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 단속으로는 불법·이중 주차를 완벽하게 단속하기 어렵습니다.” 뉴욕시에서 교통법규를 위반한 차량에 자동으로 티켓을 발급하는 카메라를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 중이다. 지역매체 고다미스트에 따르면, 스티븐 라가(민주·30선거구) 뉴욕주하원의원은 뉴욕시에서 ▶신호위반 ▶과속 ▶이중 및 불법 주차 등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차량 운전자 단속을 위해 150대 카메라를 추가로 설치하는 3500만 달러 규모의 파일럿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라가 의원은 칼 헤이스티(민주·83선거구) 주하원의장에게 서한을 보내 “도로 위 차량이 압도적으로 증가함에 다라 수동 단속으로는 교통법규 위반 차량을 단속하기 어려운 상항”이라며 “이로 인해 다른 운전자, 보행자, 자전거 운전자들의 안전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그는 뉴욕주 예산에 교통법규 위반 차량 단속 카메라 설치 비용을 포함시킬 것을 요청했다. 불법 주차 차량에 대한 311 신고를 해도 사후조치가 미흡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지난해 뉴욕시 조사국(DOI)은 뉴욕시경(NYPD)이 시 주차 허가증 남용에 대한 311 신고를 계속해서 무시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대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심차 펠더(민주· 22선거구) 뉴욕주상원의원은 “자동화된 단속의 확대에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여전히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데이터에 다르면 지난해 뉴욕시에서는 253명이 교통사고로 인해 사망했으며, 이는 261명이 사망한 재작년 수치에 비해 소폭 감소한 수치다. 즉 펠더의 주장은, 감소폭이 너무 작다는 것이다. 하지만 뉴욕시 교통국(DOT)은 지난해 자동 단속 카메라가 있는 교차로에서 충돌 사고가 13% 감소했다고 보고하며 해당 정책을 지지했다. DOT 측은 “자동화된 단속은 운전자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더 안전한 도로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뉴욕시에서는 주차 요금 미납 관련 문자 메시지 사기가 기승을 부리며 주의가 당부되고 있다. 메시지에는 “연체료를 피하기 위해서는 즉시 미납 주차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는 내용과 함께 사기성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가 첨부돼 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교통법규 뉴욕 뉴욕시 교통법규 교통법규 위반 확대 추진
2025.03.03. 19:33
새해 들어 운전자 및 보행자 안전을 위한 새로운 교통법규가 시행된다. 캘리포니아 차량등록국(DMV)은 법안으로 마련된 교통법규 내용 숙지 및 실천을 당부했다. 새롭게 시행되는 주요 교통법규를 알아봤다. ▶번호판 훼손 또는 변조 금지(AB2111) 차량 운전자는 번호판에 반사 코팅을 해 전자기기의 번호판 감지를 방해하는 행위를 할 수 없다. 통행료 또는 번호판 감지 카메라 회피 꼼수를 막기 위함이다. ▶차량 추적 및 원격 접근(SB 1394) 차량 제조사는 운전자가 특정 상황에서 차량 및 차량의 위치에 대한 원격 접근을 종료할 수 있도록 의무화했다. 제조사는 운전자에게 제조사의 원격 접근 해지 요청을 제출할 수 있는 선택권을 제공해야 한다. ▶운전 모니터링 차단 장치(SB1313) 고급 운전 지원 시스템 또는 자율주행 기술이 탑재된 차량에서 운전자 등은 모니터링 시스템을 무력화하거나 방해하는 장치를 설치할 수 없다. 최근 자율주행 차량 주행 시 운전자가 안전 운전 모니터링을 피하기 위해 별도 장치를 설치하는 행위를 막기 위함이다. ▶자율주행차 교통법규 위반 통지(AB1777) 이 법안은 자율주행차가 교통법규 위반 시 경찰이 자율주행차 제조사에 ‘자율주행 차량 규정(AV) 미준수 통지’를 발급할 수 있다. 2026년 7월 1일부터 자율주행차는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을 경우 구급차 등과 상호작용을 위한 양방향 장치를 구축해야 한다. ▶차량 절도 및 도난 품목 확대(AB2536) 차량 침입 및 절도 범죄(Vehicle Break-Ins and Theft) 피해 품목에 촉매 변환기 등을 포함하도록 했다. 또한 지방 정부가 차량 등록비를 활용한 차량 관련 범죄 단속 권한도 확대했다. ▶사이드쇼 및 거리 점거(AB1978·AB2186·AB2807·AB3085) 도로나 공터에서 불법 자동차 경주나 도로 점거(Sideshow and Street Takeovers) 단속이 강화된다. 경찰은 프리웨이 또는 도로에서 불법 경주를 벌이거나 통행을 방해하는 방해물 등을 설치할 경우 차량 운전자 구속과 별도로 차량을 최대 30일 압수할 수 있다. 또한 법 집행 기관은 차량을 압수할 수 있는 범죄 목록을 확대했다. ▶말리부 속도 안전 시범 프로그램(SB 1297) 말리부시는 5년 동안 자동화된 과속 단속 시스템을 도입한다. LA, 샌호세, 글렌데일, 롱비치 등에서도 해당 시범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전기 자전거 안전 시범 프로그램(AB1778·AB2234) 마린 카운티는 2029년 1월 1일까지 16세 미만 청소년의 전기 자전거(Class 2) 탑승을 금지한다. 샌디에이고 카운티도 2029년 1월 1일까지 12세 미만 청소년의 전기 자전거(Class 1 또는 2) 탑승을 금지한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교통법규 운전자 자율주행차 교통법규 교통법규 시행 차량 운전자
2025.01.06. 20:15
LA경찰국(LAPD)은 연말을 맞아 LA한인타운을 포함 LA 곳곳에서 교통법규 위반 단속을 벌이고 있다. LAPD는 운전중 휴대폰 사용, 과속 및 음주운전을 이번 달 집중적으로 단속할 예정이다. 30일 한 경관이 올림픽 불러바드에서 법규 위반 운전자에게 티켓을 발부하고 있다. 김상진 기자교통법규 위반 교통법규 위반 휴대폰 사용 김상진 기자
2023.11.30. 21:21
앞으로 LA 관내에서 운전 법규 위반 등에 대한 단속 활동에 비무장 행정인력이 시범 파견된다. 조지 플로이드 사망 등 과도한 경찰력으로 인한 피해가 가중되자 LA 내 흑인 및 인권 단체들은 과도한 충돌을 막기 위해 단순 규정 위반 건에 대해서는 무장 경관이 아닌 비무장 행정 직원을 파견하자고 주장해왔다. 이는 ‘블랙 라이브스 매터(BLM)’ 등이 최근 3년 동안 일관되게 주장해온 내용으로 올해 3월부터 LA시의회에서 논의되기 시작했다. 배스 시장이 당선된 이후에는 해당 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결국 시의회는 1일 약 518만 달러의 예산을 시범 운영 자금으로 배정했다. 시 정부는 곧 해당 기금으로 관련 인력을 선발해 길거리에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BLM 측은 즉각 환영의 메시지를 냈다. BLM LA지부는 “드디어 수많은 희생을 통해 요구해온 무장 경찰 제거 요구가 시의회에서 받아들여졌다”며 “시범 운영이 영구적인 프로그램이 되도록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이날 시의회는 지난달 5일 열린 6지구 보궐선거 이멜다 패디야 당선자를 시의원으로 공식 인준했다. 여기에 정부 기구의 구조적인 인종차별을 막는데 기금 300만 달러를 긴급 전용해 주요 지역(REPAIR Zone)에 쓰기로 했다. 한편 토지사용 및 계획위원회(PLUMC)는 14지구 내 식당과 주점들이 알코올 판매 허가를 신속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발의안의 논의를 거쳐 본회의에서 토론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교통법규 비무장 비무장 공무원 교통법규 위반 비무장 행정인력
2023.08.01. 22:01
뉴욕시 스쿨버스들의 교통법규 위반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일리뉴스가 11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최근까지 뉴욕시에서 초·중·고등학생들의 통학을 위해 운영되는 스쿨버스 1만497대 중 과속 또는 정차신호(빨간색 신호등) 위반으로 1장 이상 교통법규 위반 티켓을 받은 스쿨버스는 6895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스쿨버스 중에서 절반이 훌쩍 넘는 65%가 위반 티켓을 받았다는 것으로 스쿨버스들이 매일 15만 명 정도의 학생들을 실어나르고 있다는 것을 감안할 때 관계자들로부터 큰 우려를 사고 있다. 특히 이들 중에는 위반 티켓을 20장 이상 받은 스쿨버스가 86대에 달해 학생들을 태우고 운전하면서 상습적으로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사례도 적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2005년부터 허가를 받고 사업을 하고 있는 포투나 버스(Fortuna Bus Co)의 경우에는 42대의 스쿨버스를 운행하는데 2014년부터 최근까지 446장(대당 10.6장)의 과속 또는 정차신호 위반 티켓을 받아 가장 악명 높은 스쿨버스 회사로 평가 받았다. 더 심각한 것은 스쿨버스가 학교 근처의 스쿨 존(school zones)에서 조차 안전운행을 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스쿨 존에서 과속으로 운전하다(학생을 태우고 있는지 여부는 불확실) 감시카메라에 찍혀 위반 티켓을 받은 스쿨버스는 750대나 됐다. 교통법규 위반 티켓 발급 건수로 계산하면 내용이 더 심각하다. 지난 2014년부터 최근까지 스쿨버스 운전사들이 과속과 정차신호 위반으로 받은 티켓 수는 총 2만6339장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스쿨버스에 대한 위반 티켓 발급 건수는 학교 근처에 감시카메라를 집중적으로 설치한 후 많아졌는데 지난 2019년부터 최근까지 발급된 것만 1만4370장에 달했다. 심지어 조사 기간 동안에 학생 등이 스쿨버스에 치이거나 운행 사고로 목숨을 잃은 사망자도 9명이나 됐다. 특히 지난 2월 브루클린 윌리엄스버그에서는 6세 초등학생이 스쿨버스에 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해 학부모들에게 큰 충격을 주기도 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뉴욕시 교육국이 일정한 기준 이상으로 교통법규 위반을 저지르는 스쿨버스 회사들의 사업허가를 취소하는 등 학생들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강력한 대책을 시급히 세워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
2021.10.12. 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