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장 바꾼 트럼프 “해외 기술인력 데려와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잇따라 해외 인재 유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과거 강경한 반이민 기조에서 한발 물러선 행보를 보이고 있다. 11일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뉴스 ‘더 잉그럼 앵글’ 인터뷰에서 “어떤 기술은 미국인들이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재를 데려와야 한다”고 했다. 이는 사회자가 ‘H-1B 비자 정책’과 관련해 “외국인 노동자가 너무 많이 들어오면 미국 노동자의 임금이 오르기 어렵지 않느냐”고 묻자 이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이다. 이어 그는 조지아주 예를 들며 “거기에는 평생 배터리를 만들어 온 한국인들이 있었다. 배터리를 만드는 일은 매우 복잡하고 위험하며 문제가 많다. 초기 단계에 500~600명의 인력을 데려와 배터리를 만들고 다른 이들에게 그 방법을 가르치려 했는데, 그런 사람들을 나라 밖으로 내쫓으려 했던 것”이라며 단속 과정에 대한 아쉬움을 내비쳤다. 지난 9월 조지아주에서는 이민 당국이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을 급습해 B-1 비자나 무비자 전자여행허가(ESTA) 제도로 입국한 한국인 노동자 317명을 불법 이민자로 간주해 구금했다. 이후 한미 양국은 비자 제도 개선을 위한 개선 방안을 논의해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 나라가 와서 100억 달러를 투자해 공장을 짓겠다고 할 때 5년간 일한 적이 없는 실업자 명단에서 사람들을 데려다가 ‘이제 미사일을 만들자’고 할 수는 없는 것”이라며 “일이 그런 식으로 돌아가질 않는다”고 강조했다. 전날인 10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유학생을 절반으로 줄인다면 미국의 모든 대학 시스템이 무너질 것”이라며 유학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그는 “유학생들은 더 많은 학비를 내고 미국 대학에 등록한다. 이는 경제적으로 거대한 비즈니스”라며 교육과 경제 양면에서 유학생 유치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발언은 그동안 트럼프 행정부가 시행해온 정책들과는 모순되는 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5월 국무부는 3주 동안 학생 비자 인터뷰를 중단하고, 6월 일부 국가를 대상으로 여행 금지 및 비자 제한 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일부 대학에서는 이번 가을학기 유학생 입학이 급격히 줄었다고 보고하기도 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기술인력 트럼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그동안 트럼프
2025.11.12. 2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