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인플레 높지만 신중히 접근"…파월, 11월 금리동결 신호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19일 뉴욕 경제 클럽 행사에서 인플레이션이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높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의 통화정책이 제약적이지만 너무 긴축적이지는 않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불확실성과 위험을 고려해 금리 결정을 신중하게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또한 최근 몇 달 동안 금융여건이 상당히 긴축됐고, 장기 국채수익률이 이런 긴축을 이끄는 중요한 요인이라며 이것이 통화정책 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계속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오는 10월 31일~11월 1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나온 것이다.   미 금리선물시장에서 연준이 11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90% 이상으로 높아졌다.   파월 의장이 불확실성과 위험을 고려해 신중히 진행하겠다고 언급한 점이 금리 동결 가능성을 높였다.   이런 그의 발언으로 10년 만기 국책 금리의 상승 폭을 더하며 5%를 돌파했다.   19일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채권 금리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이날 오후 5시 직후(동부시간 기준) 연 5.001%로, 5%선 위로 올라섰다. 2007년 7월 이후 16년 만에 처음이다.   뉴욕 증시는 금리 급등 여파에 약세로 마감했다.   .19일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0.91포인트(0.75%) 내린 3만3414.1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36.60포인트(0.85%) 하락한 4278.0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28.13포인트(0.96%) 내린 1만3186.17에 각각 장을 끝냈다.금리동결 인플레 금리동결 신호 성장세 둔화 제롬 파월

2023.10.19. 22:37

9월 물가 3.7% 상승…내달 금리동결하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년 전보다 3.7% 올랐다. 근원물가(전년 대비)는 둔화세를 이어갔다. 이에 따라 시장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음 달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2일 연방 노동통계국은 지난달 CPI가 1년 전보다 3.7%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3.6%)를 0.1%포인트 소폭 웃돈다.     단기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뺀 근원 CPI는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 지난달 근원 CPI는 전년보다 4.1% 올라 8월(4.3%)보다 증가 폭을 0.2%포인트 줄였다. 근원 CPI는 물가의 장기적인 추세를 보여주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물가 안정 여부를 판단하는 주요 근거로 쓰인다.   시장은 연준이 다음 달 기준금리를 현 수준(연 5.25~5.5%)에 묶어 둔 채 상황을 지켜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다음 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는 비율이 CPI 발표 직후 약 93%에 달했다.   다만, 연준이 연내 기준금리를 동결하더라도 금리 인상 중단을 공식화하지 않는 ‘매파적 동결’일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치(2%)를 여전히 크게 웃돌아 선택지를 열어두기 위해서다.앞서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두고 위원들 간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는 향후 한 차례 추가 인상이 적절하다고 판단했지만, 일부 위원은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 것이다. 오효정·서지원 기자금리동결 물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기준금리 추가 물가 안정

2023.10.12. 22:48

전망 밑돈 물가 상승…힘 실리는 금리동결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년 전보다 3.2% 올랐다. 6월까지 둔화하던 물가 상승률이 소폭 반등했지만, 시장은 연방준비제도(Fed)가 다음 달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0일 연방 노동통계국은 7월 CPI가 1년 전보다 3.2% 상승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3.3%)를 0.1%포인트 밑돈다. 지난해 7월 CPI 상승률(8.5%)보다는 큰 폭으로 내려왔지만, 전달인 올해 6월(3.0%)보다는 상승 폭이 소폭 확대됐다. 전월 대비로는 0.2% 올라 6월과 같았다.   지난달 CPI 상승 폭이 다시 확대된 것은 역기저효과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6월 CPI는 전년 대비 9.1% 오르면서 41년 만에 최고치(상승률 기준)를 기록했지만, 7월부터는 CPI 상승세가 둔화했다. 이 때문에 올해 7월 CPI는 물가 하락세가 유지되더라도 전년 대비로는 상승 폭이 커졌다. 이에 관해 WSJ은 “7월 물가 상승률이 높아졌다고 해서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가 약화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했다.   단기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대비 4.7% 올랐다. 6월(4.8%)보다 소폭 낮다. 전월 대비로는 0.2% 올라 6월과 상승 폭이 같았다. 전문가는 물가 안정 여부를 판단할 때 장기적 추세의 물가지수를 보여주는 근원 CPI를 많이 참고한다.   다음 달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데 무게가 실린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다음 달 기준금리를 현 수준(연 5.25~5.5%)에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는 비율이 10일 현재 약 85%다. 최근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9월 중순까지 놀라운 새 지표가 없다면 금리를 유지하면서 지금까지 통화정책이 효과를 발휘하게 할 지점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CPI가 공개된 이후 뉴욕증시 주요 선물지수는 상승세를 타고 있다.   다만 전문가는 인플레이션이 Fed의 목표인 2%대로 내려가는 마지막 구간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고용시장은 여전히 탄탄하고, 물가에 영향력이 큰 유가가 오르는 점도 부담이다. 이에 관해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마크 잔디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인플레이션이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자신할 수 있지만, 과도하게 자신감을 가져서는 안 된다”며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목표치(2%) 위에 있는 만큼 금리 인하를 위한 기준은 높다”고 말했다. 서지원 기자금리동결 상승 물가 상승률 상승률 기준 물가 하락세

2023.08.11. 0:02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