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은 흔히 피해야 할 감정, 발전과 기쁨, 성공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여겨진다. 그러나 나는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본다. 우리는 용감한 이들, 두려움을 모르는 이들, 흔들림 없는 이들을 찬양하는 문화 속에 살아간다. 하지만 두려움은 인류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인간 경험의 근본적인 일부다. 그것은 우리의 선택과 결정, 생존 본능은 물론 창의성마저도 형성한다. 두려움을 무조건 부정적으로 여기거나 가볍게 치부하는 것은 그것이 지닌 성장과 통찰의 가능성을 간과하는 일이다. 두려움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다. 그것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 알 수 없는 것에 대한 불안, 상실의 공포, 심지어 성공에 대한 두려움까지 다양한 얼굴을 지닌다. 이런 감정들은 미묘하거나 혹은 노골적인 방식으로 우리의 삶을 지배하며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까지도 결정한다. 가령, 많은 사람이 대중 앞에서 연설하는데 대한 두려움이 있는데, 이는 단순히 사람들 앞에서 말하는 것에 대한 공포가 아니다. 그 이면에는 평가받는 것에 대한 부담, 실수할까 하는 걱정, 단어 하나를 잘못 발음하는 불안, 충분히 흥미롭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 그리고 결국 자신의 내면을 타인의 시선에 노출하는 데 대한 근본적인 불안이 자리하고 있다. 두려움의 본질은 보호 본능이다. 그것은 우리가 무모한 위험을 피하고, 스스로를 지켜낼 수 있도록 돕는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수많은 생명을 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두려움은 때때로 우리를 마비시키기도 한다. 도전이 필요한 순간에도 안전한 길만을 고집하게 만들고, 성장의 기회를 스스로 차단하게 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두려움을 단순히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그 본질을 정제하고 이해하는 일이다. 경고의 신호와 비합리적인 과장된 공포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두려움이 가득한 세상에서 우리는 어떻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두려움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를 바꾸는 것이다. 두려움을 극복해야 할 장애물로만 여기지 않고, 그것을 신호이자 길잡이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정제된 두려움이란, 그것이 삶의 자연스러운 일부이며 유용한 도구가 될 수도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그것이 우리를 지배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는 것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두려움을 직면할 용기, 그리고 그것이 지닌 역할을 인정할 겸손함이다. 정제된 두려움은 단순한 감정을 넘어선다. 그것은 우리의 본능을 예리하게 만들고, 선택지를 찾게 하고, 철저한 준비를 하도록 이끌며, 진정성을 추구하게 한다. 더 나아가 우리를 더 높은 곳으로 도약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올바르게 이해하고 재구성된 두려움은 우리를 가로막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두려움을 정제하는 법을 배운다면, 즉 불안의 첫 파동에 휩쓸리지 않고 그 본질을 직시할 수 있다면, 우리는 더 깊은 자기 이해와 창의적인 돌파구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두려움이 엄습할 때, 억지로 밀어내려 하지 말고 이렇게 자문해보자. 이 두려움은 나에게 무엇을 가르치려 하는가? 무엇에 집중하라고 말하는가? 나는 어떤 계획을 세울 수 있을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순간, 우리는 두려움의 희생자에서 벗어나 그것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동적인 존재가 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평온과 답을 찾고, 깨달음과 위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캐서린 염 / 한인가정상담소 소장가정 행복통신문 정제 길이 이들 두려움 불안 상실 감정 발전
2025.02.16. 17:18
(Brittany is talking to her sister Emily on the telephone … ) (브리트니가 동생 에밀리와 통화하고 있다…) Brittany: I‘m sorry I can’t come to the picnic. 브리트니: 피크닉에 못가서 미안해. Emily: What‘s your excuse this time? 에밀리: 이번엔 이유가 뭐야? Brittany: The kids have back-to-back dental appointments. 브리트니: 아이들 치과 예약이 연달아 잡혀있어. Emily: Why can’t you change them? 에밀리: 왜 바꾸면 안돼? Brittany: I put them off once and it took two months to get two more. 브리트니: 한번 바꿨다가 예약 두 번 하는데 두 달 걸렸어. Emily: Where there‘s a will there’s a way. 에밀리: 뜻이 있으면 길이 있겠지. Brittany: I really want to come. 브리트니: 나도 정말 가고 싶어. Emily: Then you‘ll figure out a way. 에밀리: 그러면 방법을 찾겠지. Brittany: I suppose I could come late. 브리트니: 늦게 갈 수는 있겠지. Emily: There I knew you would think of a way. 에밀리: 그거 봐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거라고 했지. Brittany: What time will it be over? 브리트니: 피크닉은 언제 끝나니? 기억할만한 표현 * put (something) off: 뒤로 미루다 연기하다 “She always puts studying off until it’s too late.” (그녀는 항상 공부를 너무 늦게까지 미룹니다.) * figure (something) out: ~를 알아내다 “I thought he figured out a way to take the week off from work.” (저는 그 사람이 직장에서 한 주 휴가 낼 방법을 찾은 줄 알았는데요.) California International University www.ciula.edu (213)381-3710오늘의 생활영어 길이 way 동생 에밀리 come late california international
2024.04.14. 20:03
그토록 기다리고 그리워했던 해방을 맞은지도 올해로 78년째다. 1945년 8월 15일에 해방되어 국권을 회복하고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 독립국으로 탄생한 과정을 아울러 광복이라 명명하여 기념하고 있는 대표적인 경축일 중 하나다. 일제 치하 어느 날, 서울의 한 초등학교 5학년생 교실에 공습경보가 울렸다. 사이렌 소리에 익숙한 어린 학생들은 학교 곳곳에 파놓은 방공호 속으로 들어가 머리위 고공으로 유유히 날아가는 미군 B29 폭격기를 쳐다보며 킬킬대고 있었다. 2차 세계대전 말기 일본 패망 직전의 한 장면이다. 1945년 8월 15일 낮 12시, 전국에 라디오 중대 방송이 있었다. 연합군에 항복한다는 일본 왕의 가냘픈 목소리에 세상은 천지개벽하는 소리로 뒤덮였다. 산도 울고 강도 울었다. 바로 민족해방의 함성이었다. 36년간 나라 잃고 압박과 설음에서 벗어나 자유를 찾던 날, 태극기는 삼천리강산에 파도를 쳤고 사람들은 흰 천에 ‘조선해방 만세’, ‘대한 독립 만세’를 써서 들고 천지가 진동하도록 소리쳤다. 각급 학교엔 하루아침에 일본인 교사는 모두 떠나고 한국인 교사만 남았다. 일본어로 하던 교과학습이 하루아침에 “아버지, 어머니, 안녕하세요” 등 처음 써보는 한글과 처음 들어보는 한국어로 수업이 시작돼 선생도 학생도 공부하다 말고 함께 울고 웃던 그때의 기억이 아직도 새롭다. 서울의 해방공간 종로안경 앞 거리는 어른들의 정치 집회로 조용한 날이 없었다. 언제부터인지 좌우로 갈라져 시내 한복판에서도 테러와 집단싸움이 벌어졌다. 일제의 수탈로 가정 살림은 텅 빈 곳간만 남았다. 가난과 무질서로 사회 질서와 법규는 온데간데없었다. 좌파 집회는 남산에서. 우파 집회는 동대문 서울운동장에 열렸다. 시가행진에서 만난 좌우 양대집단이 종로 네거리에서 충돌하는 게 일상이었다. 남로당 계열의 좌익집단과 우익 측의 대학생 모임인전국학생총연맹, 서북청년회 등의 물리적 싸움은 미국 서부활극 영화보다 더 흥분케 하는 광경이었다. 해방된 조국 강토에 남이 그어 놓은 북위 38 도선을 경계로 남북이 갈라져 동족 간에 아니, 가족친척간에도 원수처럼 통행이 금지되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남한의 대다수 국민은 1948년 8월15일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을 선택해 이승만 건국대통령을 지도자로 모시고 힘차게 새 출발 한 반면, 소련군 출신 독재자 김일성을 선택한 북한 동포들은 지금까지 공산 전체주의 세습정권하에서 암흑의 삶을 살고 있다. 대한민국이 출범한 지 2년도 안 된 1950년 6월25일, 북한의 김일성은 소련제 탱크를 앞세워 기습 남침, 동족상잔의 전쟁을 일으켰다. 북한군은 남쪽 땅에 포탄을 퍼붓고 죄 없는 남녀시민들을 납치해 갔다. 그 치열한 6·25전쟁이 멈춘 지 70년, 폐허에서 일어나 눈부시게 발전한 대한민국이 자랑스럽기만 하다. 지혜롭고 부지런한 대한민국은 일 인당 국민소득 67달러에서 3만 달러로 급성장했다. 분단된 상황에서도 세계 10위의 경제 대국으로, 또 세계 6위의 군사 강국으로 도약해 선진국 반열에 우뚝 섰다. 피땀 어린 역사로 이루어진 대한민국, 이제 통일만이 우리의 몫으로 남아 있다. ‘동해 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나라 사랑 노래가 심금을 울린다. 이재학 / 6·25참전유공자회 회장기고 길이 보전 대한민국 정부 해방공간 종로안경 대학생 모임인전국학생총연맹
2023.08.25. 19:30
(Brittany is talking to her sister Emily on the telephone … ) (브리트니가 동생 에밀리와 통화하고 있다…) Brittany: I'm sorry I can't come to the picnic. 브리트니: 피크닉에 못가서 미안해. Emily: What's your excuse this time? 에밀리: 이번엔 이유가 뭐야? Brittany: The kids have back-to-back dental appointments. 브리트니: 아이들 치과 예약이 연달아 잡혀있어. Emily: Why can't you change them? 에밀리: 왜 바꾸면 안돼? Brittany: I put them off once and it took two months to get two more. 브리트니: 한번 바꿨다가 예약 두 번 하는데 두 달 걸렸어. Emily: Where there's a will there's a way. 에밀리: 뜻이 있으면 길이 있겠지. Brittany: I really want to come. 브리트니: 나도 정말 가고 싶어. Emily: Then you'll figure out a way. 에밀리: 그러면 방법을 찾겠지. Brittany: I suppose I could come late. 브리트니: 늦게 갈 수는 있겠지. Emily: There I knew you would think of a way. 에밀리: 그거 봐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거라고 했지. Brittany: What time will it be over? 브리트니: 피크닉은 언제 끝나니? Emily: I would say about 5:00. 에밀리: 5시 정도. Brittany: We can probably be there about 4:00. 브리트니: 한 4시 정도면 갈 수 있을 거야. 기억할만한 표현 * put (something) off: 뒤로 미루다 연기하다 "She always puts studying off until it's too late." (그녀는 항상 공부를 너무 늦게까지 미룹니다.) * figure (something) out: ~를 알아내다 "I thought he figured out a way to take the week off from work." (저는 그 사람이 직장에서 한 주 휴가 낼 방법을 찾은 줄 알았는데요.) California International University www.ciula.edu (213)381-3710오늘의 생활영어 길이 way 동생 에밀리 come late california international
2022.06.22. 20:10
“길이 이끄는 대로 따라가는 인생은 의미가 없다. 길 없는 곳에 가서 길을 만드는 것이 인생이다.” 랠프 월도 에머슨·미국 시인한마디 인생 길이
2022.03.10. 18:46
고등학교 시절 노는 시간 틈만 나면 칠판에 인기 항목을 나열해 놓고 투표를 실시했다. ‘장래 꿈은? 직업은? 신랑감은 어떤 사람? ” 당시 여고생 인기 직업은 스튜어디스 나이팅게일간호사 수녀였다. 스튜어디스는 멋진 유니폼 입고 몸매 자랑하며 비행기 타고 세계를 누빈다 생각하니 머리가 아찔할 정도로 호감이 갔지만 몸매나 얼굴, 집안 사정이나 여러모로 불가능했다. 나는 그때까지 비행기 타보기는 커녕 고속버스도 타보지 못했다. 내 단짝이 소근거렸다. “스튜어디스 별 것 아냐. 비행기 차장이야”라는 말에 감복, 용감하게 반대표를 던졌다. 문제는 결혼 대상자 선호도 조사. 직업별로 의사 변호사 판검사 교수 사업가 등이 우선 순위로 간택(?) 됐는데 화가 소설가 시인 음악가는 없었다. “원하는 남편감은 어떤 사람이냐”라고 친구들이 닥달했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의 직업은 가난뱅이 문인이나 안 팔리는 그림 그리는 삼류 화가, 거리의 악사들이다. 질문이 곤혹스럽지만 칠판에 ‘나에게 화실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사람!’이라고 용감하게 썼다. 친구들 반응은 엇갈렸다. ‘황당하다. 멋지다. 너 답다.’ 꿈은 열심히 꾸면 이루어진다. 반쯤은 성사된다. 당장은 이루지 못해도 계속 그 쪽으로 올인 하면 도달할 수 있다는 희망을 나는 가지고 산다. 인형이 되기를 거부한 영원한 신여성 나혜석은 여자이기 전에 한 인간이었고 인간이기 전에 예술가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이자 문필가로 불꽃 같은 삶을 살았던 나혜석(羅蕙錫, 1896~1949)은 사법관과 군수를 지낸 아버지 덕분에 부유한 환경에서 자라나 진명여고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동경여자미술 전문학교 서양학과에 입학했다. 유학 중 유부남 최승구와 자유분방하게 연애를 했지만 연인이 폐병으로 사망한다. 3.1운동에 적극 가담해 옥고를 치르고 친일 성향의 김우영과 결혼한 뒤 첫 개인전을 가지며 작품활동을 하게 된다. 나혜석은 남편과 함께 세계일주를 하며 파리 로제 비시에르(Roger Bissière) 화실에서 그림 공부를 하는 동안 최린을 만나 사랑에 빠진다. 불륜 관계로 발전했고 김우영과 이혼하게 되면서 잡지 ‘삼천리’에 ‘이혼고백서’를 발표해 세간의 비난과 손가락질을 받는다. 여성에게 정조를 요구하려면 남성 자신부터 정조를 지키라고 했을 뿐만 아니라 정조라는 것은 강요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주체의 자유 의지에 속하는 ‘취미’의 문제라고 해서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당시 상식으로는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 그림이 불타고 비난과 조소를 받으면서 가족이나 친지들로부터 외면당한 채 병에 걸려 몰락의 길을 가게 된다. 한국판 ‘ 인형의 집 ’ 노라가 된 나혜석. 근대적 여권론을 펼친 운동가였던, 선택 받은 천재 화가는 선택 받지 않는 삶을 살다가 시립 자제원에서 사망한다. 구속을 싫어하던 자유로운 영혼은 행려병자로 떠돌며 자신이 선택한 길 위에서 외로운 생을 마감하지만 닫힌 시대의 문을 열어주는 선구자의 역할을 감당했다. 우리는 저마다 주홍글씨를 달고 산다. 자신의 가슴 속에 새겨진 주홍글씨를 감추고 살아간다. 힘겹게 무거운 망또 걸치고 길 위에서 길을 간다. 남들이 가는 길을 따라 가는 것은 쉽다. 아무도 가지 않는 길, 한 번도 안 가 본 길을 가는 사람은 시대를 앞서 간다. 길은 먼저 간 사람들의 발자취로 완성된다. 산다는 것은 길 위에서 길을 찿아나서는 나비의 날갯짓이다. 길 위에 길이 있다. (Q7 Fine Art 대표, 작가) 이기희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길이 신여성 나혜석 스튜어디스 나이팅게일간호사 동경여자미술 전문학교
2022.02.08. 14:52
골프에서의 실패는 어떤 의미에서 성공으로 향하는 지름길이기도 하지만 실수를 발견할 때 정확함이 무엇인가를 추구한다. 믿음이 없으면 의심이 따르기 마련이고 그 의문은 실수로 이어지는 것이 스윙, 개인의 성격이나 주위 환경에 따라 상황이 반전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실수로 끝나고 만다. 확고한 믿음이 생겨날 때 정확한 샷이 나오고 정신과 육체가 함께해야 몸에 경직은 물론 강한 승부욕까지 생겨난다. 스윙 중 골퍼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순간은 임팩트(impact), 이 임팩트 순간은 초고속으로 촬영해야만 그 분석이 가능하고 유관상으로는 이를 확인조차 할 수 없다. 그러나 스윙을 시작할 때 그 궤도를 주의 깊게 관찰하면 다음 동작을 알 수 있고 피니시를 보면 중간 과정의 오류는 확인이 가능하다. 이 같은 맥락은 기초 스윙의 중요함을 증명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기본 자세가 스윙을 가늠한다는 의미도 내포되어 있다. 임팩트는 어드레스(set-up)의 ‘재현’이라는 말로 통용되기도 하지만 알 것 같으면서도 애매모호한 대목이다. 볼을 치는 순간 어드레스와 같은 자세를 재현할 수 있다면 볼은 틀림없이 의도하는 목표를 향해 똑바로 날아간다는 이론이 성립된다. 그러나 이론과 실제가 일치되지 않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스윙이란 축을 중심으로 몸이 꼬이고, 꼬였던 몸이 풀리며 절정에 이르러 풀릴 때 스윙의 힘이 발산한다. 그리고 연속되는 다운 스윙(downswing)과 함께 탄력이 붙어 헤드 스피드(내려지는 속도)가 생성되며 눈 깜짝할 사이에 순간 동작으로 끝난다. 따라서 본인 의도와는 상관없이 스윙이 허무하게 끝나는 경우도 있고, 어드레스에서 톱 스윙(top swing)까지는 의지대로 행동을 연계시킬 수 있지만 이 후의 동작은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스윙의 표현 가운데 ‘죽음의 스윙’이 있다. 이것은 곧 스윙 궤도(swing arc)를 의미하는 것으로 궤도가 틀려지는 사선, 즉 죽은 선을 뜻한다. 여기서 말하는 사선이란 궤도를 의미하며 이 궤도는 아이언과 우드(wood)의 차이, 즉 기본자세나 그립 등이 같지만 클럽 길이가 틀려지면 궤도의 변화는 자연히 달라진다. 우드는 몸과 볼의 간격이 넓어 일정 구간을 통과하면 평면 궤도를 따라 스윙이 만들어지며 이 궤도가 정상적으로 유지되어야 체중 이동과 함께 완벽한 샷을 구사할 수 있다. 반대로 아이언의 경우 우드와 같은 맥락이지만 볼이 몸과 가까이 있어 수직에 가까운 평면의 형태로 바뀐다는 것으로 이를 다른 각도로 생각하면 완전히 다른 양상의 스윙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많은 골퍼가 혼동을 부르고 심지어 스윙이 다르다고 강조하는 이도 적지 않지만 분명한 것은 의도적으로 궤도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클럽 길이에 따라 궤도(arc)가 변한다는 것을 숙지해야 심리적 갈등이 없어진다. 따라서 아이언과 우드는 그 스윙 포맷(swing format)이 같고 틀린 것은 클럽 길이에 따른 평면각의 변화만 있을 뿐 스윙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명심하고 실전에 임하면 혼동이 따르질 않을 것이다. 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등 박윤숙골프에 관한 모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클럽 길이 스윙 궤도 클럽 길이 평면 궤도
2021.12.27. 1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