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요인(SDOH,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조사 결과 한인 시니어의 상당수가 영어 구사력 미숙과 고립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시안 고정관념 개선단체 체인지인사이트(CI)가 18일 미 전역 아시아계·하와이 원주민·태평양 섬 주민(AANHPI) 커뮤니티 비영리단체 19개를 기반으로 SDOH 리포트를 발표했다. 지난해 취합한 5932명의 데이터 분석 결과 유의미한 데이터가 드러난 상위 5개 민족은 중국인, 아시아계 인도인(이하 인도인), 필리핀인, 파키스탄인, 한인이다. 한인 87%는 영어가 아닌 한국어를 주로 사용하고, 25%는 최소 주6일 고립됐다. 한국 시니어는 한국어를 주로 사용했다. 한인중 65세 이상 인구(이하 시니어)의 96%는 한국어를 사용해 전체 연령 응답자 비율(이하 전체, 87%)보다 높았다. 중국인 시니어는 99%, 전체(96%)로 집계됐다. 뒤이어 파키스탄인 시니어(96%), 전체(63%), 인도인 시니어(84%), 전체(65%) 등으로 조사됐다. 한인 시니어의 고립도는 가장 심했다. 평균 주 1회 미만 타인과 교류한다는 한인 시니어의 비율은 17%에 달했다. 전체(25%) 비율도 타민족 대비 높았다. 반면 중국인(13%), 인도인(15%), 파키스탄인(12%), 필리핀인(8%) 시니어들의 고립도 비율은 한인보다 낮았으며, 전체로도 중국인(17%), 인도인(15%), 필리핀인(8%), 파키스탄인(12%)이 한인보다 고립도가 낮았다. 주 5회 이상 교류한다는 시니어와 전체 비율도 각각 15%로 가장 낮았다. 반면, 한인 시니어의 빈곤율은 아시아계 중 가장 낮았다. 한인(30%) 시니어 빈곤율은 중국인(80%), 인도인(62%), 필리핀인(43%), 파키스탄인(36%) 대비 가장 낮았다. 한인 전체(24%)로는 중국인(67%), 인도인(51%), 파키스탄인(32%)보다 낮고 필리핀인(13%)보다는 높았다. 교육수준은 시니어에서는 중간대를 차지했지만, 전체 연령대로 확장하면 낮다. 고졸 이상 비율은 한인(43%) 시니어가 중국인(14%), 인도인(42%)보다 높았고 필리핀(88%), 파키스탄(44%)보다 낮았다. 전체(55%)로는 필리핀(79%), 인도(57%), 파키스탄(56%)에 이어 4위다. 중국인(23%)보다는 높았다. CI는 리포트를 통해 “한국인의 사회적 교류가 가장 부진하다”며 “공연에 가거나 피트니스를 다니는 등 의도적으로 공동체에 참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했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시니어 구사력 한인 시니어 파키스탄인 시니어 인도인 시니어
2024.01.22. 17:38
“차세대는 다국어 구사 능력이 곧 경쟁력이다.” 줄리엔 이 풀러턴 교육구 부교육감은 교육구가 새 학년도부터 라구나로드 초등학교에서 시행할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몰입교육 프로그램 도입의 주역이다. 〈본지 5월 19일자 A-14면〉 이 부교육감은 지난 2019년 8월 부임 직후부터 한·영 몰입교육을 추진했다. 롱비치 교육구에서 교사로 재직하며 스패니시와 영어 몰입교육을 담당했던 그는 로버트 플렛카 교육감과 함께 교육위원들에게 한·영 몰입교육 필요성을 틈 나는 대로 강조했다. 이 부교육감은 전화 인터뷰에서 “교육위원들도 이중언어 몰입교육의 중요성에 공감하게 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아니었으면 한·영 몰입교육 도입이 더 빨라졌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또 몰입교육 도입 과정에서 캘스테이트 풀러턴 교육학과 그레이스 조 교수가 학부모들에게 이중언어 교육의 장점을 알리는 데 많은 도움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이 부교육감은 교육구가 2019년 피슬러와 비치우드 스쿨(이상 K~8)에, 2020년 팍스 중학교에 한국어반을 개설하는 데 앞장섰다. 현재 교육구 내 유일한 한국어 교사인 지니 심씨도 이 때 교육구와 인연을 맺었다. 이 부교육감은 “그 때 이후 K-팝, 한국 영화, 드라마 인기가 급상승하며 한국어반에 학생이 몰린 것도 몰입교육 도입에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심 교사는 “많은 타인종 학생이 한국, 한국어에 매력을 느끼고 있다. 몰입교육을 통해 한국에 친근감을 갖는 미래의 인재가 많이 배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교육구 측은 올 가을 라구나로드 초등학교 킨더가튼의 1개 반에서 몰입교육을 시작한다. 이후 다음 학년도엔 1학년에도 이중언어반을 만드는 방식으로 매년 교육 대상을 확대, 궁극적으로 8학년까지 몰입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풀러턴 교육구의 경우, 7~8학년생이 중학생이다. 풀러턴 교육구엔 K~8학년 학생 1만 3000여 명이 재학 중이며, 이 가운데 약 4분의 1이 한인이다. 교육구는 오늘(23일) 오후 5시 라구나로드 초등학교 25호실에서 이중언어 몰입교육 설명회를 연다. 한국어 통역 서비스도 제공한다. 문의는 교육구(714-447-7416)에 하면 된다. 임상환 기자줄리 부교육감 구사력 교육구 부교육감 이중언어 몰입교육 몰입교육 도입
2022.05.22. 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