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소형주택 건설 붐…주택 구매력 상승 효과

신규 주택 크기가 줄어들고 있다. 예비 바이어들에게 희소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체가 첫 주택구매자를 잡으려고 소형 주택 건설에 집중하고 있다고 CNN은 최근 보도했다. 주택 가격이 폭등하고 대형 주택이 인기를 잃고 있는 영향이다.    엘렌 래트너젤 맨앤어소시에이트 주택건설 애널리스트는 “주택 구매 여력이 하락하면서 대형 주택 선호 추세가 바뀌고 있다”며 “소형 주택을 선호하는 예비 바이어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국주택건설업협회(NAHB)에 따르면 일반적인 주택구매자는 2067스퀘어피트 규모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에는 2260스퀘어피트였다.     소형 주택 선호도가 높아지자 건설업계도 크기를 줄이는 추세다. 2023년 건축된 단독주택  중간 면적은 2233스퀘어피트. 2015년 정점을 찍은 2467스퀘어피트에서 9% 줄었다.     NAHB에 따르면 건설업체의 약 38%가 2023년에 더 작은 주택을 지었다고 답했고, 26%는 올해 더 작은 주택을 지을 계획이라고 밝혔 다. 전국 최대 주택건설업체인 D.R. 호톤은 “바이어들의 구매 여력을 높이기 위해 주택 크기를 줄일 계획”이라며 “평균 주택 크기가 작년 대비 2% 감소했다”고 밝혔다.     주택구매 선호도의 변화와 더불어 이에 대한 규제 완화도 주택 소형화에 일조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최근 일부 지역에서 규정을 완화하면서 더 작은 주택 건축이 가능해졌다.     주택구매자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도 주택 소형화를 견인하고 있다. 제시카 라우츠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NAR)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주택구매자의 약 30%가 싱글”이라며 “2000스퀘어피트 주택이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주택 소형화가 구매력을 높이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징후도 나타나고 있다.     NAR에 따르면 기존 주택 중간 매매가격은 6월 42만6900달러로 뛰었다. 반면 크기가 작아진 신규 주택 중간가격은 약 1만 달러 저렴한 41만7300달러였다.  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소형주택 구매력 주택 구매력 소형주택 건설 주택건설 애널리스트

2024.08.07. 19:52

썸네일

현재 100불 가치, 2019년엔 85달러

지난 3년 동안 물가가 얼마나 빠르게 올랐는지를 보여주는 지표가 나왔다. 바로 현재 100달러가 2019년의 85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에 100달러로 살 수 있는 상품을 올해 구매하려면 116달러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2019년 생활비가 월 1000달러가 들었다면 동등한 생활비를 지출하기 위해서는 매달 116달러가 더 있어야 하는 셈이다.   이는 온라인 인플레이션 계산기(www.in2013dollars.com/us/inflation/2019?amount=1)로 산출한 결과다. 3년 동안의 물가 상승으로 인해서 현금 가치가 하락하면서 현재 1달러의 구매력(buying power)이 3년 전보다 14% 감소했다.     물가 상승률인 1.76%였던 2019년 100달러의 구매력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물가가 1.23% 오른 2020년에는 97.07 달러로 내려앉았다. 〈표 참조〉 인플레이션이 4.70%였던 작년에는 92.72달러로 가치가 크게 떨어졌다. 올해(연율 환산 9.34%)는 85.43달러까지 급락했다.     전문가들은 “지난 3년 동안 소득 증가율이 물가 상승률을 앞서지 않았다면 소비자들이 팍팍한 삶을 살아야 한다는 걸 보여주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진성철 기자가치 구매력 물가 상승률 현금 가치 가치 2019년

2022.08.23. 20:21

썸네일

[부동산 가이드] 팜데일·랭캐스터 (18)

 2022년 들어서 모기지 이자율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주택을 매수하려는 사람들의 구매력이 감소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다우존수에 따르면 부동산 중개 회사 Redfin은 30년 고정 모기지 이자율이 올 해 말까지 약 3.9%로 오를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한 주택 예산이 매 월 2000달러 수준인 주택 매수자는 모기지 금리가 3.5% 일 때 39만6000달러 주택을 매수할 수 있지만 모기지 금리가 3.9%로 오르면 38만2250달러로 매수할 주택의 가격이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Redfin은 지금까지 모기지 금리가 상승했음에도 주택 매수자의 수요를 억제하지는 못했다고 분석했다.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부동산 가격이 이전에 비해 약 30%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부동산중개인 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 평균 가격은 팬데믹 이전인 지난 2020 년 3월에 비해 약 8만 달러 정도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여파가 주택 시장에도 상당한 영향을 입힌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중산층의 매입 가능한 주택 수요가 줄어들면서 주택 시장에서의 경쟁이 더 치열해진 것으로 지적했다.   지난 달 LA 한인타운의 주택 거래가 매우 활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 타운 부동산 관계자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달 한인타운에서 매매된 주택은 총 120채로 지난 해 같은 시기보다 약 36%가 많았던 것으로 집계 됐다.     한편 단독 주택 매물은 20%가 줄어 품귀 현상은 지난 해보다 더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주택 시장을 이끈 것은 주로 콘도 거래로 지난 해에 비해 약 133%나 증가 했다. LA 한인타운 부동산 관계자들은 기준 금리 인상 예고에 이자 상승 전에 구입하려는 매수자들이 몰린 것으로 분석했다.   바이어들도 속이 타 들어간다. 집값은 꼭대기에 머물고 있는데 이자율마저 오르는 상황이라 상당수가 주택 구입을 망설이고 있다.   모기지 렌딩 전문사이트 HSH.com의 키스 검빙어 부사장은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를 2~3차례가 아닌 4~5차례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모기지 금리가 큰폭으로 상승했다”며 “불투명한 경제상황과 채권시장 투자자들의 경험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     만약 홈바이어가 30년 고정금리 2.65%에 20만 달러의 모기지를 얻으면 재산세, 주택보험료 등을 제외한 월 페이먼트는 806달러가 된다. 반면 이자율 3.65%에 같은 액수의 모기지를 얻을 경우 월 페이먼트는 915달러로 109달러가 늘어난다. 이자율이 5%라면 월 페이먼트는 1074달러로 점프한다.   물론, 이런 모든 현상들은 이미 알면서도 섣불리 실천을 못하는 이유가 경제적으로나 다양한 이유로 대도시에서 생활해야 하는 이유라고 판단할 수 있으나, 잠시 시야를 넓혀서 위성 도시를 바라보면 여유가 없는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 여유로운 전원 생활을 하면서 삶의 전환의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해 본다.     LA에서 북쪽으로 약 30분 거리에 발렌시아가 위치한 샌타클라리타 지역이 있고 그 곳에서 북쪽으로 약 30분을 더 가면 4계절이 뚜렷한 팜데일, 랭캐스터가 있는 앤텔롭 밸리 지역이 있다. 대면 근무와 재택근무를 동시에 하는 바이어에게는 매력적인 지역이 아닐 수 없다.     ▶문의: (310)408-9435 백기환 / 뉴스타부동산 발렌시아 명예부사장부동산 가이드 이자율 구매력 모기지 이자율 주택 매수자 모기지 금리

2022.02.16. 17:2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