 경우 기존 10달러17센트에서 10% 인상된 11달러19센트를 지불해야 한다. ‘장착 오류(improper mounting)’로 인해 이지패스 보유자의 태그를 읽을 수 없어 차량 번호 조회를 통해 통행료가 청구될 경우 이지패스 요금보다는 높고, 이지패스 미부착 차량보다는 낮은 요금인 ‘미드-티어(Mid-Tier)’ 요금이 적용되는데, 이는 8달러36센트에서 9달러 11센트로 인상된다.     주요 고속도로 외의 교차로에서도 통행료가 인상된다.     헨리허드슨브리지의 이지패스 통행료는 6% 상승한 3달러18센트, 우편 통행료는 10% 상승한 8달러25센트, 미드티어 통행료는 9% 상승한 5달러4센트가 된다.     크로스베이와 마린파크웨이브리지의 이지패스 통행료는 6% 상승한 2달러60센트, 우편 통행료는 10% 상승한 5달러60센트, 미드티어 통행료는 19% 감소한 4달러11센트가 된다.     MTA는 오는 20일부터 현재 2달러75센트인 전철·버스 기본요금도 2달러90센트로 인상한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교량 터널 터널 통행료 미드티어 통행료 버스 기본요금

2023.08.03. 21:23

전국 교량 개선에 270억불

조 바이든 행정부가 전국의 노후화된 교량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 270억 달러를 투입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14일 기자회견을 열고 향후 5년간 미 전역 1만5000개의 노후화된 교량을 수리하는 데 총 270억 달러를 투입한다고 발표했다. 첫해인 2021~2022회계연도에는 54억 달러가 주별로 분배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계획에 대해서 “미국 교량에 대한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투자”라고 말했다.     각 주별 자금지원은 다음 주부터 시작되며 뉴욕은 첫해 3억7840억 달러 포함 총 19억 달러, 뉴저지는 첫해 2억2940만 달러 등 총 11억 달러를 지원받을 예정이다.     이는 작년 11월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함에 따라 발효된 1조 달러 규모 인프라 패키지 법의 지출내용 중 일부다.     각 주는 노후화된 교량을 수리하거나 완전히 교체하는 데 드는 전체 비용을 연방기금으로 충당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가 교량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시스템 업그레이드에도 사용할 수 있다.   교통부(DOT) 2020년 자료에 따르면 전국 교량 4만5000개가 노후화된 상태다.       이외에도 고속도로 개선에 525억 달러, 공항 업그레이드에 30억 달러, 항만 인프라 개선에 2억3000만 달러, 전국 50만개 전기자동차 충전기 네트워크 구축, 노후화된 상하수도 시스템 개선에 74억 달러, 저소득층 가정 인터넷 비용 지원에 240만 달러 등을 지원한다.     장은주 기자 [email protected]전국 교량 전국 교량 교량 시스템 고속도로 개선

2022.01.14. 20:2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