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에 왔다. 몹시 안타깝고 그리웠던 아이들을 만나려고 뉴저지에서 마이애미로 가 하룻밤을 보내고, 다음날 새벽같이 나와 비행기를 타고 아이티 북부 도시 캡 헤이션에 도착했다. 갱들의 피해를 보지 않아 조용한 캡 헤이션에서 다섯 시간을 기다려 작은 비행기를 타고 수도 포르토프랭스에 도착했는데, 20분이 걸렸다. 이번 방문은 10개월 만이다. 작년 9월 초에 다녀간 후, 11월부터 미국 항공편의 운항이 중단되었고, 이후 계속 연장되어 지금도 포르토프랭스는 국제선 비행기가 운항하지 않는다. 그나마 국내선이 지난 6월부터 정부가 보험을 보증하면서 정기운항을 시작했지만, 국제선은 내년까지 재개되지 못할 것으로 대부분 예상한다. 지금 포르토프랭스는 전기가 전혀 공급되지 않는다. 얼마 전, 발전소 인근 주민들이 갱들의 습격을 받았을 때 정부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경찰로부터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한 일이 있었다. 이에 분노한 주민들이 애꿎은 송전탑 여섯 개를 절단해 넘어뜨리면서 전력 공급이 완전히 끊겼다. 우리가 머무는 센터도 제한적으로만 발전기를 돌리고 있다. 일반 서민들은 밤이면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지내고, 낮에는 전기로 할 수 있는 어떤 것도 할 수 없다. 수도 전체가 완전히 단전 상태다. 이런 사정 속에서, 오랜만에 온 우리는 고아원 아이들을 차례대로 센터로 불러서 만났다. 전기도 전혀 들어오지 않고, 갱들은 여전히 밤낮없이 총격전을 벌이며 사람들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고아원은 갱 점령지역에서 숨죽여 지내고 있다. 긴장하며 지내는 아이들을 위로하고, 사랑을 나누고자 만나서 신체검사도 하고, 모처럼 푸짐한 도시락도 함께 먹으며 격려했다. 아이들은 표현이 없지만, 원장들은 어려운 걸음을 해준 우리에게 뜨거운 포옹으로 감사를 전하며 맞잡은 손을 놓지 못한다. 어찌 지냈느냐는 안부도 부질없는 상황에서 우리는 자주 울컥한다. “버텨줘서 고맙다”라는 말을 눈빛으로 나누며, 우리는 씩씩한 척 큰 소리로 노래도 부르고, 길고 깊은 감사 기도도 함께 드렸다. 아예 문을 닫은 학교가 수업을 하는 학교보다 훨씬 많은 상황인데, 문을 연 학교도 수업을 제대로 못 해 방학을 늦추고 있다. 그런 가운데 고등학교 졸업 국가 자격시험인 ‘바칼로레아’가 이번 주에 치러졌고, 고아원 아이들도 여러 명 응시했다. 이 시험에 합격하면 대학 입학시험을 볼 자격을 준다. 우리는 지금 4명의 대학생 학비와 생활비를 지원하고 있는데, 9월 학기에 최소한 두 명을 추가로 지원하기 위해 기도 중이다. 갱단의 폭력으로 나라의 존립이 흔들리고, 국제사회의 외면 속에 소망이 보이지 않는 이 땅에서, 갱들이 활동할 때는 아이들이 학교도 갈 수 없지만 우리는 그래도 아이들 교육을 좀 더 지원할 수 있기를 간절히 기도하고 있다. 후원받은 식량을 받아가려면 적지 않은 통행료를 갱단에 내야 하고, 숨 한 번 크게 쉬기도 어려운 현실 속에 삶은 점점 더 피폐해지고 있지만, 우리는 고아들의 삶이 처참해질수록 더욱 하나님만 바라본다. 시편 140편 12절에서 다윗은 이렇게 고백한다. “주님이 고난받는 사람을 변호해 주시고, 가난한 사람에게 공의를 베푸시는 분임을, 나는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아직도 아이티에서 고아들을 품고 소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이유는, 고난받는 사람 편에 계신 그 하나님이 바로 우리가 믿는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이 참혹한 땅에서 하나님이 우리 편이심을 믿고 있기 때문이다. 조 헨리 / 선교사·더 코너 인터내셔널 대표삶과 믿음 하나님 국제선 비행기 가운데 고등학교 고아원 아이들
2025.07.10. 18:01
책 제목입니다. 처음 제목을 봤을 때는 거부감이 있었습니다. 이런 제목의 글을 쓴 저자가 누구인지 궁금했습니다. 저자는 ‘와다 히데키’라는 분이었습니다. 그는 1960년에 출생한 노인정신의학 전문의 이었습니다. 그는 다양한 이력을 가진 분입니다. 영화감독이라는 이력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데뷔작인 ‘수험의 신데렐라’는 2007년 모나코 국제영화제에서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했습니다. 그는 다수의 저서를 출간했습니다. 저희 부부는 ‘코비드-19’ 이후로 처음 국제선 비행기를 탔습니다. 덴버에서 달라스 경유 인천 공항으로 가는 항공편이었습니다. 달라스에서 우리가 타려는 비행기가 고장이 나 고치고 있다는 안내 방송이 들렸습니다. 기다렸다가 탑승했습니다만 다시 내려 기다려야 했습니다. 결국 다른 비행기로 대체되었습니다. 우리는 8시간 만에 탑승할 수 있었습니다. 기다리는 중에 어떤 분들은 보상도 해주지 않는다고 화를 냈습니다. 다른 분들은 공중에서 고장 나지 않은 것이 얼마나 다행이냐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출발 전에 격리 14일에서 무조건 10일로 변경되었습니다. 우리 입장에서는 오히려 4일 줄어들었습니다. 지인이 전화를 주셨습니다. 격리 중이라 얼마나 답답하냐고 하셨습니다. 답답하지 않고 오히려 모처럼 휴식을 즐기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그 분은 참 편하게 생각하고 편하게 잠을 자는 저희 부부가 부럽다고 하셨습니다. 우리에게는 자연스러웠지만 어떤 분들에게는 불편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994년 한국의 N신학대학원에서 H전도사님과 함께 공부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 분은 40일 금식을 2번이나 했다고 하셨습니다. 공부할 당시 금식 후유증으로 힘들어 하셨습니다. 결국 그분은 공부를 포기하셨습니다. 무리하다 쓰러지면 죽도 밥도 안 되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 편한 데로 사는 사람이 더 잘될까 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제가 내린 결론은 긴 인생길에서 놀며 쉬며 가야 지치지 않고 원하는 대로 살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1984년도에 M그룹 전산실에서 근무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에 개인 컴퓨터가 보급되기 시작할 때였습니다. 사무자동화가 되면 회사 생활이 아주 편해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일인당 업무 처리량이 약 6배 정도 향상되었으며, 업무시간은 오히려 더 늘어났습니다. 사람들은 계속 바쁘게 일하는 것을 미덕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할 일을 다 마치면 다른 일거리를 찾아 나섭니다. 사람들은 놀면서 생활하는 사람을 보면 “팔자 좋네!”라고 말합니다. 부러워서 하는 말이겠지만 그 밑바닥에는 편해지는데 대한 죄의식이 있습니다. 누구든 편안한 삶이 제일 좋다는 걸 잘 압니다. 그럼에도 편히 살면 꿈을 이룰 수 없다는 고정관념을 떨쳐 버리지 못합니다. 그래서 노력 없이 좋은 결과가 나오면 ‘운이 좋았다’라며 성과를 깎아내리고, 노력했지만 결과가 안 좋으면 ‘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하다’라며 다음을 기약합니다.노력에 가치를 두는 사람은 고생 끝에 낙이 온다고 믿습니다. 고생 끝에 낙이 온다고 믿으면 괴로움을 참는 것이 미덕이 되어버립니다. 하지만, 고생 끝에 오는 건 낙이 아니라 또 다른 고생입니다. 시대가 바뀌었습니다. 이제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을 대신하는 세상이 됐습니다. 기술 및 도구의 발달로 확실히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편안해질 수 있는 시대입니다. 불편함을 참고 노력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뇌는 편안함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뇌는 본래 쾌락을 추구하는 본능이 있다고 합니다. 뇌는 힘들거나 괴로운 일을 좋아하지 않고, 노력이나 근성도 좋아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뇌는 우리가 놀 때 가장 좋아한다고 합니다. ‘어떻게 하면 편해질지’를 궁리할 때 인간의 뇌는 가장 힘이 넘친다고 합니다. ‘지나영’ 정신과 의사는 “소크라테스가 ‘바쁜 생활을 조심하라!’고 한 것처럼, 바쁜 삶에서 매우 애쓰는 자세를 내려놓고, 조금 더 자신의 마음이 흐르는 대로 삶을 살아갈 때 평온함과 만족감이 더 큰 것을 흔히 본다!”라고 말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내 꿈은 놀면서 사는 것’으로 인생관을 바꿔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CEO는 게으른 사람을 뽑는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게으른 사람은 일을 쉽게 처리할 방법을 찾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편안함을 선호하는 것은 결코 게을러서가 아니라,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은 점점 발전하는 세상에 가장 잘 어울리는 인생관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발이 급한 사람은 잘못 가느니라!”(잠 19:2)라는 성경 말씀처럼, 서두르다 보면 하나님의 길을 지나칠 위험이 큽니다. 세상은 단시간에 더 많이 일하라고 다그치지만 예수님은 한 번도 서두르지 않으셨습니다. 성경학자 ‘윌라드’는 “예수님을 한 단어로 표현한다면 ‘느긋하다’라고 말했습니다. 느긋함은 영적 리더십의 핵심입니다. 목회칼럼목회칼럼 임동섭 국제선 비행기 회사 생활 달라스 경유
2021.12.20. 1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