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잠망경] 미국식 교장 선생

옛날에 육군 군의관으로 임관하기 전 훈련병 시절 스트레스가 심했던 기억이 난다. 병동 입원환자들의 단체생활을 보면서 가끔 일어나는 연상작용이다.   단체의 스케줄에 따르는 삶은 자유행동의 여지가 별로 없다. 기상, 취침, 프로그램 참가, 식사 시간이 늘 일정하다. 아침마다 거행되는 ‘community meeting’도 그렇다. 고리타분한 번역으로 ‘반상회(班常會)’, 또는 그냥 ‘커뮤니티 미팅’이라 사전에 나와 있는 말을 나는 ‘조회(朝會)’라 부른다. 신선한 아침 공기를 마시며 운동장에서 교장 선생님의 훈시를 듣던 기억이 새롭다.   며칠 전 조회 시간에 ‘wheeling and dealing’을 화제로 삼았다. 노름꾼 사이에 유행했던 슬랭. 쉽게 말해서 ‘부정거래’라는 뜻. 정치가들 사이에 돈이 오가는 상황을 의미할 때 자주 쓰이는 용어다. 환자들 간에 음식이나 간식을 사고팔아서 돈을 버는 일도 이렇게 부른다. 몇 푼 안 되는 돈 때문에 갈등을 일어나는 상황이 빈번하다.   토론을 조장하는 미국식 교장 선생 티를 내면서 물어본다. “너희들은 왜들 부정거래를 하느냐?” 한 20대 환자가 볼멘소리로 응답한다. “배가 고파서 그럽니다!” “다음 끼니까지 참기가 힘드냐?” “나는 참을성이 없어요!” 너, 그걸 지금 자랑이라고 떠드느냐, 하는 반응을 짐짓 억제하는 교장 선생님. 요즘 세상은 누구를 나무라는 발언을 삼가야 하느니라.   1972년 스탠퍼드 대학은 대여섯 살 유아원 아이들을 대상으로 ‘Delayed Gratification, 지연 만족’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른바 ‘Marshmallow experiment, 마시멜로 실험’으로 널리 알려진 연구발표다.   아이들에게 마시멜로 하나를 접시에 담아주면서 그것을 먹지 않고 기다리면 15분 후에 한 개를 더 주겠다고 약속한다. 그 달콤한 과자를 냉큼 먹어버리면 그것으로 과자는 끝이라는 점도 충분히 설명한다. 일부는 참을성 있게 기다려서 흡족한 보상을 받고, 먹고 싶은 충동을 이기지 못한 애들은 아무 보상이 없는 연구설정이다.   1988년과 1990년에 같은 연구팀의 후속 보고에 의하면 참을성 있는 그룹은 반대 그룹보다 수능성적이 현저하게 높고 사회 적응 능력이 월등하다는 결론이다. 그 후 이곳저곳에서 비슷한 연구를 해서 의견의 차이를 보이기는 했지만 지금껏 아무도 ‘마시멜로 실험’을 전면부정하지 못하고 있다. 맞다 맞다. 참는 자는 복이 있나니!   자기가 참을성이 없다고 떠들어댄 환자를 힐끔힐끔 살펴가면서 나는 만족을 미루는 습관의 장점을 강조한다. ‘Patience is a virtue, 인내는 미덕이다’라는 격언도 역설한다.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반론을 펼치는 그 환자. “Delayed gratification is depressing.” “지연 만족은 속상합니다.”-“With no hope, there’s no delayed gratification, 희망이 없으면 지연 만족도 없습니다.” 교장 선생이 속으로 발끈한다. 지연 만족이 싫어서 아예 처음부터 희망을 품지 않겠다고?   발음하기도 힘든 19세기 프랑스 소설가, 빌리에 드 릴라당의 단편 소설, “희망이라는 이름의 고문”이 ‘희망 고문’ 컨셉의 오리진이라 한다. 평소에 ‘남의 퍼레이드에 빗물 끼얹기(to rain on someone’s parade)’를 즐기는 그에 대해 “철딱서니 없는 그놈이 군대를 안 갔다 와서 그러는 게 틀림없어” 하고 나는 뇌까린다. 서량 / 시인·정신과 의사잠망경 미국 교장 교장 선생님 gratification 희망 gratification 지연

2023.05.16. 17:57

썸네일

한인 사립학교 교장 펠로우십 선정

LA한인타운 내 명문 사립학교의 한인 교장이 2022년 ‘클링겐스타인 펠로우십(Klingenstein Fellowship)’에 선정됐다.   지역 신문인  라치몬트크로니클은 지난달 30일 “LA지역 필그림스쿨의 패트리샤 공(사진) 교장이 컬럼비아대학 교육대학원이 제공하는 펠로우십 프로그램에 선정됐다”고 보도했다.   클링겐스타인센터는 컬럼비아대학 산하 사립학교 연구소로 매해 전국에서 20명의 교장을 선정, 각종 교육 시스템 및 학업 사례 등을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클링겐스타인센터측은 “까다로운 선발 과정을 거쳐 선정된 교육자들로 컬럼비아대학이 전액 연구 기금을 지원하게 된다”며 “선발된 교육자들은 1월말 교육대학원 학생들과 함께 각종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뉴욕 지역 사립학교 등을 돌며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공 교장은 가주 지역 사립학교 중에서 한인으로서는 첫 교장을 맡은 인물인다. 필그림학교에서 교무주임 등으로 20년 넘게 근무해왔으며 교장으로 선임된 지는 1년째다.   공 교장은 “코로나가 교육 환경이 변화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혁신적인 학교들은 어떻게 구성돼있는지, 교육자를 어떤 방법으로 지원할 수 있는지 등을 연구해보고 싶다”며 “동시에 필그림스쿨이 다양성, 평등, 포용의 가치를 구현해내고 미래 지향적인 학교로 만들어 나가는 데 있어 이런 기회를 얻게 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한편, 필그림스쿨(K-12)은 지난 1958년 개교했다. 한인타운내 6가와 커먼웰스 애비뉴 인근에 있다. 학교 평가에 있어 대부분의 항목에서 우수학교로 인정받고 있다. 전체 학생은 약 300여 명으로 교실당 평균 학생이 10여 명 수준이다. 장열 기자사립학교 교장 한인 사립학교 한인 여교장 지역 사립학교

2022.01.02. 20:34

LI 한인 초교 교장에 인종차별

 롱아일랜드 사요셋의 초등학교 한인 교장이 인종차별 위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요셋 학군은 14일 학부모 등 주민들에 보낸 편지에서 “사우스 그로브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안미정(Mi Jung An) 교장이 인종차별 학대의 피해자가 되고 있다”며 타운 경찰과 협력해 범인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학군 측 설명에 따르면 범인은 학군 사무실에 인종차별 내용이 담긴 익명의 편지를 보내거나, 학교 근처에 손으로 만든 사인들을 붙이는 방법으로 안 교장을 괴롭힌 것으로 드러났다.     톰 로저스 학군장은 “우리 학군은 모든 혐오와 불관용 행동을 비난하고 이를 해결하는 데 경찰과 계속 협조할 것”이라며 “커뮤니티 구성원 개인에 대한 분열적인 공격은 우리 모두에 대한 공격”이라고 비난했다.   사요셋 학군에서 아시안을 상대로 한 인종차별 공격은 이번만이 아니다. 지난 6월에는 사요셋중학교에서 한 아시안 학생이 여러 명의 다른 학생들에게 둘러싸여 반 아시안 욕설과 함께 폭행을 당해 현재 학군 측이 조사를 벌이고 있다. 박종원 기자인종차별 교장 인종차별 공격 인종차별 학대 인종차별 위협

2021.12.15. 19:3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