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팬데믹 구호 축소에 굶는 어린이 늘었다

각종 코로나19 팬데믹 구호가 중단 또는 축소되면서 먹거리 부족에 처한 어린이가 늘었다.     지역매체 ‘더 시티’는 11일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식량 부족에 처한 어린이와 시민들의 상황이 최근들어 더 악화되고 있는 현실에 대해 보도했다.     각종 통계에 따르면 뉴욕시의 식량 불안은 팬데믹 이전보다 크게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아 퇴치 비영리단체 ‘피딩 아메리카’에 따르면 뉴욕시에서 식량 불안에 처한 인구는 팬데믹 전보다 36% 증가했다. 어린이나 학생들의 굶주림은 더 심각했는데 이들의 식량 불안은 팬데믹 전보다 46% 증가해, 4명 중 1명이 먹을 것이 충분치 않은 현실이다.     시 전역에서 26%의 어린이가 이같은 굶주림 상황이 처해 있었다. 브롱스(36%)와 브루클린(28%)이 시 전역 평균보다 심각했고, 퀸즈(22%), 맨해튼(20%), 스태튼아일랜드(19%)가 조금 나은 상황이었다.     숫자로 보면 뉴욕시 인구 중 약 150만명이 굶주림에 처해 있고, 이중 50만명이 학생 또는 어린이다.     팬데믹이 2년 반 경과한 현재의 상황은 더 좋지 않다. 이는 많은 팬데믹 구호가 중단됐거나 축소됐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식료품 가격은 폭등했는데, 팬데믹 중 지원됐던 퇴거유예, 특별 실업수당, 아동 세액공제 등의 지원이 모두 끊긴 것이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시민단체 ‘노 키드 헝그리’ 측은 “팬데믹이 끝났는지 여부와는 별개로 뉴욕시 서민가정에 기아 위기는 오래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무료 급식의 경우 질과 맛이 불만족스럽다는 불만이 계속 제기돼 왔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많은 푸드뱅크가 학교에 설치돼 학생과 그들 가정의 식량 공급원 역할을 했다. 뉴욕시 공립교의 폐쇄 기간 중에도 이들 학교의 푸드뱅크에서 약 1억3000만 건의 급식을 제공했을 정도다.       하지만 공공 푸드뱅크에 신선하고 고영양의 재료 공급이 부족해 가공식품과 고염분, 고설탕의 식품들이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어린이 굶주림과 불균형적 영향은 미래까지 제약하게 돼 빈곤의 악순환을 낳을 가능성이 높다.   에너지와 집중력을 떨어뜨려 체력 저하나 학습능력 지체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더 심할 경우 발달 지연이나 질병 감염 등 큰 후유증을 남길 우려가 크다. 하지만 당장 겉으로 드러나는 징후를 보이지 않을 경우 문제가 장기화될 수도 있다.   장은주 기자어린이 구호 어린이 굶주림 굶주림 상황 식량 불안

2022.07.11. 17:15

'렛츠 고 브랜든' 화제 이유는…구호·랩 등으로 퍼져

지금 미국에서는 ‘렛츠고 브랜든(Let’s go Brandon)' 구호가 화제다. 이면에는 논란도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을 비꼬는 구호이기 때문이다.   먼저 최근 이 문구를 내세워 랩을 한 로자 알렉산더가 2주째 빌보드 이머징 아티스트 차트 1위를 달리고 있다.   이 노래에 맞춰 춤을 추는 각종 밈(meme) 영상들은 소셜미디어 등에서 수십만 회씩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다. 렛츠고 브랜든 문구가 들어간 티셔츠, 모자 등도 온라인에서는 인기 아이템으로 판매되고 있다.   요즘 스포츠 경기에서도 이 구호는 빠질 수가 없다.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휴스턴 애스트로스간의 월드시리즈에서도 관중이 '렛츠고 브랜든'을 연호했다. 대학 풋볼 경기에서 이 문구는 대학생들 사이에서 인기 구호가 된지 오래다. '렛츠고 브랜든'은 스타디움을 가득 메운다.   사우스웨스트 항공사는 이 문구 때문에 난감한 상황이다.   지난달 29일 휴스턴발 사우스웨스트 항공편의 기내방송에서 '렛츠고 브랜든' 문구가 나왔다는 주장 때문이다. 반면, 기장이 월드시리즈 기간임을 감안해 '렛츠고, 브레이브스'를 말한 것이라는 주장 역시 제기되고 있다. 항공사는 이에 대한 자체 조사를 진행중이다.   '렛츠고 브랜든' 문구가 전국적으로 주목받게 된 것은 지난달 3일 앨라배마에서 열린 자동차 경주대회 나스카(NASCAR)에서 벌어진 일 때문이다.   당시 일부 관중은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욕설(Fxxx Joe Biden)을 외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NBC 기자(켈리 스타배스트)가 우승자 브랜든 브라운 선수를 인터뷰하는 과정에서 욕설 연호를 “관중이 지금 '렛츠고 브랜든'을 외치고 있다”고 잘못 언급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물론 민주당 지지자들은 이 문구의 확산이 불편할 수밖에 없다. '렛츠고 브랜든'이 논란인 이유다.         장열 기자브랜든 구호 렛츠고 브랜든 우승자 브랜든 렛츠고 브레이브스

2021.11.05. 19:3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