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마당] 어느 그리스도인의 장례식
                                    며칠 전 남편과 나는 얼굴도 잘 모르는 분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남편의 친구분의 아내다.     고인과는 10여 년 전 그 집 부친의 장례식에 참석했을 때 처음 만났다. 그러니까 고인은 큰 며느리다. 남편 동창들이 부부동반으로 모여 장례식이 끝나고 점심을 먹는데 그 부인은 우리에게 한 번도 오지 않고 우리가 볼 수 있는 곳에서 누군가하고 이야기에 열중해 있었다. 우리 중의 누구도 인사를 하러 가지 않았다. 흔한 일은 아니었기에 기억에 남았다.     고인의 장례식장이 거리가 가깝고 남편이 젊다면 혼자 가라고 하고 싶었다. 그런데 장소도 멀고 고인의 남편이 직접 부고를 보내와서 성의가 고마워 부부동반으로 참석했다.   장례식장 입구에서 고인의 남편을 만났다. 다소 불안하고 수척해진 얼굴에 흰색 턱시도를 입고 있었다. 별말 없이 고인의 남편과 인사를 나누고 조의금을 내고 고인의 관이 놓인 장례식장에 들어가 자리를 잡았다.     고인의 사진이 양쪽 전면 상단에서 살짝 미소를 띠고 우리를 반겼다. 그 모습은 오래전에 언뜻 봤던 모습과 전혀 달랐다. 단정하면서도 정감가는 모습이었다. 동창 두 분과도 만나 인사 나누고 혼자 오신 동창분과 같이 자리를 잡았다.     장례식이 시작되었다. 고인의 조카인 목사님이 사회를 맡았다. 식순에 따라 기도와 찬송을 부르고 아들 딸 네 명 중 세 명이 엄마를 기리는 얘기를 짧게 이야기했다.     다만 막내 아들만이 엄마와 신앙에 관해 나누었었던 부분을 길게 얘기했다. 평소 가깝게 지냈던 지인들이 고인을 기리는 차례가 되었다. 여러 사람들이 고인과의 관계를  짧게 한마디씩 했다.     대부분 고인의 남편과 같은 의사분들이었다. 그중 어떤 한 분은 몸이 불편한지 앉은 채로 마이크를 잡았다.     “여러분, 오늘 이 자리에 오신 것은 고인이나 고인의 가족을 위해 오신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 자신을 위한 일입니다. 아무리 교회에 다녀도 거듭나지 않으면 천국에 갈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요한복음 3장을 인용한 말이다. 예수님이 니고데모에게 “사람이 거듭나지 않으면 하나님의 나라를 볼 수 없다”고 했던 말씀이다.   그분은 계속 말을 이어갔다. 모태신앙인 그분은 습관적으로 교회에 봉사하고 착하게 산다고 살며 열심히 교회에 다녔는데 어느 날 고인이 “거듭나셨습니까”하고 질문을 했다고 한다.     너무 갑작스럽고 당혹스런 질문에 기분이 나빴는데 결국은 고인의 그 말이 자기의 신앙생활을 다시 되돌아보게 하고 지금은 거듭남을 체험하고 그 신앙심으로 살고 있다고 고백했다. 장례식장은 어느새 모두 숙연해지며 자기를 되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다.   곧이어 고인의 남편 차례가 됐다. 고인이 본인을 만나 미국까지 와서 네 자녀를 키우고 본인 뒷바라지 하느라 고생했다면서 말을 잇지 못했다. 그러다가 고인과 만나게 된 사연을 회상했다. 의과대학을 갓 졸업하고 바로  군대에 가서 수술 한번 해보지 않았는데 욕창 환자가 생겼다 한다. 부하들 앞에서 체면상 못한다고는 할 수 없기에 용기를 내서 수술을 하고 ‘미제 마이신’을 듬뿍 사용해서 다행히 잘 나았다고 했다.   당시 군대에서는 미국산 약품을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미제’라는 말에 우리는 와르르 웃었다. 우리가 젊었을 때 미제라면 최고로 여기지 않았던가. 아무튼 욕창 환자를 잘 치료한 덕분에 소문이 잘 나서 그 동네 교장선생님이 찾아온 일, 그분의 딸인 고인을 만난 일 등 마지막 아내를 보내며 그 옛날 풋풋했던 젊은 시절이 그리운 듯  고인 앞에서 절절히 지난 세월을 이야기했다.     끝으로  고인에 대한 고마운 에피소드 5개를 이야기하겠다고 했는데 시간이 지연되어 3개로 줄였다. 어찌 3개뿐이겠는가. 고인이 젊은 날 한국에 있을 때 KBS 아나운서 자리를 마다하고 극동방송 아나운서로 활동했다는 것만으로도 그분의 신앙심을 알 수 있었다.     남편 분이 아내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고구마 줄기처럼 줄줄이 따라나온다고 해서 장례식장인데도 웃음바다가 되었다. 참으로 흐뭇한 장례식이었다.   8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고인은 양쪽 정면 상단에서 만족한 듯 처음부터 똑같은 미소를 짓고 있었다. 한편 어머니를 잃은 두 딸은 장례식이 끝날 때까지 계속 울고 있었다. 이제 어머니를 볼 수 없다는 상실감이 그들을 한없이 슬프게 한 것 같았다.     구약 성서 전도서 7장1절에서 4절까지 말씀을 보면 “죽는 날이 태어난 날보다 좋고 잔칫집에 가는 것보다 초상집에 가는 것이 좋다. 산사람은 모름지기 죽는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지혜로운 사람은 마음이 초상집에 있고 어리석은 사람은 마음이 잔칫집에 있다”고 했다. 그날 장례식에 모인 사람이 거의 기독교 신자들이었을 것이다.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도 마찬가지로 사후의 세계가 있을 것이다. 모두 그 세계에 들어가려면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죽음 앞에서는 누구도 예외가 없다는 것이다. 하늘이 높아진 이 가을에  남은 시간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조금은 답을 얻은 것 같다. 집에까지 오는 내내 고인의 언니와 가족이 부른 “거기서 거기서 주님과 영원히 살겠네”의 찬송소리가 귓가를 맴돌았다. 이영희 / 수필가문예마당 그리스도인 장례식 장례식장 입구 그날 장례식 대부분 고인 
                                    2025.10.30. 1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