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체크 살아남을까? 개인명의는 급감, 업체는 꾸준

한때 대표적 결제 수단이었던 개인 체크 사용이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금융정보사이트 고뱅킹레이트가 최근 1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단 한 장의 체크도 사용하지 않았다고 답한 비율이 46%에 달했다. 한 달에 최소 2장 이상의 체크를 사용한다는 답변은 15%에 그쳤다.   체크 사용이 줄어든 가장 큰 이유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결제가 대중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팬데믹 기간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비접촉 결제가 권장되면서 애플페이 등 디지털 결제가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이에 따라 체크 결제를 중단하는 소매업체들이 늘어나고 있다. 타깃은 지난 15일부터 체크 결제를 받지 않는다고 발표한 것을 비롯해 홀푸드, 알디와 같은 수퍼마켓은 물론 올드 네이비와 룰루레몬 등 의류매장에서도 체크를 사용할 수 없다.     어바인에 거주하는 C씨는 지갑에 들어 있는 체크가 헤졌을 정도다. C씨는 “은행 계좌 및 라우팅 번호, 급전이 필요할 경우를 대비해 비상용으로 넣어 다녔으나 사용할 일이 없었다”고 말했다. 결국 지갑을 바꾸면서 너덜너덜해진 체크도 버렸다고 한다.   연령에 따라 사용 빈도가 큰 차이를 보였는데 젊은 층은 체크 자체가 낯선 경우가 많았다.     LA한인타운에 거주하는 H씨는 지난 2018년 유학 와 은행계좌를 개설한 뒤에 단 한 번도 체크를 사용한 일이 없다. 아예 체크를 만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디지털 결제를 사용하면서 전혀 불편함을 못느꼈고 아파트 렌트할 때도 첫 달 렌트비를 체크 대신 머니 오더를 이용했다.   반면 55세 이상 소비자 중 1년에 1번 이상 체크를 사용한다고 답한 비율은 85%에 달해 시니어들은 여전히 체크를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인 은행권 관계자는 “체크를 이용한 사기가 빈발하는 점도 고객들이 체크 사용을 꺼리는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퍼스널 체크와 달리 비즈니스 체크 사용은 꾸준한 것으로 나타났다. 뱅크오브호프의 박인영 부행장은 “전체적인 체크 발행량은 크게 줄어들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은행 고객 중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분들이 많고 이런 고객들은 체크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부동산 구매나 자선 기부 등에도 체크가 많이 쓰이고 있다. 텍사스기독교대학(TCU)의 스티븐 퀸 교수는 C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한 번에 큰돈을 지불해야 할 때 체크가 쓰이는 한 앞으로도 완전히 사라지진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절약을 위해 체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부에나파크에 거주하는 A씨는 수도요금과 전기요금과 같은 공과금을 온라인으로 결제하다 최근 다시 체크를 쓰기 시작했다. 많으면 5달러까지 부과되는 결제 수수료가 부담됐기 때문이다. 체크를 사용하면 우표 값이 들긴 하지만 이는 수수료보다 훨씬 더 저렴하다. 그는 “당연히 체크를 쓰는 일이 귀찮다. 하지만 귀찮음을 조금만 감수하면 돈을 아낄 수 있다”고 전했다. 조원희 기자개인명의 급감 디지털 결제 결제 수수료 사용 빈도 체크 수표 개인체크 비즈니스 체크 결제 비접촉 결제 박낙희 신용카드

2024.07.28. 19:00

썸네일

주택매매 급감…한달에 겨우 40채 팔았다

LA한인타운 주택 거래가 급감했다.     지난 1월 동안 단독주택, 콘도미니엄, 임대수익용 주택을 통틀어 40채밖에 매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전년의 120채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특히 콘도는 80%나 대폭 줄면서 거래 절벽을 실감했다는 게 업계가 전하는 말이다.   이는 본지가 드림부동산(대표 케네스 정)의 도움을 받아 2023년 1월 한 달간 LA한인타운에서 매매된 주택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부동산 업계는 경기침체 우려 증폭, 거래가 주춤하는 겨울이라는 계절적 요인, 6~7%선을 오르내린 모기지 이자 등을 거래 한파의 원인으로 진단했다.   ▶단독주택(SFR)   지난 한 달 동안 거래된 단독주택 수는 18채에 불과했다. 전년 동월의 42채와 비교하면 24채(57%)나 적었다. 2021년의 55채와 2020년의 37채 대비 각각 67%와 51% 감소했다. 〈표 참조〉   거래 가격도 작년 1월보다 20%나 떨어졌다. 1월 중간 거래 가격은 140만4500달러로 작년(175만 달러)에 비해서 34만 달러(20%)가 내려앉았다. 단독주택의 1월 평균 매매 소요기간(DOM)은 42일로 전년 동월의 40일보다 2일이 더 길었다.     LA한인타운에 있는 한 부동산 에이전트는 “근래 3년 동안 단독주택 거래가 20채 미만이었던 달이 없었다”고 탄식했다.     ▶콘도, 임대수익용   LA한인타운의 콘도 거래 감소 폭은 단독주택보다 훨씬 컸다. 1월 거래 건수는 작년 동월의 49건과 비교해서 39건(80%) 대폭 감소한 10건에 불과했다. 2021년 1월의 21건과 비교해서 절반에도 못 미쳤다. 콘도 가격 역시 전년 동기 대비 26% 떨어졌다.     1월 콘도의 중위 거래 가격은 55만5000달러로 작년 1월의 75만 달러보다 19만 달러 이상 하락했다. 다만, 스퀘어피트당 평균 거래 가격은 732달러로 작년 동월의 622달러 대비 18% 상회했다.     LA한인타운 부동산 업계는 “거래가 하락 이유 중 하나는 매매 콘도 크기가 전년보다 100스퀘어피트 정도 작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매물 리스팅 가격 대비 실제 매매 가격 비율은 96.87%로 3년래 최저로 셀러가 원하는 가격을 다 받지 못했다는 걸 의미하다”고 말했다.   임대수익용 주택 거래 역시 작년보다 59%나 줄었다. 부동산 업계는 모기지 이자율에 민감한 투자용 부동산이 타격을 받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방증이라고 풀이했다.   매물 리스팅 가격 대비 실제 매매 가격 비율은 100%를 하회한 95.30%였다. 작년 동월의 101.10%보다 6%포인트 가까이 내렸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임대수익용 주택은 대체로 매물이 희소한 데다 임대 수익률(cap rate)에 따라 오퍼 경쟁 상황도 크게 달라져 거래 변동 폭이 크다고 분석했다.   케네스 정 드림부동산 대표는 "1월은 올겨울 날씨처럼 부동산 시장에도 거래 한파가 불었다. 1월은 지난 3년래 가장 좋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가계 가처분 소득이 늘고 여전히 고용시장이 강세인 점을 고려하면 주택 거래가 활발해지는 봄부터 서서히 주택 매매가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LA한인타운 주택 거래 동향조사는 우편번호 90004, 90005, 90006, 90010, 90019, 90020, 90036 지역을 대상으로 했다. 따라서 다른 한인타운 내 주택거래 동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번 자료 집계 기간은 2023년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다.   진성철 기자주택매매 급감 la한인타운 부동산 la한인타운 주택 임대수익용 주택

2023.02.20. 18:22

썸네일

가주 이민자 급감…경제에 타격 우려

가주의 인구 감소는 이민자가 줄어든 것이 원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LA타임스는 센서스국 자료를 인용, “지난해 가주에서는 4만3300명의 이민자가 늘었지만 팬데믹 이전에는 매해 평균 14만 명이 유입됐었다”고 11일 보도했다.   USC 에밀리 료 교수(법학·사회학)는 LA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민자가 줄면서 서비스 분야에서의 노동력 부족이 심화했는데 이는 전례 없는 일”이라며 “특히 장기 요양원 등에서 일할 사람이 매우 부족해졌고 노년층 역시 떠나면서 이는 가주의 인구 감소에도 한 몫 했다”고 말했다.   실제 가주 재무부에 따르면 지난 2021년 1월~2022년 1월 사이 가주 인구는 전체적으로 11만7552명이 줄었다.     남가주 지역 필리핀노동자센터 아퀼리나 베르소자 대표는 “이민자는 가주 노동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데 팬데믹 사태 이후 이곳으로 오는 이민자가 크게 줄었다”며 “요즘은 간병인을 구해달라는 요청에도 일할 사람을 찾아주지 못해 매우 난감한 상태”라고 전했다.   LA타임스는 “이민자 감소는 팬데믹 사태 당시 이민자를 강제 추방하도록 허용한 연방공중보건법(타이틀42)이 원인”이라고 전했다.   즉, 트럼프 정부가 지난 2020년 3월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합법 신분 없이 국경을 넘는 불법 이민자를 강제 추방하도록 허용한 타이틀42를 시행한 이후, 바이든 행정부 역시 이를 그대로 적용한 것이 이민자 감소의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바이든 행정부도 타이틀42를 점진적으로 폐기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상태다.   이민자 유입이 둔화하고 인구가 감소하면 가주 경제는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UCLA노동센터 빅터 내로 디렉터는 “라틴계 이민자, 노동자에게만 적용되는 이야기가 아니다”라며 “가주는 현재 산업 구조상 이민 노동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데 요즘과 같은 노동력 부족을 감당할 수 있는 준비가 전혀 돼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민자 부족 현상은 전국적으로도 마찬가지다.   센서스국에 따르면 지난 2020~2021년 사이 전국에서는 24만4000명의 이민자만 유입됐다. 이는 지난 10년 사이 가장 많은 이민자가 유입됐던 2015~2016년(104만9000명)과 비교하면 급감한 것이다.   장열 기자이민자 급감 이민자 급감 이민자 감소 이민자 유입

2022.05.11. 20:35

작년 급감 뉴욕시 프리K 등록생 수, 올해도 비슷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감한 뉴욕시의 유니버설 프리K 등록학생 수가 회복되지 못한 채 올해에도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데일리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시의회 교육위원회 청문회에서 시 교육국 관계자는 올해 뉴욕시 교육국 산하 유니버설 프리K 등록학생 수가 대략 6만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교육국 측은 정확한 등록 학생 수는 10월 말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9월 시장실이 발표한 시정운영 보고서에 따르면 2020~2021학년도 프리K 학생 수는 5만8469명이다. 학생수 통계는 해당 학년도의 10월 31일 기준으로 잡는다.   즉, 프리K 등록학생 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1만 명 가까이 급감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된다.   수년 전까지만 해도 뉴욕시의 프리K 등록학생 수는 6만7000~7만 명 수준이었다.   2020년 3월 코로나19가 뉴욕시에 상륙하기 전에 통계가 잡힌 2019~2020학년도의 프리K 학생 수는 6만7589명이다. 2016~2017학년도의 경우 6만9510명에 달했다.   교육국은 공립교 학생수가 왜 이렇게 단기간에 크게 줄었는지에 대해 명확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지만 ▶출산율 저하 ▶코로나19로 인한 주민 가정의 교외 이주 증가 ▶신규 이민자 감소 등 다양한 원인이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2021~2022학년도부터 32개 전학군으로 확대된 ‘3K포 올’ 덕분에 3K 등록학생수는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교육국에 따르면 2020~2021학년도 3K포 올 등록학생 수는 1만6000명인 반면, 올해에는 3만6000명을 넘겼다.   교육국 관계자는 “뉴욕시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부터 회복하고 있는 과정에서 교육국은 더 많은 가정에 무상보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등록생 급감 교육국 관계자 올해 뉴욕시 교육국 측은

2021.10.28. 20:07

[브리프] 'GM, 순익 40% 급감' 외

GM, 순익 40% 급감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로 인한 자동차 업계의 실적 충격이 현실화하고 있다. 미국 최대 자동차회사인 제너럴모터스(GM)는 27일 3분기 순이익이 24억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40% 급감했다고 밝혔다. 차량용 반도체가 모자라 전 세계 곳곳의 공장이 멈춰서거나 감산을 단행한 여파로 분석된다. 반도체뿐 아니라 각종 원자재 가격이 오른 것도 기업 실적에 부담을 줬다.   3분기 매출은 268억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25% 감소했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이 집계한 월가 전문가들의 전망치 307억 달러를 상당폭 하회했다. 이런 가운데 전기차 기업으로의 변신을 모색하는 GM은 선두주자인 테슬라를 4년 내로 따라잡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구글·MS, 어닝 서프라이즈   세계 최대 검색엔진 업체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과 최대 소프트웨어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연료로 삼아 나란히 3분기에 월가의 기대를 뛰어넘는 호실적을 거뒀다. 구글은 3분기에 14년 만에 최대 매출액을 기록하면서 이익은 거의 배로 불리는 성적을 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6일 보도했다.     구글은 3분기에 매출액이 1년 전보다 41% 증가한 651억2000만 달러, 순이익은 거의 2배로 늘어난 210억3000만 달러로 각각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MS는 올해 3분기에 작년 동기와 견줘 22% 증가한 매출액 453억 달러, 48% 늘어난 순이익 205억 달러의 실적을 거뒀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는 금융정보 업체 팩트셋이 집계한 월가의 컨센서스(실적 전망치 평균)인 매출액 440억 달러, 순이익 157억 달러를 훌쩍 상회한 것이다. WSJ은 이 회사가 팬데믹 사태로 인한 전 세계적 재택근무-원격수업 전환 추세에 수혜를 봤다고 풀이했다.     3분기 무역적자 963억 달러   미국의 올해 3분기 무역적자가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로이터통신은 “특히 9월 수출이 급감하면서 3분기 무역적자는 모두 936억 달러로 수출은 4.7% 감소했고, 수입은 0.5% 증가했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이 최근 경제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3분기 경제성장률은 평균 2.7%로 추정됐다. 이는 2분기 6.7%에 비해 절반 이하 수준으로 4분기 수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함께 나왔다.브리프 순익 급감 전년 동기 실적 전망치 세계적 재택근무

2021.10.27. 18:0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