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광장] 보이지 않는 전선의 전사들
‘먼저 아는 자가 이긴다’는 말은 정보전의 오랜 상식이다. 손자병법의 ‘지피지기(知彼知己) 백전백승(百戰百勝)’, 즉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 백번 이긴다’는 고사성어는 여전히 군의 정보 교육 지침서로 회자되고 있다. 현대전은 더 이상 전선에서 총칼만으로 벌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적의 움직임을 사전에 포착하고 의사결정권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 작전이야말로 평시와 전시를 막론하고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결정적 요소가 되었다. 최근 한국에서는 군 수뇌부 장성들이 홍역을 치르고 있다. 지난해 12.3 계엄령 이후, 전 정권의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을 비롯해 국방장관, 합참의장, 참모총장 및 직할 작전사령관들이 군법이 아닌 일반 법관의 조사와 수사를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법원을 드나들고 있는 모습은 씁쓸함을 자아낸다. 그중에서도 2성 장군인 드론사령관이 정보전의 일환인 ‘평양 무인기 침투 사건 의혹’으로 세상에 감춰야 할 지휘관이 노출되어 사법기관에 불려다니고 있다. 정보 작전의 특성상 그 존재 자체가 기밀이어야 할 인물이 공개적으로 소환되는 현실은 아쉬움을 남긴다. 21세기 군사 작전에서 정보 작전은 단순한 보조 수단이 아니라 전략의 중심축으로 기능한다. 미국의 사례는 이를 명확히 보여준다. 중동전쟁에서 미국은 정찰위성, 무인기, 전자 감청 자산 등을 활용하여 적군의 병력 위치, 지휘 체계, 통신망을 완벽하게 파악했다. ‘공격 전에 이미 전쟁은 끝났다’는 말처럼, 미군은 적의 주요 기지를 초정밀 유도무기로 타격하여 지휘 체계를 마비시키고 적의 전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켰다. 정보 우위가 곧 전장의 주도권으로 이어진 것이다. 2022년 이후 계속되고 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또한 정보 작전의 중요성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우크라이나는 서방 국가들과의 긴밀한 정보 공유를 통해 실시간으로 러시아군의 위치, 병참로, 작전 패턴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이처럼 현대전에서 정보 작전은 단순히 무력을 사용하는 것을 넘어, 비대칭 전력의 핵심 수단으로 발전하고 있다. 첨단 기술을 활용한 정보 수집과 분석 능력은 열세에 있는 전력도 우위에 있는 상대를 효과적으로 견제할 수 있게 만든다. 일컬어 정보 작전이란 단순히 ‘적의 정보를 빼오는 행위’로만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공격보다 방어, 무력보다 지성에 기반한 전장 대비책이다. 국가는 군사적 충돌을 피하기 위해 사전에 위험을 식별하고 대응 전략을 구상할 수 있도록 돕는 보이지 않는 국가의 방패이기도 하다. 적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어떤 움직임을 보이는지 미리 파악함으로써 불필요한 충돌을 막고, 국가 안보를 수호하는 최전선의 역할을 수행한다. 정보 작전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필수 조건이다. 20세기에는 누가 더 많은 무기를 갖췄는지가 중요했다면, 21세기에는 누가 더 빨리, 더 정확하게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대응하느냐가 승부를 가른다. 정보는 무기보다 강하다. 우리 군은 이 ‘보이지 않는 전쟁’에서도 앞서나가야 한다. 정보전은 전시뿐 아니라 평시에도 끊임없이 수행되는 작전이다. 국가 안보를 지키는 최전선이자, 외부의 위협을 조기에 식별하고 차단하기 위한 눈과 귀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 작전은 눈에 보이지 않으며, 존재조차 공개되지 않는다. 이는 정보전의 첫 번째 속성인 ‘은밀성’ 때문이라는 사실이다. 정보전은 국가 기밀로 분류되며, 그 진행은 깊은 어둠 속에서 조용히 이루어진다. 공개되지 않는 정보, 드러나지 않는 움직임, 이름조차 남기지 않는 인물들, 그들은 국익을 위해 살아 있는 ‘유령’이 되어 임무를 수행한다. 국가의 운명을 좌우하는 수많은 순간들 뒤에는 이렇게 보이지 않는 정보 전사들의 헌신이 자리하고 있다. 그들의 묵묵한 노력이야말로 우리가 누리는 평화의 든든한 초석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재학 / 6.25참전유공자회 회장열린광장 전선 전사 직할 작전사령관들 정보 작전 군사 작전
2025.07.30. 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