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놀러지에 관심이 많거나 수학, 과학 수업에 재미를 느끼고 잘 하는 학생이라면 대학에서 STEM을 전공할 가능성이 높다. STEM이란 사이언스(S), 테크놀러지(T), 엔지니어링(E), 매스(M)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용어다. STEM 분야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현대 사회에서 테크놀러지와 과학은 우리 생활을 더 편리하게 개선하고 혁신을 일으키는 데 없어서는 안 될 분야가 됐다. 우리 주변의 환경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것에서부터 기술 개발에 대한 인류의 끝없는 도약에 이르기까지, STEM은 사회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실질적인 분야 중 하나다. 게다가 STEM 분야의 직업 전망은 계속 좋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STEM 교육의 혜택은 무엇일까? 단순히 4가지 과목의 지식을 얻는 것을 넘어서, STEM 교육을 추구하는 학생들은 여러 혜택을 받는다. 미래의 직업세계에서 돋보일 수 있는 전문적인 스킬을 배우고, 문제 해결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 협동심과 팀워크를 배우게 된다. 또한 위기관리 능력, 실험 정신, 실패하거나 난관에 부딪혔을 때 이를 딛고 일어서는 회복력, 창의력, 지식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능력 등을 터득할 수 있다. 게다가 STEM을 통해 새로운 테크놀러지를 수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더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처럼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STEM을 전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지원자로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까? 대학의 STEM 프로그램은 입시경쟁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치열하다. 따라서 일찌감치 탄탄한 전략을 세우고 입시를 준비해야 한다. 첫째, 고등학교에서 가능한 가장 난이도 높은 트랙으로 수학과 과학수업을 듣는 것이다. 캘큘러스, 화학, 생물, 물리 등을 AP 등 최고 수준으로 수강하고 최고 성적을 받는 것은 기본이다. 수학, 과학이 아닌 다른 과목에서도 탑 성적을 받아서 최대한 높은 GPA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과외 활동으로 로보틱스나 수학, 물리, 레고, 코딩 등 STEM과 관련된 액티비티를 하는 것이 좋다. 내가 다니는 고등학교에서 STEM 관련 클럽에 참여하거나, 이런 클럽이 없다면 창설해서 열정적으로 활동하라. 리더십 스킬과 주도 정신, 기존의 틀을 깨고 남다르게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증명한다면 금상첨화다. 수학이나 코딩, 과학 경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거나, STEM 과목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원서에서 내가 왜 STEM에 흥미를 느끼는지, 왜 이 분야가 적성에 잘 맞는지, 해당 분야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지 증명하라. STEM을 통해 내가 재학중인 고등학교와 커뮤니티에 얼마나 기여했고 앞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 보여줄 수 있다면 더 좋을 것이다. 다음은 STEM 학위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자. STEM의 가장 좋은 점은, 각각의 학문 안에서도 다양한 전공과 학위를 폭 넓게 제공하는 분야라는 점이다. 대학에 따라 학위 프로그램에 조금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학위를 제공한다. 과학 분야에는 생물학, 헬스 사이언스, 물리학, 천문학, 화학, 환경 과학 등이 있다. 테크놀러지 분야에는 인포메이션 테크놀러지, 사이버 시큐리티,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이 있다. 엔지니어링에는 화학 공학, 기계 공학, 토목 공학, 산업 공학, 전기 공학 등이 있다. 수학 분야에는 수학, 응용수학, 컴퓨터 수학 등이 있다. STEM 학위를 취득한 후 종사할 수 있는 직업은 어떤 것이 있을까? 보통 학사 학위를 딴 후 가질 수 있는 직업에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웹 개발자, 컴퓨터 시스템 분석가, 컴퓨터 프로그래머, 데이터 애널리스트, 메디컬 서비스 매니저, 계리사, 전문분야가 다양한 엔지니어 등이 있다. STEM 분야는 전통적인 분야에서 탈피해 자율주행 자동차 정비사, e-스포츠 경기장 설계사, 기술통합 전문가 등 머지않은 미래에 새롭고 다양한 직업을 창출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문의:(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빈센트 김 카운슬러 / 어드미션 매스터즈난이도 stem stem 분야 수학 과학 stem 학위
2023.07.02. 18:00
야심 차게 명문대학 진학을 꿈꾸면서 고등학교 경험을 통해 최대치를 뽑아내려고 하는 학생이라면 AP 수업에 대해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AP 수업은 미국의 고등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가장 난이도 높은 프로그램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물론 고등학교마다 개설된 AP 수업들은 수준이 모두 다르다. 오픈된 과목뿐만 아니라 포맷도 다르고, 어떤 교사를 만나느냐에 따라 클래스가 천당이 될 수도, 지옥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해 특정 AP 과목과 시험은 일반적으로 다른 과목보다 더 도전적인 것으로 고려된다. 일부 대학들은 AP 시험 점수에 따라 칼리지 크레딧을 주거나, 강의 배정을 더 높은 수준으로 해주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은 모든 대학과 모든 AP과목에 해당되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고등학교에서 어떤 AP 과목을 들어야 할지 결정할 때 내가 대학에 가서 무엇을 전공하고 싶은지 연관 지어 선택하는 것이 좋다. 먼저 AP 수업과 시험의 혜택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미국의 고등학생들은 왜 AP 수업을 듣고, 시험을 치르는 것일까? 이 질문에 답변을 하려면 ‘왜 일부 AP 과목이 대학 입학사정에서 다른 수업들과 좀 다르게 취급되는지’에 대해 먼저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내가 다니는 고등학교가 AP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일반적으로 AP 수업들은 고등학생들이 들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준의 아카데믹 코스라고 보면 된다. 또한 수업 후 치르는 AP 시험의 결과는 해당 과목에 대해 학생이 얼마나 잘 이해하고 마스터했는지 증명하는 지표가 된다. AP 수업과 AP시험은 2가지 측면에서 유용하다. 첫째, 성적증명서에 AP 수업을 들은 것이 나타나면 이 지원자는 고등학생으로서 가능한 가장 난이도 높은 수업을 수강했다는 점을 대학에 증명할 수 있다. AP 시험은 표준화된 것이기 때문에 대학 입장에서 학생이 해당 과목을 다른 학생보다 얼마나 더 잘 이해했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둘째, AP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으면 대학에서 특정 개론 수업을 건너뛸 수도 있다. 학생이 개론 수업의 수준을 이미 마스터했으니, 대학에서는 더 높은 수준의 수업을 듣도록 대학이 허가하는 것이다. 대학에서 개론 수업은 보통 많은 학생들이 규모가 큰 강의실에서 듣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업을 가르치는 교수나 강사로부터 개인적인 관심을 받기는 어렵다. AP 시험 결과를 가지고 칼리지 크레딧을 바로 인정하는 것은 대학마다 방침이 다르다. 그러므로 내가 관심 있는 대학이 어떤 방침을 가지고 있는지 주의 깊게 확인해야 한다. 만약 이 방법으로 칼리지 크레딧을 획득할 수 있다면 대학의 수업 스케줄을 짜는데 융통성을 발휘해서 졸업을 앞당길 수도 있을 것이다. 꼭 기억해야 할 것은 모든 가능성이 AP 시험 점수에 달려 있다는 점이다. 단지 AP 수업을 듣거나 시험을 치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표준화된 AP 시험의 결과를 통해서 해당 과목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했음을 증명해야 한다. 3점 미만은 낙제점이라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많은 대학들은 칼리지 크레딧이나 더 높은 수준의 강의 배정을 위해 최소한 4점이나 5점을 요구한다. 또한 어떤 AP 과목을 듣고 시험을 치르는지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대학에서 수학 수준에 따라 강의를 배정하는 목적으로 AP 캘큘러스 AB 또는 BC시험 점수가 사용된다. 그러나 일부 대학에서는 개론 수업이 다루는 내용과 상호 관계성이 없는 과목에 대해 크레딧을 주지 않는다. 그렇다면 대학들은 어떤 AP 과목과 시험을 도전적인 것으로 인정할까? 현재 칼리지보드 AP 프로그램에는 38개의 과목 및 해당 시험이 있다. 일부 과목과 시험은 보통 다른 과목보다 더 어려운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AP 캘큘러스 BC, AP 케미스트리, AP 피직스, AP 바이오 시험은 매우 도전적인 테스트로 평가된다. 스패니시, 프렌치 등 다양한 세계 언어의 AP 시험도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고의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내가 재학중인 고등학교에서 개설된 AP 과목 중 가장 난이도가 높은 수강하고, 대학에서 내가 전공하려는 분야와 관련된 과목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다. ▶문의: (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빈센트 김 카운슬러 / 어드미션 매스터즈난이도 선택 bc시험 점수 해당 과목 일부 과목
2022.11.06.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