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이민 120주년의 역사를 지닌 하와이 호놀룰루에, 해외에서는 처음으로 '김치 박물관'이 문을 열었다. 하와이 김치 박물관(관장 김세희)은 '김치의 날'을 맞아 지난 22일 박물관에서 개관식을 개최하고, 김치의 날의 중요성과 김치 박물관 개관의 의미 등을 설명했다고 30일 밝혔다. 개관식에는 조시 그린 하와이 주지사, 릭 블랭지아디 호놀룰루 시장을 비롯해 하와이주 김치의 날을 제정한 린다 이치야마 주 하원의원 등이 참석했다. 릭 시장은 "매년 1000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는 세계 최고 인기 휴양지 하와이에 김치를 알릴 수 있는 곳이 생겨 기쁘다"고 말했다. 또 린다 의원도 "매년 11월 22일 김치의 날을 맞아 김치 박물관에서 행사를 진행하고 싶다"고 전했다. 박물관 측은 매년 김치의 날에 기념행사를 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서는 각종 이벤트와 김치 관련 소식을 전달할 계획이다. 또 하와이 한인상공회의소(회장 지나 김), 국내 지방자치단체 등을 통해 한국의 지역별 특색있는 김치도 소개할 예정이다. 김치 박물관은 일반인에게 무료로 개방된다. 관련 정보는 홈페이지(hikimchimuseum.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은 2020년 김치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11월 22일을 법정기념일로 정했다. 이 시기가 김장하기 좋고, 김치의 여러 재료가 '하나하나'(11) 모여 '스물두 가지'(22) 이상의 건강 기능적 효능을 나타낸다는 상징적 뜻이 담겨 있다. 현재까지 전국에서 캘리포니아주, 버지니아주, 뉴욕주, 워싱턴DC, 미시간주, 조지아주, 하와이주 등 7곳이 김치의 날을 제정했다.김치 하와이 김치 박물관 하와이 김치 김치 관련
2023.11.30. 20:25
김치사랑하와이재단(이사장 장정숙)은 4회째인 올해 김치의 날(11월 22일)을 맞아 해외에서 처음으로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 김치 박물관(관장 김세희)을 개관한다고 30일 밝혔다. 재단 측은 다음 달 22일(현지시간) 개관식을 개최하고 김치의 날의 중요성과 김치 박물관 개관의 의미 등을 설명할 계획이다. 조시 그린 하와이 주지사 실비아 장 룩 부주지사 릭 블랭지아디 호놀룰루 시장을 비롯해 하와이주 김치의 날을 제정한 린다 이치야마 주 하원의원 등이 개관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김세희 관장은 "관광객과 한인 등 하와이에 거주하는 분들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김치를 알릴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 것"이라며 "김치 만들기 등 다양한 행사도 열어 한국 김치에 대한 역사와 중요성을 널리 알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치 박물관 개관에는 재단과 하와이 한인상공회의소 HED하와이개발 등이 후원했다. 장수도깨비동굴김치영농조합과 이조식품 프레시고24 등도 힘을 보탰다. 재단 측은 앞으로 한국문화재재단 세계김치연구소 국내 지방자치단체 등을 통해 한국의 지역별 김치 소개 등도 할 예정이다. 한국은 2020년 김치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11월 22일을 법정기념일로 정했다. 이 시기가 김장하기 좋고 김치의 여러 재료가 '하나하나'(11) 모여 '스물두 가지'(22) 이상의 건강 기능적 효능을 나타낸다는 상징적 뜻이 담겨 있다. 미국에서는 캘리포니아주 버지니아주 뉴욕주 워싱턴DC가 김치의 날을 제정.선포했다. 미시간주와 조지아주도 김치의 날을 선포한 상태며 하와이는 올해 4월 김치의 날 제정 법안을 발의했다.김치박물관 김치 김치박물관 탄생 한국문화재재단 세계김치연구소 김치 박물관
2023.10.30. 18:36
한국어교육재단(이사장 구은희)은 지난 19일 바인랜드 브랜치 도서관 커뮤니티룸에서 외국인들과 영어권 한인들이 참여한 가운데 김치 만들기 행사인 ‘제10회 아이러브 김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재단 산하 청소년 자원봉사단 카약 단원 및 학부모회 그리고 어드로이트 칼리지의 후원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오이소박이를 만들어 봤고 어드로이트 칼리지 앙상블 단원인 니모 스위프트와 카약 단원들이 ‘아이러브 김치’ 노래를 귀여운 율동과 함께 참가자들에게 가르쳐 주는 시간도 가졌다. 구은희 이사장은 “김치는 한국의 전통 발효 음식으로 종류는 100가지가 넘으며 서울에는 김치 박물관도 있을 정도이다”라며 김치를 만들고 한식을 먹으면서 즐겁게 지내라고 환영사를 했다. 까르멘몬타노 밀피타스 시장 당선자 (현 부시장)는 “미국에서 각 국가의 고유문화를 지키고 후세들에게 교육하는 것은 소중한 일이며 이러한 일을 훌륭히 해 주고 있는 한국어교육재단에 감사하다”면서 표창장을 재단 측에 전달했다.한국어교육재단 게시판 한국어교육재단 김치 아이러브 김치 김치 박물관
2022.11.21. 1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