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이 아침에] 카레와 김치찌개의 불편한 동거

지금은 한국에 사는 어느 분이 오래전 미국에서 유학할 때 이야기다. 한국 사람 하나 없는 곳에서 외롭게 공부할 때, 그나마 친하게 지내던 이들은 인도에서 온 유학생들이었다. 그렇게 가까이 지내던 인도 학생 둘이 공부를 마치고 고국으로 돌아가기 전, 잠시 머물 곳이 필요했다.   자신도 가난한 유학생이지만, 더 어려운 처지에 놓인 인도 학생들을 돕기 위해 한국 유학생이 자기 아파트에서 함께 지내자고 손을 내밀었다. 잠잘 곳 없는 이웃에게 선을 베푸는 마음으로 이들을 불러들였지만, 그때부터 카레와 김치찌개의 불편한 동거가 시작되었다.     한국 학생에게는 카레 냄새가 인내력의 시험장이었고, 비록 남의 집에 얹혀사는 신세지만 집주인의 김치찌개 냄새는 인도 학생들에게는 견디기 힘든 고문이었다. 하루는 한국 학생과 인도 학생들이 식탁에 마주 앉았다. 인도 학생들이 밥을 카레에 버무려 조몰락거리다 까무잡잡한 손으로 집어서 입에 넣는 모습에 한국 학생은 그만 밥맛이 떨어졌다.     그래도 어쩌겠는가? 인도 학생들을 집에 들인 사람도 자기고, 이왕 참기로 했으니 조금만 더 참자며 두 눈을 질끈 감고는 큼지막한 숟가락으로 김치찌개를 떠서 먹을 때였다. “너희 한국 사람들은 정말 비위생적이고 야만적으로 음식을 먹는구나.” 인도 학생의 갑작스러운 말에 하마터면 김치찌개가 입에서 튀어나올 뻔했다.     누가 누구에게 할 소린가? 손으로 밥을 주워 먹는 사람이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품위 있게 음식을 떠서 먹는 사람에게 할 말인가? 그것도 남의 집에 빌붙어 사는 주제에 어떻게 감히 그런 소리를 할 수 있단 말인가? 한국 사람이 왜 비위생적이고 야만적으로 음식을 먹는다고 하는지 따져 묻자, 인도 학생들이 조목조목 이유를 댔다.     첫째, 김치찌개처럼 뜨거운 음식을 숟가락으로 퍼먹다가 입을 데기라도 하면 어떻게 하냐고 하면서, 인도 사람들은 손가락으로 음식의 온도를  재고, 필요하면 손으로 만져서 적당히 식혀 먹으니 얼마나 합리적이냐고 했다.     둘째, 한국 사람들은 음식의 질감을 느끼지 못한 채 허겁지겁 먹기에 바쁘다고 하면서, 밥알과 카레가 만나서 일으키는 그 부드럽고 오묘한 감촉을 손으로 느끼면서 천천히 먹는 인도 사람들의 예술적인 식사법에 비해 한국 사람들은 음식을 야만적으로 먹는다고 했다.   셋째, 한국 사람들이 식사 때마다 사용하는 숟가락과 젓가락은 이전에 틀림없이 다른 사람이 사용했을 것인데, 어떻게 다른 사람의 입에 들어갔던 것을 도로 자기 입에 넣을 수 있냐고 반문하면서, 인도 사람들은 세상에서 유일한 숟가락인 자기 손가락을 사용하기에 위생적이라고 했다.     카레와 김치찌개만 불편한 동거를 하는 것은 아니다. 같은 공간에 있어도 한 사람은 춥다고 옷을 껴입고, 어떤 이는 부채질을 하면서 불편한 동거를 한다. 밤늦게까지 잠을 안 자는 사람과 초저녁이면 곯아떨어지는 사람이 한집에 사는 것도 불편한 동거다.   사람들은 불편한 동거인을 싫어한다. 그렇다고 어쩌겠는가? 세상 사람이 다 나와 똑같지는 않으니 말이다. 따지고 보면 나도 누군가에는 불편한 동거인이다. 불편하지만 서로 참으며 살다 보면 정도 들고 불편함은 익숙해지기 마련이다. 불편한 동거인끼리 서로 보듬고 살아가자. 이창민 / 목사·LA연합감리교회이 아침에 김치찌개 카레 한국 유학생 김치찌개 냄새 한국 학생

2023.10.04. 19:18

썸네일

김치찌개 하나에도 행복했던 ‘베풂의 삶’

      와싱톤중앙장로교회(담임목사 류응렬) 블레싱여성예배에 전 메릴랜드 주지사 부인 유미 호건 여사가 방문해 특별 간증을 나누었다.    지난 30일, 2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룬 이날 간증에서 호건 여사는, 8남매의 막내딸로 출생해 귀하게 성장한 어린 시절부터 화가의 꿈을 안고 스무살에 도미해 결혼과 이혼의 아픔을 겪은 후 싱글맘으로 세 딸을 돌보며 버텨냈던 시간들을 차분하고 담담하게 풀어갔다.  고난의 시간 속에서도 화가의 꿈을 놓지 않고 미대에 진학해 전시회에서 마흔네살의 노총각이던 현 남편 래리 호건(전 메릴랜드 주지사)을 만나 결혼하게 된 사연과 주지사 선거운동 에피소드, 남편의 암 투병기에 대한 진정성 담은 고백으로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이끌었다.    호건 여사는 “‘언젠가는 반드시 화가가 되겠다’는 확신에 찬 다짐이 오늘의 나를 있게 했다”며 “한국인 특유의 부지런함과 끈기가 한인 여성의 파워를 만들어내는 것”이라며 참석자들을 격려했다.       집회에 참석한 K씨는 “나보다 더 많은 나이에 꿈을 이루신 것을 듣고, 엄마로서 아내로서 살면서 오랫동안 마음 속에 접어 두었던 꿈을 다시 한번 꺼내 볼 수 있는 행복한 기회가 되었다”고 말했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김치찌개 행복 김치찌개 하나 메릴랜드 주지사 주지사 선거운동

2023.03.31. 14:4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