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지역을 운전하다 보면 길거리에 밤, 낮 없이 즐비하게 늘어선 노점상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러한 노점상들은 길가 쇼핑몰 앞은 물론 주유소 옆 공터, 큰길 코너를 비롯해서 심지어 주택가 앞 골목까지 점유하며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한인타운도 버몬트 선상 올림픽 경찰서 맞은편에 하나둘씩 모여들 던 노점상들이 이젠 11가부터 남쪽으로 2블록의 긴 길가를 완전히 장악해 버렸고 샌타모니카 길과 웨스턴 길이 만나는 인근 지역도 노점상들이 삼삼오오 들어서고 있다. 이러한 노점상들은 초창기에는 대부분이 길거리 음식을 취급했으나 최근엔 농산물에서 잡화류까지 다양한 물건들을 판매하고 있다. 노점상의 증가는 한인타운뿐 아니라 LA시 전역에 넓게 퍼져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요즘은 다양한 장비까지 추가하면서 야간엔 전기 발전기를 활용하여 불을 밝히고 냉장고 등 다양한 식당 장비까지 보유하며 크게 활성화되고 있다. LA시는 팬데믹 이후 서민들의 경제활동에 활력을 주기 위해 음성적 노점상들을 합법적 비즈니스로 인허가를 확대했다. 세수입도 늘리고 노점상으로서 합법적으로 보호받으면서 지역 주민 및 방문자들의 건강과 안전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었다. 노점판매 허가증 신청 및 발부를 간소화,서민 경제활동을 합법적으로 바꿔주겠다는 의도로 시작했다. 그러나 이를 지켜보는 많은 사람은 지역주민들의 보건 위생이 위험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인허가 규정에 위생 관리 규정도 강화했다고는 하지만 수도시설도 없고 열악한 환경에서 위생 규정 이행을 확인하고 관리 감독 맡는 것 역시 인력 부족과예산 부족으로 그 통제가 힘들어 보인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노점상의 규모가 확대되고 취급 품목도 다양해지면서 기존 업소에서 영업하고 있는 스몰비즈니스 업주들이 경제적 타격을 받을 밖에 없다는 것이다. 기존 식당 업주들은 LA카운티 공공보건국의 엄격한 위생규정을 준수해야 하고 비즈니가 용이한 로케이션을 찾아 높은 렌트비용을 부담하며 고액투자를 통해 비즈니스를 창업하고 유지해 오고 있는 상황에서 노점상들과 또 다른 경쟁을 하는 이중고를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고, 일반 물품을 판매하는 업소들은 노점상들의 취급품목이 다양해지면서 취급품목과 서비스가 겹치면서 주변에 저렴한 경쟁 업소가 갑자기 증가하는 것과 같은 결과 때문에 매상에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장기화하는 불황과 인플레이션 상승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스몰비즈니스 업소가 타격을 받으면 상업용 부동산의 공실률이 상승할 수도 있고 이는 상업용 부동산에 불안요소가 될 우려가 있다. 지난 팬데믹 이후 재택근무가 증가하며 사무용 건물의 공실률이 급격히 상승하며 사무용 상업용 부동산이 엄청난 타격을 받았다. 이들은 현재까지 회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상업용 부동산은 일반 부동산과 달리 한번 타격을 받으면 단기간에 회복이 불가능 한 요소들이 많다. 많은 전문가가 지금과 같은 고금리가 장기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칫 상업용 부동산의 공실률이 상승하게 된다면 재융자에도 문제가 발생하여 상업용 부동산 전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정부 기관이 지금보다 현명한 관리 감독으로 기존 업소와 노점상의 충돌을 완화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때다. ▶문의: (213)500-5589 전홍철 WIN Realty & Properties에이전트 노트 길거리 노점상 음성적 노점상들 스몰비즈니스 업주들 길거리 음식
2025.10.14. 23:23
“멋진 가족의 가장으로, 엔지니어로 더할 나위 없이 행복하지만, 마음속 한켠에 채워지지 않는 빈자리가 항상 있었어요. 이젠 채울 수 있을까요?” 내년에 쉰이 되는 오성민(크리스 성 페돌레스키·사진)씨는 한서린 눈물을 흘렸다. 스튜디오에는 아내와 딸이 지켜보고 있었다. 1978년 그는 서울 노량진에서 길거리를 헤매다 발견됐다. 어렴풋한 기억에는 어머니가 아파서 병원에 있는 상태였다. 어린 성민은 사자 얼굴 모양의 쇠문고리가 달린 대문을 나가 길거리 음식 냄새를 쫓아가다 결국 길을 잃게 됐다. 그는 동작경찰서에서 미아로 신고돼 성로원(고아원)으로 인계됐고 동방사회복지회를 거쳐 뉴욕으로 가게 된다. 서류에는 그가 1973년 9월 10일생으로 적혀있지만, 이는 추정이며 그의 이름도 보육원에서 지어준 이름이다. “혼자 길거리를 헤매다 고아가 됐으니 부모님의 잘못은 전혀 없어요. 제가 행복하게 살아온 것처럼 부모님도 행복하게 잘 살아오셨으면 좋겠고, 제가 힘겨웠던 것 보다는 덜 힘드셨다면 좋겠어요.” 그는 40여년 내내 쉽지 않은 시간을 태권도로 이겨냈다. 이제 성인이 된 아들과 딸도 태권도인이 됐다. “아이들이 ‘아빠의 가족’을 찾는 일에 힘을 보태고 있어서 고마워요. 그리고 입 "입양인들에 귀 기울여준 아동권리보장원과 미주중앙일보에도 감사의 마음을 갖고 있어요.” ‘룩킹포맘 투게더’는 미주중앙일보와 한국 보건복지부 산하 ‘아동권리보장원’이 공동 제작하고 있으며 ‘농심 아메리카’가 후원한다. 최인성 기자룩킹포맘-뉴욕주 오성민씨 동작경찰 엔지니어 미주중앙일보 유튜브 길거리 음식 마음속 한켠
2022.12.08. 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