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카카오데이터센터 바로 옆… ‘프라임 센터 배곧’ 기숙사 ‘눈길’

배곧신도시의 인구가 빠른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주택 수요도 함께 증가하며 연일 상승하는 아파트값에 기숙사 시설 등으로 눈을 돌리는 근로자들도 늘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 통계청이 내놓은 ‘2020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에 따르면 일반가구 점유 형태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5년 이후 지속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자가 ▲전세 ▲월세 ▲사글세 ▲무상 등 다섯 가지 항목으로 구분된 점유형태에서 월세의 비중은 1995년 11.9%를 시작으로 2005년 17.2%를 거쳐 2020년에는 22.9%로 나타났다. 약 25년 만에 2배 가까이 오른 것이다.   비중 뿐만 아니라 월세 가구도 늘었다. 2020년 월세 가구는 478만8000여 가구로 1995년의 153만6000여 가구 대비 3배 이상인 것이다.   이에 한 부동산업계 공인중개사는 꾸준한 임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기숙사 등 주거시설 투자계획을 세우는 투자자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업무지구가 밀집된 지역은 근로자가 많아 직주근접을 원하는 주거수요도 꾸준해 인기가 많다는 전언이다.   배곧신도시 업무지구 중심부에 예정된 ‘프라임 센터 배곧’ 기숙사가 그 중 하나다.   이곳은 지하 2층 ~ 지상 10층, 연면적 3만9145㎡ 규모의 지식산업센터로 공장, 상업시설, 기숙사로 구성돼 공장 근로자가 한 자리에서 일 · 삶 · 쉼을 누릴 수 있다.   현재 분양중인 9 ~ 10층의 기숙사는 복층 구조로 온돌난방, TV, 냉장고, 빌트인 세탁기, 붙박이장 등 풀옵션으로 구성되며 월패드, 비데, 팬트리 등 편의성을 늘리는 품목도 제공된다. 프라임 센터 배곧은 수변에 있고 기숙사는 건물 내 최고층에 위치해 약 16만㎡ 규모의 옥구공원과 서해바다, 송도신도시 등을 조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프라임 센터 배곧이 들어설 배곧신도시 서남측은 다수의 업무 및 공장시설과 2026년 해양경찰청 신청사,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및 카카오 데이터 센터 등 정주 · 유동인구를 늘릴 대규모 호재가 있다. 정왕동, 시화MT도 인접해 있어 외부 주거수요도 기대된다.   여기에 해당건물 1층은 스트리트형 상가로 다양한 상업 시설이 예정됐으며 인근에도 향후 상권이 완성되면 생활 인프라도 양호할 전망이다.   올해 인천 연수구와 오이도를 잇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개통 예정이며 2025년 배곧과 송도국제도시를 잇는 배곧대교도 계획돼 미래가치가 더욱 오를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프라임 센터 배곧 분양관계자는 “직주근접과 원스톱 생활 인프라를 누릴 수 있는 입지로 투자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며 “공장에 이어 상가 · 기숙사 역시 빠른 물량 소진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카카오데이터센터 프라임 프라임 센터 기숙사 시설 월세 가구

2022.08.11. 17:51

썸네일

UCLA 기숙사 보장 신입생은 4년까지

UC계열 최초로 UCLA가 신입생에게 4년간 기숙사 거주를 보장하기로 했다.   편입생에게는 2년 거주를 보장한다.   UCLA는 17일 “2022년 가을 학기부터 기숙사 입주를 신청하는 신입생은 4년, 편입생은 2년간 거주 기간을 보장받을 것”이라며 “현재 기숙사 건물을 새로 짓고, 시설을 계속 확충하고 있기 때문에 수용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밝혔다.   UCLA는 이번 가을학기를 앞두고 17층 규모의 기숙사(게일리 하이츠)가 새롭게 문을 연다. 또, 기존 기숙사 건물들에 학부생을 위한 3125개의 침대를 추가했다. 이밖에 지난해 가을 학기에 문을 연 센테니얼&올림픽 기숙사의 경우도 1800개의 침대를 추가했다. 이밖에도 대학원생을 위한 기숙사 시설도 확충하고 있다.   UCLA 진 블락 총장은 "기숙사 거주 보장은 UCLA 역사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캠퍼스 기숙사에 살게 된다면 학생들이 학교 커뮤니티의 수많은 이점과 다양한 교육정 경험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열 기자기숙사 신입생 기숙사 보장 기숙사 거주 기숙사 시설

2022.03.17. 22:3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