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여년 전 붓을 처음 잡았을 때, 붓놀림 속에서 흩어진 마음을 모으는 심정으로 천천히 정성스레 서두르지 말고 한획 한획을 대하여야 한다고 말씀하시며 첫째, 필법이 정확하고 둘째, 획의 방향이 바르게 나가야 하고 셋째, 획 모양새가 아름다워야 한다고 스승님은 늘 채근하시었지만, 나는 속으로 늦게 시작한 서예이니 부지런히 앞으로, 앞으로 나가야 한다고 자신을 달래며, 남들이 늘, 나의 손글씨를 칭찬하는 것에 자만심을 두어, 서두르며 10여년의 세월이 흘러가고 있었다. 그동안 부지런히 나아갔기에 개인전, 그룹전을 거치며 권위 있는 서예대전에서 수상을 맛보기도 했다. 뜻하지 않은 몇년간의팬데믹으로 많은 변화를 거쳐 같이 배우던 동지들이 하나둘 떨어져 나가 요즈음 우리는 방학을 맞고 있다. 해서, 혼자 집에서 그동안 배운 것을 둘러보니 참으로 글씨가 마음에 안 들어 나의 심정이 허허하다! 되돌릴 수만 있다면 십여년 전으로 되돌아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 싶다. 스승님의 글체는 흔들림이 없는데 이 제자는 아직도 손끝이 허전하다! 골프만 해도 같은 심정이다. 30여년 전으로 되돌아가 나를 둘러보면 참으로 신나는 세월(世月)이었다. 나의 골프 샷이 직진형이라 그린(green)에 오르는 것은 그리 난항이 아니었으나 늦게 시작한 골프라 부지런히 움직여야 한다고 자신에게 말하면서 늘, 퍼팅을 우습게 여겼던 나를 지금은 많이 후회한다. 그 처음 시작할 때 그린(green)은 또 다른 게임이라 생각했어야 했는데…. 골프를 좋아했기에 챔피언도 홀인원도 몇번씩이나 했건만 나는 지금도 몇십년 전으로 되돌아가 서두르지 말고 퍼팅을 하고 싶다! 요즈음 팔십 고개를 한참 넘어 삶을 돌아보니 어찌 골프와 서예뿐이겠는가…. 가까이 있는 내 가족, 나의 친지, 친구들… 아쉬움과 미안함이 늘쑥날쑥 머리를 쳐든다. 후회와 미안함으로…. 매일 창밖을 통해 서산으로 떨어지는 장엄한 석양을 바라보며 내가 아직도 나의 삶의 취미였던 골프나 서예를 그리는 것의 근본은 사랑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들을 사랑하고 좋아했기에 나의 열정은 지금도 계속 불타고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좋아하는 시(詩) 한 수를 보낸다! 서산유로 근위경(書山有路 勤爲徑): 글의 산에는 길이 있으니 부지런함이 지름길이고, 학해무애 고작주(學海無涯 苦作舟): 배움의 바다에는 끝이 없으니 조각배를 어렵게 저어갈 뿐이다. 오늘도 나는 새로운 다짐을 한다. 정순덕 / 수필가삶의 뜨락에서 기본 서산유로 근위경 개인전 그룹전 친지 친구들
2023.06.05. 21:27
대폭발로 인해서 생긴 공간에는 그저 에너지만 충만할 뿐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았다. 빅뱅으로 생긴 공간에 가득한 에너지는 시간이 지나면서 아인슈타인의 에너지-질량 등가의 원리에 따라 질량을 가진 물질로 변하기 시작했는데 이를 상전이 현상이라고 한다. 말하자면 수증기가 물로, 그리고 물이 얼음으로 변하는 것처럼 그 물리적 성질의 일부가 바뀌는 것을 뜻한다. 맨 처음 에너지로부터 변환된 물질은 양성자와 중성자였다. 그런데 불안정한 상태의 중성자가 바로 깨지면서 생겨난 전자가 양성자와 결합하여 수소 원자가 되었다. 그런 수소 원자는 중성자가 빠져서 가벼우므로 경수소라고 하는데 우주에 가장 흔한 원소다. 그러는 동안 공간이 팽창하여 온도가 지속적으로 떨어져서 드디어 양성자와 중성자가 결합하여 제대로 핵자를 이루기 시작했다. 이때 비로소 양성자와 중성자가 결합한 핵자를 가진 중수소가 생겨났고 중수소는 빅뱅에 의해서만 만들어진 원소이므로 중수소의 존재는 빅뱅을 증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렇게 경수소에 중성자 하나가 결합하여 중수소가 되는데 그 둘은 동위원소여서 질량만 다를 뿐 화학적 특성이 같다. 중수소는 항성의 핵융합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수소는 원소주기율표의 가장 첫 번째 원소이다. 가장 먼저 만들어져서 원자 번호 1번이 아니라 양성자가 하나이기 때문이다. 원자핵 속의 양성자의 수를 원자 번호로 정했기 때문에 원자 번호는 양성자의 수와 같다. 양성자는 +전하이고 자신과 같은 수의 중성자와 결합하여 원자핵을 이루는데 중성자는 전하가 없어서 주변을 떠도는 -전하를 갖는 전자를 붙잡아 전기적으로 안정을 이룬다. 그렇게 양성자 하나, 중성자 하나, 그리고 그 주변을 도는 전자 하나가 모여서 수소라는 원자가 된다. 양성자가 두 개가 되면 당연히 중성자도 둘이 모인다. 그 둘은 항상 쌍으로 행동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기적으로 안정되려면 전자도 둘이 필요한데 그렇게 만들어진 원소는 주기율표에서 2번인 헬륨이다. 빅뱅 직후 대폭발로 인한 공간은 그 온도와 밀도가 너무 높아서 이미 합성된 수소 원자핵이 고온과 고압을 견디지 못하고 양성자와 중성자를 하나씩 더 포획하고 전자 하나를 더 붙잡아서 헬륨 원자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렇게 몇 분이 지난 후에 공간 전체의 온도와 밀도가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게 되자 원자 합성은 그 상태로 끝이 난다. 그때 공간은 75% 정도의 수소와 25%의 헬륨으로 채워지게 되었고 우리는 그 공간을 우주라고 이름 붙였다. 원자 번호 3번부터는 별에서 만들어지는데 제26번 철까지 만들어지면 끝이다. 수명이 다한 별은 그 무게에 따라 다른 종말을 맞는데 별의 질량이 태양의 두 배에 못 미치는 작은 별들은 연료인 수소가 떨어져서 핵융합이 멈추면 백색왜성이 되어 천천히 식어간다. 별의 질량이 태양의 5배가 넘는 아주 큰 별들은 탄소 융합 과정을 거치며 초신성이 되어 은하 규모로 폭발한다. 그때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지며 그 파편을 아주 멀리 흩뿌리는데 원자 번호 92번 우라늄까지 만들며 생을 마친다. 그러므로 우주에는 총 92개의 기본 원소가 존재하며 수소와 헬륨 일부를 빼놓고 모두 별이 만들었다. (작가) 박종진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우주 기본 수소 원자핵 기본 원소가 원자 번호
2022.10.21. 14:11
물가와 이자율 상승, 우크라이나 전쟁, 공급 불균형 등으로 주식시장이 큰 폭으로 요동치고 있다. 일반 투자자는 주식시장 변화에 따라 마음 역시 불안해진다. 이러한 시점에 투자자가 기억해야 하는 투자 기본이 있다. 성공하는 투자는 자산분배를 먼저 고려한 포트폴리오를 형성해야 한다. 필자가 주식시장을 설명하기 위해서 지난 13년(2009-2021) 평균 수익률이 15% 이상이었다고 언급하면 이 종목(S&P 500 Index)에만 투자하라는 뜻으로 잘못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평균 수익률은 매우 높았지만, 2020년 3월처럼 34%나 폭락할 수 있다는 사실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이유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형성할 때 주식과 채권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다. 주식은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오르고 내림의 폭(Volatility)이 크다. 채권은 정해진 이자를 받으므로 큰 수익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 움직이는 폭이 주식과 비교해서 상당히 적다. 주식 보유가 적어지고 채권 보유가 많아질수록 포트폴리오의 위험성도 그만큼 적어진다. 이에 따라서 수익률도 낮아지지만, 투자 위험성이 적어지는 비율만큼 똑같이 적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것을 잘 설명한 학설이 모던 포트폴리오 이론(Modern Portfolio Theory)이다. 이 논문으로 시카고 대학의 마코위츠 교수는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자산분배 다음에는 분산투자를 해야 한다. 주식에는 큰 회사, 중간 회사, 작은 회사, 외국 회사 등으로 구분된다. 채권 투자 역시 정부 채권과 회사 채권으로 구분되며 또한 여러 가지 다른 만기일에 따라서 단기, 중기, 장기 투자로 구별된다. 여러 가지 종목에 투자한다는 것은 투자의 기본이다. 미래에 어떠한 종목에서 수익이 발생할지 아무도 예상할 수 없다. 올해의 톱 수익률 종목이 내년에 최악의 종목이 될 수 있고 반대로 최악의 종목이 시간이 지나면 효자 종목이 될 수도 있다. 자산분배와 분산투자 이후 해야 하는 것은 포트폴리오의 재조정(Rebalance)이다. 기본적인 예로 주식에 50%, 그리고 채권에 50%가 투자되었다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비율이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주식이 55%로 증가하고 채권이 45%로 감소하면 주식 5%를 팔아서 채권을 5% 사들여 원래 형성했던 주식 50%와 채권 50%로 재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마음의 감정(Emotion) 없이 결정된다. 재조정은 모든 투자자가 원하는 ‘쌀 때 사고 비쌀 때 파는’ 이성적인 결정이다. 성공하는 주식투자의 기본은 간단하다. 간단하지만 실행하기는 매우 어렵다. 정상 몸무게를 유지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먹는 것을 조심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꾸준히 하면 의학적으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누구나 다이어트를 할 수 있지만, 실행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다. 주식시장이 갑작스럽게 변동하면 일반 투자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당황한다. 큰 변화에는 이성적인 마음보다 감정이 앞서기 때문이다. 내가 무엇을 모르고 있는지 모르는 경우도 많이 있다. 주체할 수 없는 감정과 모르는 것을 모른 채 판단하고 결정을 내리면 실수로 이어진다. 은퇴 후 실수는 더욱더 치명적이다. 회복할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에 어느 2년간 나의 돈이 투자되어 있으면 원금보다 높아질 확률이 80%가 되고 6년간 투자되어 있으면 90%가 되고 16년간 투자되어 있으면 원금보다 적어질 확률은 0%가 된다. 다시 요약하면 주식시장에 장기간 투자할수록 원금보다 적어질 확률은 점점 낮아지고 같은 기간 주식시장이 창출하는 수익률을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참고로 오랜 주식시장(미국 500대 기업이 모인 종목)의 연평균은 10%이다. 주식 투자 위험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자산분배와 분산투자로 형성된 포트폴리오가 절대 필요하다. 투자자는 일시적인 시장 하락을 감수하며 장기적인 마음과 함께 투자하면 높은 이익을 받을 수 있다. 우리 인간의 본성이 현재보다 나은 미래를 꿈꾸며 열심히 노력하기에 기업이 발전하고 주식시장 규모가 점점 더 커지는 것이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주식투자 기본 주식시장 변화 투자 포트폴리오 투자 기본
2022.09.26. 18:50
오바마 케어라고 불리는 Affordable Care Act가 2010년 3월에 발효된 이후 많은 미국인이 건강보험 혜택을 받게 되었다. 합법적 체류 신분인 사람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고, 캘리포니아에서는 건강보험을 가입하지 않을 경우 벌금이 부과된다. 건강보험이 생활화되었으니 기본적인 건강보험 용어에 대해 짚고 넘어가 보자. 용어의 이해가 있어야 보험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으니까. ▶프리미엄: 아프건 안 아프건 매달 가입자가 보험사에 지불해야 하는 보험료. 건강보험은 월 단위로 관리가 되므로 일반적으로 월 중에 가입이나 해약이 없다. 보험료는 그 달 첫날까지 해당 월의 보험료를 선납해야 한다. 월 보험료는 플래티넘, 골드, 실버, 브론즈 순으로 적어지며, 보험료가 높은 등급의 보험에 가입한 경우 의료 서비스를 받을 때 본인 부담액 비율이 낮다. ▶인헨스드 실버(Enhanced Silver): 상품 등급을 언급했으니 인헨스드 실버도 설명이 필요하겠다. 가구 소득이 적을 경우 무료보험인 메디케이드에 가입할 수 있다.(캘리포니아에서 운영되는 메디케이드를 ‘메디캘(Medi-Cal)’이라 부른다. 메디캘은 각 카운티에서 관리한다) 인헨스드 실버는 메디케이드에 가입하기에는 소득이 약간 넘지만, 아직 건강보험에 가입하고 의료비를 감당하기가 부담스러운 가구들이 가입할 수 있는 특별 혜택이다. 정부지원금도 많으며 코페이, 코인슈런스 부담도 적다. 인헨스드 실버에는 실버 94, 실버 87, 실버 73이 있다. 원한다고 가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소득액에 따라 자동으로 등급이 정해진다. ▶코페이: 정형화되어 있는 의료 서비스를 받거나, 약 구매 시 환자가 지불하도록 미리 정해져 있는 금액. 의료 서비스를 받으면서 환자가 바로 결제한다. 주치의 및 전문의 진료비, X레이 촬영, 각종 검사, 병원 응급실 사용 시 얼마라고 나와 있다. 상품 등급에 따라 금액이 각각 다르다. ▶코인슈런스: 발생한 의료 서비스 금액에서 환자가 부담하게 되어 있는 비율. 비용을 보험사에서 선 처리 후 보험 가입자에게 환자 부담액에 대한 고지서를 나중에 발송한다. 입원, MRI, PET 스캔 등 고가의 의료서비스가 해당한다. 대략 플래티넘 가입자는 총비용의 10%, 골드 20%, 실버 30%, 브론즈 40%를 환자가 부담한다. ▶디덕터블: 보험 혜택이 시작되기 전 환자가 먼저 지불해야 하는 금액. 치료를 받고 본인 부담액이 발생하거나, 약을 구매할 때 디덕터블까지는 보험사 지원이 없고, 그 이상 발생하면 위에 언급한 상품등급에 따라 본인 부담만큼 청구를 받게 된다. 플래티넘 및 골드 상품은 디덕터블이 없다. ▶아웃 오브 포켓: 환자가 1년에 부담하는 의료비 총액. 결제해 온 의료비 누계가 이 한도액에 다다르면 그 이상은 치료비 본인 부담이 없다. 개인 한도액이 있고 그 2배가 가족 통합 한도액이다. 이 한도액도 플래티넘이 제일 적다. 따라서 건강이 좋지 않거나, 정기적으로 비싼 처치를 받아야 하는 환자라면 월 보험료가 비싼 상품이 오히려 더 경제적일 수 있으므로 적절한 상품을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이 의료비 누적 계산은 해가 바뀌면 새로 시작한다. 상품별로 코페이, 디덕터블, 아웃 오브 포켓 정보를 알고 싶다면 인터넷에서 ‘Patient-Centered Benefit Design and Medical Cost Shares’를 검색해 보길 권한다. 메디캘이나 인헨스드 실버 가입대상이 되는 가구별 소득액 한도를 알고 싶다면 ‘Program Eligibility by Federal Poverty Level’을 검색하면 된다. ▶문의: (213)616-1676, https://en.calkor.com 진철희 / 캘코보험 대표보험 상식 건강보험 기본 건강보험 용어 건강보험 혜택 플래티넘 가입자
2022.06.12. 1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