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정의인가 폭력인가…복수의 도덕적 역설

복수의 대상이 나타난다. 그에게 자신이 당했던 고문과 학대를 가한다. 그러나 그가 자신을 정말 고문했던 자였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복수는 정의의 이름을 빌려 행해진다. 하지만 그 정의를 누가 정의하나. 폭력으로 억압받은 자가 폭력으로 대응할 때 그것은 정의인가, 아니면 또 다른 폭력의 반복인가. 진실은 하나일지 몰라도 그 진실에 도달하는 도덕의 경로는 언제나 모호하다. 더구나 그 ‘진실’이 우리의 불완전한 기억에 의존하고 있다면.     2025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 ‘그저 사고였을 뿐(It was just an accident)’은 복수극처럼 보이지만 진실, 도덕, 기억의 불확실성에 대한 정치적 논쟁을 던지고 있는 작품이다.     이란 감독 자파르 파나히는 고문과 폭력의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의 관계를 개인적 복수로 단순화하지 않고 제도와 시스템이 만들어낸 구조적 폭력의 문제로 확장한다.     그에게 영화 활동 금지령을 내렸던 이란에 대한 파나히의 일침이 날카롭다. 그는 영화를 이란 사회와 국가 폭력의 축소판으로 다루면서 전 세계 어둠 속 눈먼 자들을 향해 외친다. 침묵하지 말라, 행위의 주체가 되어 복수의 욕망을 극복하고 인간의 존엄을 증언하라고!     파나히 감독에게 영화는 저항의 형식이다. 그의 작품 세계는 철저하게 정치적이고 그가 만든 모든 영화는 저항 행위이다. 이 영화는 고문자와 피해자의 관계를 통해 이란 정부의 억압과 지식인의 침묵을 은유적으로 비판한 ‘이란의 내부 고발’이다.     파나히 감독은 영웅적 저항이나 인간적 결단의 서사에 머무르지 않고 개인의 결단이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없다는 냉정한 입장을 고수한다. 그는 “우리는 모두 체제 속에서 누군가를 억압하는 역할을 한 적이 있지 않은가”라는 불편한 질문을 던진다. 영화는 여전히 제도적 구조의 전환 없이는 해방도 미완이라는 파나히가 일관되게 탐구해온 세계관의 연장선에 있다.   한 밤중, 한 남자가 아내와 어린 딸을 차에 태우고 어디론가 달리고 있다. 어둠 속을 가르며 달리던 도로 위 유기견을 치고 만다. 차가 손상되어 근처 정비소로 들어간다.     아제르바이잔계 바히드는 의족 때문에 삐걱 소리를 내며 걸어 오는 정비소의 주인(에그발)의 모습을 보며 한 남자를 떠올린다. 이 남자가 과거 정치범으로 감옥에 갇혀 있을 때 자신을 고문했던 자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그의 뇌리를 스친다.     순간 바히드는 복수심에 불탄다. 정말 자신을 고문했던 자인지를 확인하겠다는 생각으로 밤 중에 그의 집에 침입해 납치하고 밴에 가둔다. 그리고 이전의 동지들을 불러 모은다. 여성 사진작가 시바, 결혼을 앞둔 커플, 다혈질의 하미드 등 고문 피해자들이 모여든다.       이들은 하나같이 고문으로 인한 트라우마에 시달리며 살고 있다. 그러나 누구도 고문 가해자를 직접 본 일이 없다. 그들은 늘 눈을 가린 채 고문을 당했다. 단지 그가 의족을 하고 있어 걸을 때마다 들리던 삐끄덕 소리만을 기억할 뿐이다.     에그발은 자신이 고문자가 아니라고 강하게 주장한다. 그에게 아이가 있고 아내가 임신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바히드와 그의 동료들 사이에 갈등이 생긴다. 즉각적으로 에그발을 처벌하자는 주장과 좀더 진실을 확인한 뒤 행동하자는 의견으로 갈린다.     그들이 도덕적 딜레마에 빠져 있는 동안 에그발의 집에서 임신한 아내가 출산을 위해 속히 병원에 가야 하는 긴박한 상황이 벌어지고 이 일로 인해 복수 플랜은 잠시 중단된다.     새로 태어난 생명을 축하하는 장면에서 바히드의 인간적 면모가 드러난다. 바히드와 시바는 에그발을 조용한 장소로 데려가 묶은 채로 그를 심문한다. 완강히 부인하던 에그발은 점차 자신의 과거 행적을 일부 인정한다. 그러나 진실한 고백인지 강압에 의한 자백인지 확신할 수 없다. 바히드는 에그발을 처벌하지 않고 풀어준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바히드의 뒷모습을 길게 따라가는 롱테이크로 촬영됐다. 그는 사건 이후 평온한 일상으로 돌아온 듯 보이지만 주변 풍경은 무겁고 정적에 잠겨있다. 그때 뒤편에서 절뚝이며 다가오는 발소리, 그리고 금속이 긁히는 듯 삐걱 소리가 들린다. 이에 멈칫하는 바히드, 그러나 끝내 돌아보지 않는다. 화면은 고요한 채로 암전되며 영화는 끝이 난다.       이란에게도, 바히드에게도 진정한 해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억압과 통제의 메커니즘은 여전히 작동 중이다.     바히드는 자유에 도달한 듯하지만 실상은 절대 자유롭지 않다. 마치 이란 사회의 현실처럼 억압은 형태만 바뀌었을 뿐 지속하고 있다.       우발적 사건처럼 보이는 교통사고, 납치, 복수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은 국가 폭력이 개인의 일상 속으로 어떻게 스며들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영화는 끝까지 진실을 확증하지 않는다. 피해자들은 복수의 대상을 두고 과연 그가 정말 가해자였는지, 그리고 그를 처벌하는 것이 정의인지에 대하여 갈등한다. 잔혹한 체제에 부역한 자를 처벌하는 일이 과연 그 체제 자체에 대한 복수가 될 수 있는가. 그리고 상처 입은 그들의 마음속에서 진정한 용서는 가능한가.   바히드는 곧 파나히의 분신이다. 체제의 폭력 앞에서 무력하기만 했던 파나히 감독 자신의 도덕적 트라우마와 국가 폭력과 예술 검열 경험을 극화한 자전적 인물이다. 그럼에도 그는 작중 인물 에그발이 정말 고문자였나에 대하여 한 번도 명확히 답하지 않는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관객 스스로 풀어야 할 과제로 남겨 두고자 함이다.     '그저 사고였을 뿐'은 이란 감독의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2026 아카데미상 국제장편영화 부문에 프랑스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출품된다. 비밀리에 촬영된 이 영화는 이란 정부가 공식 승인한 영화가 아니기 때문에 이란의 출품작이 될 수 없다. 파나히 감독은 2010년부터 이란 정부로부터 일체의 영화 제작 및 영화 관련 해외 활동 금지령을 받았다.     다행히 아카데미는 제작비 60% 이상을 투자했고 배급권을 보유한 프랑스의 출품을 인정하고 있다. 프랑스는 오랫동안 이란 감독들의 피난처 역할을 해왔다.   영화 ‘그저 사고였을 뿐’은 반체제 감독 자파르 파나히가 만든 이란 영화이고, 프랑스가 제작, 투자한 프랑스 영화이며 동시에 표현의 자유를 지지하는 우리 모두의 영화다. 김정 영화 평론가 [email protected]역설 도덕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국가 폭력 구조적 폭력

2025.11.05. 19:3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