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살며 생각하며] 잃어버린 이상이 부른 남북전쟁

남북전쟁은 스콧 재판 4년 뒤인 1861년 4월 12일 0시 30분, 남부연맹이 찰스턴의 섬터 요새를 포격하면서 시작, 1865년 4월 9일 남군 리 총사령관이 버지니아 애퍼매톡스(Appomattox)에서 항복문서에 서명하면서 공식 종결되었다. 결과는 62만명의 군인이 전사하고 20~45세 북부 남성 10%, 18~40세 남부 백인 30%가 사망하는 미 역사상 미국민이 가장 많이 죽은 참혹한 내전이었다.   남부의 면화주들이 내전을 일으킨 결정적 계기는 1860년 4월 5일 대선에서 링컨이 단 1명의 남부주 선거인단 확보 없이도 제16대 대통령에 당선된 데 대한 자괴감 때문이었다. 그들은 대통령이 취임도 하기 전 사우스캐롤라이나를 필두로 조지아, 플로리다, 앨라배마, 미시시피, 루이지애나, 텍사스가 연방 탈퇴를 선언하였고 이어 1776년 대륙회의 때처럼 각주 대표들이 모여 아메리카 남부연맹(Confederate States of America)을 결성하였다. 그런 뒤 1861년 2월 4일에 제퍼슨 데이비스를 임시 대통령으로 추대한 뒤 앨라배마의 몽고메리를 수도로 정하였다. 이어 버지니아(웨스트버지니아 제외), 노스캐롤라이나, 테네시, 아칸소가 합세 11개 주가 되었으나 경계 주인 웨스트버지니아, 델라웨어, 켄터키, 미주리, 메릴랜드는 그대로 연방에 잔류하였다.   어렵게 대통령에 당선된 에이브러햄 링컨! 취임도 하기 전 내전을 지휘해야 하는 딜레마였지만 ‘갈라진 집안은 바로 설 수 없다’ ‘대통령으로 노예제에 대해 간섭할 헌법적인 이유도 생각도 없다’는 당근과 함께 연방 탈퇴행위는 ‘반란’으로 불응 시 무력사용도 불사하겠다는 채찍도 취임사에 담았다. 그러나 남부는 자국 내 연방군의 철수를 요구하며 중요 요새와 병기창을 무력 점령하였고 심지어 조폐국 창고에 있던 금을 탈취하는가 하면 친 연방 정치인들을 폭력으로 쫓아내는 등 일전불사의 길로 치달았다.   남부 백인이 바라봤던 연방에 대한 시각은 특이했던 것 같다. 그들은 ‘잃어버린 이상(Lost Cause)’ 즉 가난한 하층 백인이지만 신대륙에서 땀 흘려 일하면 언젠가 노예를 마음껏 부리는 귀족으로 신분 상승할 수 있는 ‘아메리칸 드림’을 불리한 관세를 부과하거나 각주에 부여된 고유 권한과 자유를 연방이 침해하므로 그들의 선한 ‘이상’이 깨졌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듯 컬럼비아대학을 중심으로 한친남부학자들 또한 남북전쟁은 남부가 일으킨 반란이 아니라 각주의 권리와 자유를 짓밟기 위해 연방정부가 시작한 전쟁이라고 정의한다고 하니 혼란스럽다.   따라서 남북전쟁을 단순히 노예 문제의 이해관계 충돌로 해석함은 무리다. 여기에는 남북 간의 다른 상황을 이데올로기 싸움으로 부추긴 정치 종교 지도자들의 노림도 역할을 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당시 노예 1인의 가격은 800~1000달러에 달할 정도로 비싸 대규모 플랜테이션을 소유한 부호가 아니면 엄두조차 낼 수 없었고 실제로 5% 미만의 백인이 이에 해당했다. 그 외 80%의 중소규모 농장주들은 노예를 부린 적도 부릴 형편도 못 되었다. 그런데 노예 폐지에 앞장서거나 남북전쟁에 목숨 건 부류는 이들이었다. 이유는 아무리 못나고 가난한 백인이라도 영혼 없는 검xx 보다 우월하다고 세뇌되어 왔기 때문이다. 김도수 / 자유기고가살며 생각하며 남북전쟁 웨스트버지니아 제외 아메리카 남부연맹 남부 백인

2023.05.26. 17:33

[살며 생각하며] 남북전쟁의 도화선, 드레드 스콧 재판

사우스캐롤라이나 동부 해안에는 콘데 나스트 트레블러(Conde Nast Traveler)가 뽑은 인구 약 14만여 명의 소도시 찰스턴이 있다. 미식 문화, 다채로운 명소, 아름다운 역사적 건물, 다양한 볼거리와 조용한 즐거움을 안기는 이상적인 여행지로 소문나면서 관광객이 몰려드는 항구이자 군항 도시다. 이곳에 가면 꼭 둘러봐야 할 명소 한 곳이 있는데 Old Slave Market이라는 로만스카 양식의 오래된 건물, 노예 박물관이다. 150여년 전 대서양을 건너온 노예들을 목욕시키고 배불리 먹인 뒤 온몸에 기름까지 바르고 새 옷을 입혀 매대에 진열하면 남부 각지의 농장주나 중간상들이 나름의 방식으로 감정한 뒤 상품의 가치를 흥정하던 곳이다.   1859년 건축 당시 노골적으로 노예를 사고파는 빌딩임을 과시하려 중앙 표지석에 새겨놓은 ‘Mart’라는 단어는 오늘날까지 선명히 남아 있어 관람객들의 마음을 참담케 한다고 한다. 이곳 외에도 워싱턴DC, 버지니아 알렉산드리아 및 NJ 잉글리시 타운 같은 곳이 노예 도소매 시장으로 유명한데 이곳들은 아프리카 출항 당시 가격의 두 배 정도인 인당 400달러에 거래되었고 그 후 최대의 수요처이자 노예 센터로 연간 13만5000명의 노예가 사고 팔린 것으로 알려진 뉴올리언스로 옮겨지면 값이  750달러로 껑충 뛰었다고 하니 노예무역이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황금알을 낳는 거위’였음을 짐작게 한다. 그리고 그 거위는 이제 박물관이라는 이름으로 개종 되어 어린이는 8달러, 어른들에게는 14달러의 알을 챙기게 하는 수익상품으로 활용되고 있음은 역사의 아이러니다.   이렇게 특정 백인들의 전유물 같았던 미국의 노예제도가 위기에 처하게 되는 역사적 전기가 찾아온다. 바로 1857년 ‘드레드 스콧 재판’이다. 드레드 스콧(Dred Scott, 1795~1858)은 부인과 두 딸을 둔 흑인 가정의 세대주로 세인트루이스 출신의 군의관 에머슨 박사 소유의 노예였다. 그들 가정은 주인의 근무지를 따라 여러 주로 이주하며 살다 주인이 사망하자 자유인이 되길 원했지만 소유권을 양도받은 에머슨 부인은 합의금이 너무 적다며 거부하였고 이에 스콧은 1846년 변호사 프린시스 머독과 아프리카 침례교회 존 앤더슨 목사의 도움으로 연방법원에 제소, 온 미국사회가 초미의 관심을 갖고 지켜본 세기의 소송이었다. 그러나 연방대법원이 스콧의 주장을 7:2로 기각한 뒤 “노예는 미국 시민이 아니기 때문에 연방법원에 제소할 권리 자체가 생길 수 없다고 하며 한발 더 나아가 노예제도를 폐지함은 불법이며 정당한 절차 없이 노예주에게 노예를 빼앗을 수 없다”고 판시하면서 미 역사상 가장 수치스러운 판결문 중 하나로 이름을 올린다.   결론적이지만 이 판결은 하나님 앞에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성경 말씀은 물론 신앙의 자유를 찾아 대서양을 건너온 청교도의 건국 정신에도 반하는 가장 미국답지 않은 판결이 되고 말았다. 판결 후 반응은 사뭇 달랐다. 노예가 필요악이자 헌법에 부합한다고 주장했던 남부 지주들은 환호했으나 펜실베이니아주를 비롯하여 이미 노예제도를 불법이라며 해방을 명문화한 동부의 산업주들은 크게 실망하면서 분리주의자들의 주장이 힘을 얻게 되었음은 불문가지였다.   결국 이 재판이 도화선이 되어 북남은 결코 함께하기에 먼 당신이 되어갔다. 김도수 / 자유기고가살며 생각하며 남북전쟁 도화선 드레드 스콧 수요처이자 노예 건물 노예

2023.05.12. 18:1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