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오렌지주스 가격 급등세…주요 산지 이상 기후 탓

작황 악화로 오렌지 가격이 들썩이면서 오렌지주스 가격도 상승할 전망이다.     CNBC는 27일 이상 기후로 인해 올해 오렌지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오렌지주스 가격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날 오렌지주스(FCOJ) 선물가격은 파운드당 3.55달러로 전월 대비 10% 올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89%나 급등한 것이다.     플로리다를 포함한 주요 산지의 좋지 않은 오렌지 작황이 오렌지주스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다.     지난해 허리케인이 강타한 플로리다의 수확량이 80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으며 작년 말 동결 피해에 올해 생산량이 대폭 감소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연방농무부(USDA)는 2023년 플로리다에서 약 1590만 상자의 오렌지가 생산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는 2020~2021년 대비 70% 감소한 수치다. 또한, 브라질, 멕시코와 같은 오렌지 수출국들도 이상 고온으로 작황이 좋지 않아서 오렌지주스의 가격은 한동안 높게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일부 오렌지주스 제조업체들은 원액 값이 급등하자 과즙 함량을 줄였다. 또는 가격은 그대로 두고 용량을 줄이는 쉬링크플레이션 전략을 취하는 기업도 있다. 정하은 기자오렌지주스 급등세 일부 오렌지주스 이날 오렌지주스 오렌지주스 가격

2023.09.28. 23:52

썸네일

쌀값도 급등세…팬데믹 전보다 2~3배 올라

장바구니 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가운데 주 식재료인 쌀값마저 가파르게 오름세여서 한인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한인마켓에서 판매하는 백미는 팬데믹 이전 20파운드에 평균 8.99달러였다. 하지만 지난 2년 6개월사이 11.99달러, 12.99달러로 서서히 오르다 현재는 14.99~23.99달러로 2배에서 최대 3배까지 급등했다.     LA한인타운 모든 마켓에서 취급하는 CJ 천하일미(20파운드) 판매 가격은 17.99~21.99달러다. 팬데믹 이전에는 8.99달러 수준이었다. 현재 한남체인, 시온마켓, 갤러리아 마켓에서 세일 행사로 14.99~15.99달러에 판매 중이지만 이마저도 팬데믹 이전과 비교하면 2배 이상 껑충 뛴 것이다. 팬데믹 이전에 평균 9.99달러 수준이던 대풍 쌀(15파운드) 역시 평균 15.99달러로 6달러나 뛰었다.   백미뿐만 아니라 현미와 찹쌀도 14.99달러에서 20달러 선으로 33%나 상승했다. 유기농과 잡곡 가격은 더 비싸졌다.     CJ 반반미(20파운드)는 세일하면 8.99달러에 살 수 있었지만 지금 판매가는 최고 25달러로 거의 3배 뛰었고 12곡 잡곡(15파운드)도 28.99달러나 된다. 유기농 10곡미(12파운드)는41,99달러, 유기농 현미반, 찹쌀반(15파운드)은 40.99달러로 백미보다 훨씬 적은 양에도 가격은 2배 이상이다.     한남체인 관계자는 “쌀은 매끼 먹는 주 식재료라 마진을 남기지 않는 품목”이라며 “입고 되는 쌀 원가가 급등해 들어오는 가격 그대로 판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부분 한인마켓에서 마진을 남기지 않은 쌀의 판매 가격이 급등한 원인은 바로 가뭄이다. 올해 캘리포니아 벼농사에 심각한 피해를 입혀 수확량이 대폭 감소했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 쌀재배 지역인 새크라멘토 맥스웰 지역의 논은 한창 수확기이지만 텅텅 비어 있는 상태다. 몇 대에 걸쳐 쌀농사를 지어온 새크라멘토 농부들이 물공급이 안돼 올해 쌀농사를 처음으로 접었다.     새크라멘토에서 가장 많은 쌀을 생산하는 콜루사 카운티는 콜루사 및 글렌 카운티 지역 45만 에이커 중 37만 에이커가 쌀농사 휴경을 예고한 상태다. 콜루사 카운티에는 7000에이커 미만만 쌀농사가 재배될 것으로 알려졌다.     새크라멘토 지역에서 쌀농사에 의존하는 작은 마을 지역은 쌀농장 휴경으로 인해 유령도시로 변화하고 있다. 북가주 수자원협회는 주전체 쌀 산업이 2억5000만 달러 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했다.     쌀을 공급하는 식품회사 관계자는 “샤스타 호수 수량이 50% 미만으로 역사적으로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샌호아킨 남쪽 농부들에게 공급되지 않아 쌀농사가 휴경 상태”라며 “쌀농사를 짓지 못하자 논을 갈아엎은 곳도 속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크라멘토 쌀 수확량이 대폭 감소하면서 해마다 한국 추석 시즌 쏟아져 나오던 햅쌀도 언제 정확하게 출하될 지 알 수 없는 상태다. 또 수확량 감소로 쌀값 폭등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마켓 업계 관계자들은 전망하고 있다.  이은영 기자쌀값도 급등세 새크라멘토 지역 쌀농사 휴경 새크라멘토 농부들

2022.09.06. 21:59

썸네일

원달러 환율 다시 1320원대…한달만에 급등세로

18일(한국 시간) 원·달러 환율이 하루 새 10원 넘게 오르며 한 달여 만에 1320원대에서 마감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10.4원 오른 달러당 1320.7원에 거래를 마쳤다. 1320원대 종가는 지난달 15일(1326.1원) 이후 한 달여 만이다. 상승 폭 역시 같은 날 기록한 14.0원 이후 가장 크다. 환율은 전장보다 4.7원 오른 1315.0원에 출발해 12시 43분께 1320원대로 들어섰고, 한때 1321.2원에 이르기도 했다.원달러 급등세 원달러 환율 한국 시간 전날 종가

2022.08.18. 23:01

썸네일

원자재 급등세 진정, 물가 고점 기대감 '솔솔'

최근 세계적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2분기 들어 꺾이자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었을 수 있다는 희망론이 제기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의 4일자 보도에 따르면 천연가스 가격은 지난달 초 한때 1분기 말 대비 60% 넘게 올랐지만, 이후 하락세로 돌아서 2분기 말에는 1분기 말 대비 3.9% 하락했다.   8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도 1분기 말 배럴당 95.08달러에서 지난달 초 120달러까지 치솟았지만, 지난달 30일 종가는 105.76달러로 상승세가 다소 진정됐다.   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치솟았던 밀과 옥수수, 대두 등 곡물 가격은 1분기 말보다 2분기 말에 내려왔고, 면화 가격은 5월 초 최고가 대비 30%가량 가격이 내려가기도 했다.   2분기 말 구리와 목재 가격은 각각 1분기 말 대비 22%, 31% 하락했다.   연초 원자재 가격 상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세계적 공급망 혼란, 지난해 기상 여건 악화에 따른 곡물 수확량 감소 등의 영향을 받았다.   아직 공급망 혼란의 여파가 있지만, 최근 이러한 가격 상승 압력이 완화하고 있다는 게 WSJ 설명이다.   연방에너지정보국(EIA)에 따르면 지난달 18∼24일 일주일간 일평균 원유 생산량은 1210만 배럴이었는데, 이는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한 2020년 4월 이후 최대치였다.   또 대출금리 인상으로 신규주택 시장이 진정되면서 목재 등 건설 자재 가격에 낀 거품이 빠졌고, 미국과 유럽 등의 기상 여건 개선으로 곡물 수확량 감소분을 보충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WSJ은 다수 원자재 가격이 여전히 역사적인 고점 수준이라면서도,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주춤한 것은 물가를 잡기 위해 경기를 둔화시키려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긴축 정책 때문에 수요가 줄고 있다는 신호라는 평가가 나온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원자재 가격 하락은 인플레이션 헤지(위험 회피)를 위해 원자재 시장에 진입했던 투자자들의 수요가 빠졌기 때문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고 소개했다.원자재 급등세 원자재 시장 연초 원자재 다수 원자재

2022.07.05. 22:43

집값·렌트 급등세 언제까지 이어지나

집값 상승과 함께 뉴욕시 렌트가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주택공급이 크게 늘지 않는 가운데 저금리 막바지에 모기지로 집을 사려는 사람들이 몰리면서 집값이 올랐고, 도시를 떠났던 사람들이 하나둘 돌아오며 수요는 늘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금리가 올랐지만 수요가 여전해 당분간 집값과 렌트 상승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26일 부동산 정보업체 스트리트이지(Streeteasy)에 따르면, 지난달 맨해튼 렌트 중간값은 약 3870달러로, 작년 3월 2795달러 대비 1000달러 이상 올랐다. 소호 인근 렌트 중간값은 4322달러로 전년동월 대비 51.1%나 뛰었다.     조슈아 클라크 수석이코노미스트는 “2011년 시장분석을 시작한 후 가장 빠른 속도로 렌트가 오르고 있다”고 전했다. 팬데믹 이전 10년간 뉴욕시의 전년동기 대비 렌트 증가율은 평균 0~10% 수준이었다.     브루클린 윌리엄스버그 등 맨해튼 외곽 인기지역의 렌트 역시 약 3800달러로 전년동월 대비 35.7% 상승했다. 퀸즈는 상대적으로 렌트 상승률이 높진 않았지만, 맨해튼과 인접한 롱아일랜드시티(22.4%)와 아스토리아(21.1%) 등은 20% 이상 올랐다.     문제는 아파트를 찾는 것 자체가 갈수록 더 어려워진다는 점이다. 지난해 1분기 스트리트이지엔 5만6973개의 렌트 매물이 게시됐었지만, 올해 1분기에는 2만3419개만 올라왔다. 렌트 매물이 작년의 절반보다 더 적은 수준이 돼 경쟁이 치열해졌고, 결국 ‘부르는 게 값’이 된 상황이다. 일부 렌트 수요자들은 일부러 정보업체에 올라온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하며 렌트를 선점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올해도 집값과 렌트 상승세는 이어질 것이라는 데 무게를 싣고 있다. 모기지 금리가 오른 것은 부담이지만, 팬데믹과 지정학적 영향 때문에 여전히 주택 건설이 지연되고 있고, 수요는 폭발하고 있어서다. 전국 주요 대도시 지역의 평균 집값을 측정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지수는 2월 19.8%(연율 기준) 상승했다. 부동산 정보업체 질로는 2023년 3월까지 집값이 14.9%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금리상승 전 전망치(16.0%) 보다는 하향 조정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급등세 렌트 렌트 급등세 렌트 상승세 렌트 상승률

2022.04.26. 17:27

유가 급등세…개스값도 '들썩'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제재로 원유 공급 차질 우려가 커지면서 국제 유가가 배럴당 110달러대까지 치솟았다.  2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배럴당 7% 급등한 110.60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11년 만에 최고가로 마감했다.  브렌트유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거의 25% 급등하며 5월물 브렌트유도 113.26달러에 거래됐다.  하지만 3일 세계 공급량의 약 1%인 하루 100만 배럴 이상의 원유를 추가할 수 있는 미국과 이란의 핵협정 복원 협상이 거의 완료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10년 만에 최고가에 도달했던 유가가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2.93달러(2.65%) 하락한 배럴당 107.6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브렌트유 선물은 배럴당 2.47달러(2.2%) 하락한 110.46달러,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2.93달러(2.6%) 하락한 107.67달러를 기록했다. 국제에너지지구(IEA)의 31개 회원국은 전략적 비축유에서 6000만 배럴의 원유를 방출하기로 합의하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석유 공급 부족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석유수출국기구와 러시아와 동맹국인 오펙 플러스(OPEC+)는 공급 부족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4월에도 40만 배럴의 생산량을 고수한다고 밝혀 공급 불안은 지속하고 있다  라이스타드 에너지의 재랜드 라이스타드 최고경영자는 “세계 석유 수출의 약 8%를 차지하는 러시아산 석유 구매를 줄이는 제재 영향으로 석유 수출이 하루 100만 배럴 급감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유가는 배럴당 130달러를 넘어 계속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국제 유가가 요동치면서 LA 지역의 레귤러 개솔린의 갤런당 평균 가격도 사상 처음으로 5달러선을 돌파했다.    전국자동차협회(AAA)에 따르면 3일 LA 카운티의 갤런당 평균 개스 가격은 8.6센트 오른 5.01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15년 7월 15.1센트 이후 하루 최대 상승 폭이다. 이날 일부 지역은 1갤런 개스 가격이 6.65달러까지 치솟은 주유소도 등장했다.    오렌지 카운티 역시 평균 개스 가격이 갤런당 4.99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또한 2015년 7월 8.6센트 상승 이후 최대 일일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 개스값도 3달러 66센트로 일주일 전과 비교해 12센트나 올랐다.    지난달 뉴섬 개빈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급등하는 인플레이션에 대처하기 위해 올해 주 정부의 유류세 인상을 동결할 가능성을 제안했다.    캘리포니아의 개스 세금은 갤런당 51.1센트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이은영 기자급등세 개스값 러시아산 석유 국제 유가 서부텍사스산 원유

2022.03.03. 21:1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