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많은 고급 인력 이민자들이 떠나고 있다.

  캐나다에 정착했던 수많은 고급 인력 이민자들이 캐나다를 떠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캐나다 시민권 연구소(ICC)’는 캐나다 컨퍼런스 보드와 공동으로 진행한 두 번째Leaky Bucket 연구를 통해, 이민자들의 높은 이탈 비율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다니엘 번하드 캐나다 시민권부(ICC) CEO는 “이들은 우리의 집을 짓는 기술자, 우리의 가족을 돌보는 간호사, 필요 물품을 운송해주는 트럭 운전자, 혁신을 일으키는 기업가들이다. 하지만 이들이 점점 캐나다를 떠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민자들의 연간 이탈 비율은 2020년에 지난 20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1982년 이후 캐나다에 정착한 이민자들은 연평균 0.9%의 비율로 떠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착 후 첫 5년 이내에 떠나는 이민자가 전체의 34%에 달했으며, 나머지는 도착 후 6년에서 20년 사이에 캐나다를 떠나는 경향을 보였다.     정부의 2025~2027년 이민 목표에 따르면, 2025년 영주권자 39만 5,000명 중 약 5.1%인 2만 5,500명이 2030년까지 캐나다를 떠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 보고서는 특히 퀘벡과 온타리오주에 정착한 프랑스어권 이민자들이 영어권 이민자들보다 다른 국가로 이주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몬트리올, 토론토, 밴쿠버와 같은 주요 대도시에서 이민자 이탈률이 더 높은 반면, 캘거리, 핼리팩스, 몽턴과 같은 중형 도시에서는 이탈률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레바논과 같은 복수 국적 허용 국가 출신 이민자들과 한국처럼 단일 국적만 허용하는 국가 출신 이민자들이 캐나다를 떠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밝혀졌다.     ICC는 이민자들의 정착 초기 몇 년이 장기적인 정착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데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더불어 높은 주거비용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와 온타리오주에서 이민자들의 주요 이탈 원인으로 꼽혔다고 밝혔다.     한편, 캐나다 내 이민에 대한 대중의 지지도는 최근 몇 년간 크게 감소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상황이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이민 기술 기술자 캐나다 이민자 온타리오 퀘백

2024.12.02. 13:21

썸네일

MTA 전철 기술자 공개모집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2023년 상반기 경력직 기술자를 공개모집 하고 있다.   채용 포지션은 ▶카 인스펙터(Car Inspector) ▶냉난방기술자(HVAC)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기술자 ▶전자장비관리(EEM) 기술자 등이다.   MTA 관계자는 특히, EEM 직군에서는 경보장치와 CCTV, 통신장비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인재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응시자격은 영주권자나 시민권자로서 기술계 고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자로 3년 이상의 관련 경력을 가진 자이거나, 관련 학과를 이수하지 않은 자는 2년 이상을 위에서 설명한 업무와 관련이 있는 업계에서 기술자 보조 경험을 쌓은 후,  2년 이상 풀타임 기술자 경력이 있는 사람이면 응시할 수 있다. 한국에서의 학력과 경력도 인정이 된다.   또 연령 제한 없이 평생 근무가 가능하고 주 40시간 근무와 풀커버 건강보험, 은퇴 연금, 정기휴가 등 뉴욕시 공무원에 해당하는 베니핏이 제공되며, 시간당 41달러 이상 급여(연봉 8만5000달러 이상)가 지급된다.   서류 접수는 오는 5월 15일 마감되며, 7월 22일 필기시험에서 70점 이상을 취득해야 실기시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세부사항은 웹사이트(https://new.mta.info/careers/exam-schedule)에서 확인 가능하며, 전자장비 관리 업무(EEM) 관련 취업설명회는 오는 6일 오후 6시 퀸즈 베이사이드 하은교회에서 개최된다.   응시자격 문의 등은 이력서를 작성해 e메일([email protected])로 제출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공개모집 기술자 전철 기술자 에스컬레이터 기술자 기술자 보조

2023.04.27. 17:4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