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문인의 인생 여정 기록…김호길 시인 자서전 출간

시인 김호길이 자서전 ‘멀고 먼 파라다이스’(시와정신사·사진)를 펴냈다.     이번 책은 베트남전쟁 전투헬기 조종사, 대한항공 국제선 파일럿, 미주중앙일보 기자, 멕시코 영농사업가 등 다양한 길을 걸어온 한 문인의 파란만장한 인생 여정을 기록한다.   1943년 경남 사천에서 태어난 김 시인은 1963년 개천예술제 시조백일장에서 장원으로 입상하며 문단에 발을 들였다. 이후 시조 동인 활동과 ‘하늘 환상곡’, ‘사막시편’, ‘지상의 커피 한 잔’ 등 다수의 시조집을 통해 한국 현대문학사에 발자취를 남겼다. 특히 ‘지상의 커피 한 잔’은 2021년 세종도서에 선정되며 문학적 성취를 인정받았다.   그의 삶은 문학을 넘어 군인과 기자, 농부로서의 다양한 정체성이 교차한다. 육군항공학교를 수료한 뒤 월남전에 참전했고, 대한항공 국제선 조종사로 세계를 누빈 그는 1981년대 도미해 미주한국문인협회를 주도적으로 발기했다. 이어 멕시코 현지에서 국제 영농사업을 펼치며 문학과 현실을 아우르는 독특한 궤적을 이어왔다.   이번 자서전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농부가 된 이민자의 삶 ▶멕시코에서의 도전과 시련 ▶문학과 교류의 기록 ▶군 복무와 전쟁 경험 등이 상세히 담겼으며, 자선시와 시조도 함께 수록돼 있다. 그의 시와 삶을 나란히 펼쳐보면 한국 현대사의 격동기와 함께 한 개인의 꿈과 도전, 성취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다.   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국문과 교수)는 “지금의 자신을 가능케 해준 사람과 순간, 장면에 대한 투명한 기억들이 풍요롭게 담겨 있다”며 “한 시대를 건너온 이민자의 삶과 시인의 언어.예술 성취를 동시에 바라볼 수 있게 한다”고 평했다. 이은영 기자김호길 자서전 시인 김호길 김호길 시인 인생 여정

2025.09.14. 18:32

썸네일

[시조가 있는 아침] 해발 삼만 구천 피트 2 -김호길(1943∼)

한 생애 험난한 항로   멀고 먼 각고의 길을 나와 동승한 그대   운명을 같이 지고 만리도 시름에 젖는   어둔 밤의 여로여   -우리 시대 현대시조 100인선 31 ‘절정의 꽃’   조종사 시인이 보는 세상     프랑스에 조종사 작가 생텍쥐페리가 있었다면 우리에게는 조종사 시인 김호길이 있다. 그는 육군항공 파일럿으로 근무하다가 월남전 때는 전투헬기 UH-1D 파일럿으로 참전했다. 1974년 대한항공에 입사해 국제선 파일럿으로 보잉707과 보잉747 점보기를 조종했다. 대한항공 사직 후 멕시코 바하캘리포니아 라파스 근교에 국제영농을 전문으로 하는 현지법인을 설립해 현재까지 영농에 종사하고 있으니, 생애 자체가 극적이고 파란만장하다.   소개한 작품은 해발 삼만 구천 피트 상공에서 조종간을 잡은 심경을 읊고 있다. 승객들의 ‘운명을 같이 지고’ ‘어둔 밤의 여로’를 날아가는 시름의 만리길이라 하였다. ‘밤 항로’라는 작품에서는 ‘저 우주 다함 없는 질서 사랑보다 깊어라’ ‘이 세상 하찮은 것도 애정 아닌 게 없어라’고 노래했다.     생텍쥐페리는 ‘야간비행’에서 하늘에서 보는 인간 세상의 애환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을 그렸으니 조종사들의 심경은 이렇게 닮은 가 보다. 승객들을 싣고 하늘을 헤어가는 조종사들의 마음이 어떠할까 궁금하였는데, 그 답은 결국 ‘사랑’이었다. 올해 팔순이 된 그는 신작시조집 ‘모든 길이 꽃길이었네’를 냈다. 자신의 생애에 대한 정의(定義)로 읽힌다.     유자효 / 한국시인협회장시조가 있는 아침 김호길 해발 조종사 시인 조종사 작가 육군항공 파일럿

2022.05.25. 17:22

“헤쳐온 길이 도착해 보니 꽃길”…원로 시조 시인 김호길 씨

원로 시조 시인 김호길 씨가 시조집 ‘모든 길이 꽃길이었네’(창연· 사진)를 출간했다.     김 시인은 1963년 개천예술제 제1회 시조백일장에서 수상을 시작으로 지난 60여 년 동안 활발하게 활동해왔다.     지난 3월 출간된 ‘모든 길이 꽃길이었네’는 5부로 구성되고 ‘시인의 마음’ ‘운초 운초 그리운 이여’, '풍경 속으로' 등 총 60여편의 시조가 수록됐다.     시인의 말에서 김 시인은 “산수를 앞둔 나이에 여전히 치열하게 시조를 짓는다는 것은 분명 보람 있는 일일 수도 있다”며 “내가 헤쳐온 길이 도착해 보니 꽃길이었다는 것이 이 시조집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김호길 시인은 1995년 '미주시조시인협회'를 창설하고 초대회장을 지냈으며 미주에 시조 문학을 정착시키는데 일조했다.   1967년 '시조 문학'으로 등단했으며 미주한국문인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시조시학상, 현대시조문학상, 펜시조 문학상, 유심 작품상 외 2017년 재미시인협회 주최 '2017 재미시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시조집으로는 '하늘환상곡' '절정의 꽃' '사막시편' '수정목마름' 등을 출간했다. 이은영 기자김호길 꽃길 김호길 시인 시조시학상 현대시조문학상 원로 시조

2022.05.08. 17:3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