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7월 생산자물가 전망치 크게 웃돌아…관세 영향 본격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여파로 7월 들어 도매 물가가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7월 미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9% 상승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전월 대비 0.2% 상승을 예상한 다우존스 집계 전문가 전망을 큰 폭으로 웃도는 수치다. 지난 6월 생산자물가지수는 거의 변화가 없었는데, 7월 상승 폭은 2022년 6월 이후 3년여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은 3.3%로 지난 2월(3.4%)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에너지와 식품, 무역서비스 등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6% 올라 상승률이 역시 전망(0.3%)을 크게 웃돌았다. 역시 2022년 3월 이후 최대 폭 상승이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8% 상승했다.     도매물가로도 불리는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받아들여진다. 연간 기준으로 도매물가 상승폭은 연방준비제도(Fed)의 인플레이션 목표치(2.0%)를 훌쩍 뛰어넘는 수준을 기록했다.     항목별로 보면 최종 수요 서비스 가격이 전월 대비 1.1% 상승해 2022년 3월(1.3%) 이후 3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 전체 생산자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특히 도매업자와 소매업자가 받는 마진 변화를 측정하는 거래(Trade) 서비스 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2.0% 올라 7월 서비스 가격 상승에 기여했다. 세부적으로는 기계 및 장비 도매업 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3.8% 급등, 서비스 가격 상승분의 30%에 기여했다.   7월 최종 수요 상품 가격은 전월 대비 0.7% 상승해 지난 1월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 폭을 나타냈다.   식품 가격이 1.4% 오른 것도 전체 상품 가격 상승에 40%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신선·건조 채소 가격이 38.9% 급등하면서 식품 가격을 끌어올렸다.   도매 물가 상승은 그동안 관세 상승 비용에도 불구하고 가격 인상을 자제해온 기업들이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을 조정하기 시작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월가에선 지금까지 관세 부담을 감수해온 기업들이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해 물가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고 예고해왔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생산자물가 전망치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도매물가 상승폭 최대 상승률

2025.08.14. 22:30

0.2% 오른 도매물가…상승 둔화 기대 부합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시장 기대에 부합해 상승했다.   노동부는 8월 생산자물가가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0.2%)에 부합하는 수치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1.7% 상승했다.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3% 상승해 0.2% 상승을 예상한 전문가 전망을 웃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3% 상승했다.   최종수요 재화 가격이 전월과 같은 수준에 머문 반면 최종수요 서비스 가격이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지난 7월 상승률은 전월 대비 0.1%에서 보합으로 하향 조정됐다.   생산자물가는 지난 5월 이후 전월 대비 상승률이 0.0∼0.2%에 머물며 인플레이션 둔화세 지속에 대한 기대를 키우고 있다. 도매물가로도 불리는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받아들여진다. 김지혜 기자도매물가 상승 상승 둔화 인플레이션 둔화세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2024.09.12. 21:4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