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기자의 눈] ‘우정의 종’과 ‘네덜란드 카리용’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 인근, 포토맥 강과 워싱턴DC가 훤히 내려다보이는 산마루에는 미국의 기념물 ‘네덜란드 카리용(Netherlands Carillon)’이 자리하고 있다. 카리용이란 여러 개의 종을 음계 순서대로 달아놓고 치는 악기를 말한다. 네덜란드 정부는 1960년 이 카리용을 미국에 선물했다. 제2차 세계대전과 이후 전후복구에 도움을 준 미국에 대한 감사와 양국 우호의 상징으로 전달한 것이다.     네덜란드 카리용은 높이 127피트 철제 타워 형태 안에 53개의 종이 달려있는데, 가장 작은 종은 35파운드이고 가장 큰 종(부르동)의 경우 1만2654파운드로, 총 중량이 6만1403파운드나 된다. 샌피드로 엔젤스 게이트에 있는 ‘우정의 종’이 3만7478파운드(17톤)인 것을 고려했을 때, 종 무게만 약 1.5배가 더 무겁다. 종은 약 5분의 4가 구리이고, 나머지는 청동 합금으로 만들어 졌다.   카리용은 설치 후 구조적 특성과 빠른 부식 등으로 인해 59년 동안 3번의 보수작업을 거쳤다. 첫 보수작업은 헌정된 지 25년도 채 되지 않은 1983년 타워의 강철 패널 손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이후 1995년 네덜란드 해방 50주년 기념으로 대대적인 2차 보수 작업이 진행됐다.   그리고 2019년 12월 대규모 3차 보수작업이 이뤄졌다. 약 2년에 걸친 공사 끝에 지난 2021년 새로운 종 3개를 추가한 업그레이드된 ‘그랜드 카리용’이 공개됐다.     눈여겨볼 것은 세 차례의 보수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네덜란드 정부와 커뮤니티의 행동이다.  2차 보수 때 카리용의 의미에 감명을 받은 저명한 네덜란드 사업가 그룹이 만든 재단이 주축이 되어 네덜란드 상공회의소, 네덜란드-아메리카 재단, 네덜란드 정부와 함께 당시 140만 달러를 모금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3차 보수를 추진하기 시작한 2016년에는 국립공원관리국(NPS)과 네덜란드 대사관은 카리용 복원을 위해 580만 달러 기금 모금 캠페인을 시작했다. 당시 NPS는 400만 달러까지 지원을 약속했다.  2019년 3차 보수 공사가 시작됐을때 NPS는 카리용의 타워를 맡아 강철판과 내부 구조에 대한 광범한 복구 작업을 진행했고, 네덜란드 대사관은 종들을 네덜란드로 옮겨 수리했다.     네덜란드 카리용의 보수 과정은 ‘우정의 종’과 비교된다.  1976년 미국 독립 200주년을 맞아 한미 우호의 상징으로 한국 정부가 미국에 선물한 우정의 종과 종각은 지난 2013년 한차례 보수 공사가 이뤄졌지만 현재 또다시 대규모 보수 공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1차 보수 공사 당시 한국 정부는 비용  3억원(약 27만5000달러)을 지원했고, LA 한국문화원과 ‘우정의 종’ 보존위원회가 실무를 맡았었다. 하지만 종각 관리 책임이 있는 LA시 정부로부터는 예산 지원을 받지 못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 정부도 나 몰라라 하는 상황이다.  이미 한 차례 지원했으니 앞으로는 선물을 받은 쪽에서 관리 비용을 대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담당 부처인 LA시 공원관리국은 여전히 예산 확보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더구나 보존 단체는 둘로 쪼개져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네덜란드 카리용’의 보수 과정과는 대조적이라 씁쓸함 마저 들게 한다. 만약 네덜란드가 한국에 카리용을 선물하고 ‘관리는 받은 쪽 책임’이라고 했으면 어떻게 됐을까. ‘우정의 종’은 한국에서 제작된 만큼 보수에 필요한 물적·인적 자원을 가진 것도 한국이다. 비록 선물로 준 것이지만 그 선물이 더 빛날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해야 한다.    또한 한인 사회는 미국 정부가 관리·보존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우정의 종’의 가치를 높이는 노력을 해야 한다.  최근 ‘우정의 종’ 관광객을 위한 전문 가이드 배치는 그러한 노력의 좋은 예시다.  ‘우정의 종’도 ‘네덜란드 카리용’의 모범 사례를 따랐으면 좋겠다.   장수아 / 사회부기자의 눈 네덜란드 카리용 네덜란드 카리용 네덜란드 정부 네덜란드 대사관

2024.07.23. 18:33

썸네일

[신 영웅전] 주먹으로 제방 막은 네덜란드 소년

1910년 멸망한 나라가 1945년 해방되니 모두가 애국자였고 민족주의가 최고의 가치였다. ‘역사의 국유화 시대’와 ‘만들어진 애국주의’가 온 천하를 강타했다. 모든 교과서 뒷장에는 ‘우리의 맹서’와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판권과 함께 찍어 배포했다. 누구인들 한때 민족에 대해 가슴 뜨거웠던 시절이 없었을까.   그와 같은 집단최면으로 나타난 현상이 초등학교 사회생활 교과서에 실린 ‘구멍 난 댐을 손으로 막아 조국을 구출한 네덜란드 소년의 신화’다. 나는 1986년 유학을 마치고 귀국길에 네덜란드에 잠시 머무는 동안 그 제방을 보고 싶었다. 그 소년은 그 뒤에 어찌 됐는지 궁금해 그곳을 직접 찾아갔다. 25㎞에 이르는 제방은 장엄했고, 제방 위에서 바라보니 왼쪽 바다가 오른쪽 육지보다 현저히 높은 것도 기이했다. 그 제방을 축조한 인간의 능력 앞에 숙연함을 느꼈다.   현지 안내원에게 그 소년의 뒷이야기를 물어봤더니 난색을 보였다. 그는 “이곳을 찾아오는 한국 관광객들에게 이제 대답하기도 지쳤다”면서 “무너지는 제방을 소년이 주먹으로 막는다는 것이 과연 있을 법한 일이냐”고 되물었다.   요컨대 역사에는 그런 사실이 없었다. 그 이야기는 미국 동화작가 닷지(Mary M Dodge)의 소설 『한스 브링커의 은빛 스케이트』(Hans Brinker or the Silver Skate, 1895)에 나오는 우화였다.   그런데 그 뒤에 대학 강의 중에 이런 얘기를 했더니 한 학생이 손을 들어 자기도 가봤는데, 그 소년의 동상이 서 있더라고 했다. 기가 막혀 네덜란드 문화원에 문의했더니, 한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 차원에서 연전에 소년의 동상을 만들어 세웠다는 대답을 듣고 허허 웃고 말았다. 허구에 찬 우리의 애국주의가 남의 나라 역사까지 바꾸는 세상이 됐으니 뒷맛이 씁쓸하다. 신복룡 / 전 건국대 석좌교수신 영웅전 네덜란드 주먹 네덜란드 소년 네덜란드 문화원 한국인 관광객

2023.05.21. 18:45

미국-네덜란드 16강전 내일(3일) 오전 7시

    미국-네덜란드 16강전 내일(3일) 오전 7시       카타르 월드컵 축구대회에서 조별 예선전이 모두 끝나고 16강이 가려진 가운데 미국이 LA시간으로 내일 오전 7시 네덜란드와 8강 진출을 놓고 한판 승부를 펼친다.   이날 경기는 LA 라이브 다운타운 등에서 무료로 수많은 팬들과 함께 관람할 수 있다.   LA 갤럭시 축구팀이 주최하는 무료 관람 모임은 톰스 워치 바(Tom's Watch Bar)에서 오전 6시30분부터 시작된다.   미국팀 경기는 오전 7시부터 시작되며 영어방송은 폭스 TV, 스페인어 방송은 텔레문도에서 한다.   LA 풋볼 클럽이 주최하는 경기 관람 모임은 샌타모니카 브루 웍스에서 열리는데 오전 6시30분부터 문을 연다. 이 모임에는 간단한 음식과 음료수가 제공된다.   이외에도 미국 남자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국 응원 조직인 아메리칸 아웃로스 각 지부에서 주최하는 경기 관람 모임들이 곳곳에서 열린다.     여기에는 애너하임, 코비나, 엔시노, 글렌데일, 허모사 비치, 롱비치 지부도 포함됐다.   미국팀은 지금까지 월드컵에 모두 11번 출전해 조별 예선은 이번까지 모두 7번을 통과했다.     7번의 16강전에서는 2002년 유일하게 멕시코를 2대0으로 이기고 8강에 진출한 바 있다.   현재 미국은 FIFA 랭킹 16위이고 네덜란드는 8위에 올라 있다.  김병일 기자미국 네덜란드 네덜란드 16강전 경기 관람 무료 관람

2022.12.02. 17:31

하버드대 기금 무려 532억불…네덜란드 중앙은 보유액 규모

세계 최고 부자 대학인 하버드 대학이 금융시장 활황을 틈타 대학기금을 1년 만에 크게 불린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하버드대학은 14일 회계연도 마지막 달인 지난 6월 말을 기준으로 기금 액수가 532억 달러로 늘었다고 발표했다.   전년보다 110억 달러(27%) 증가한 이 같은 액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나 네덜란드 중앙은행의 보유금과 맞먹는 것이라고 AFP통신은 설명했다.   하버드는 2020∼2021학년에 기부금으로도 4억6500만 달러를 거둬들여 대학 기금에 보탰다.   하버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기금을 보유한 예일대는 지난 회기에 수익률 40%를 기록하며 기금을 423억 달러로 늘렸다.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과 브라운 대학은 각각 56%, 52%의 투자 수익을 기록해 기금 규모를 각각 274억 달러, 69억 달러로 키웠다.

2021.10.15. 15: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